[학위논문]한국 성인 여성에서 철분 섭취 및 체내 철분 영양 상태와 당뇨병 위험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ron, body iron status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korean adults women원문보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철분섭취 및 철분 영양 상태와 당뇨병 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 체내 관련 대사 지표의 변화와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 및 방법: 총 84명의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에서 폐경기 대상자는 39명이었다. 인체계측, 식사섭취, 영양섭취, 철분상태지표, 당대사 및 지질대사, 염증지표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철분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식사성 철분 섭취량과 체내 철분 상태와의 연관성을 보았을 때, 철분 섭취가 많을수록, TIBC 및 transferrin이 증가하며,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철분 영양상태 지표 중 총 철분 섭취량과 식물성 철분 섭취량 및 혈청 ferritin은 연령, 수축기 혈압 및 내장지방면적 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혈청 ferritin과 인체 계측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철분섭취 및 철분 영양 상태와 당뇨병 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 체내 관련 대사 지표의 변화와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 및 방법: 총 84명의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에서 폐경기 대상자는 39명이었다. 인체계측, 식사섭취, 영양섭취, 철분상태지표, 당대사 및 지질대사, 염증지표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철분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식사성 철분 섭취량과 체내 철분 상태와의 연관성을 보았을 때, 철분 섭취가 많을수록, TIBC 및 transferrin이 증가하며,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철분 영양상태 지표 중 총 철분 섭취량과 식물성 철분 섭취량 및 혈청 ferritin은 연령, 수축기 혈압 및 내장지방면적 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혈청 ferritin과 인체 계측치(체질량지수, 혈압, 내장지방면적) 간에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식물성 급원을 포함한 총 철분 섭취량 및 혈청 ferritin은 당 대사와 지질 대사 지표와 유의적으로 연관성이 있었다. 이는 ferritin 수준이 높을수록, 좋지 않은 당 대사와 지질 대사 상태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연령을 보정하였더니, 혈청 ferritin 수준과 체질량지수, 인슐린저항성 및 염증지표인 hs-CRP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혈청 ferritin은 중성지방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HDL-콜레스테롤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총 철분 섭취량과 염증 지표에서도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철분 섭취량을 4분위로 나누어 관찰 비교해 본 결과, 철분 섭취가 늘어남에 따라 혈청 ferritin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Q4 (18.69~48.47 mg/day)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당화혈색소의 경우도 철분 섭취가 많았던 Q3 (14.43~18.31 mg/day)와 Q4 (18.69~48.47 mg/day)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대부분 정상범위에 속하는 수준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본 연구 참가자들은 질병을 진단 받지 않았고, 철분 과잉섭취한 자가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철분 섭취량이 높을수록 체내 철분 영양 상태 지표 중, 특히 혈청 ferritin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보아, 혈청 ferritin이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의 적절 철분 섭취량 설정 시, 가이드라인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철분섭취 및 철분 영양 상태와 당뇨병 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 체내 관련 대사 지표의 변화와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 및 방법: 총 84명의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에서 폐경기 대상자는 39명이었다. 인체계측, 식사섭취, 영양섭취, 철분상태지표, 당대사 및 지질대사, 염증지표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철분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식사성 철분 섭취량과 체내 철분 상태와의 연관성을 보았을 때, 철분 섭취가 많을수록, TIBC 및 transferrin이 증가하며,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철분 영양상태 지표 중 총 철분 섭취량과 식물성 철분 섭취량 및 혈청 ferritin은 연령, 수축기 혈압 및 내장지방면적 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혈청 ferritin과 인체 계측치(체질량지수, 혈압, 내장지방면적) 간에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식물성 급원을 포함한 총 철분 섭취량 및 혈청 ferritin은 당 대사와 지질 대사 지표와 유의적으로 연관성이 있었다. 이는 ferritin 수준이 높을수록, 좋지 않은 당 대사와 지질 대사 상태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연령을 보정하였더니, 혈청 ferritin 수준과 체질량지수, 인슐린저항성 및 염증지표인 hs-CRP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혈청 ferritin은 중성지방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HDL-콜레스테롤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총 철분 섭취량과 염증 지표에서도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철분 섭취량을 4분위로 나누어 관찰 비교해 본 결과, 철분 섭취가 늘어남에 따라 혈청 ferritin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Q4 (18.69~48.47 mg/day)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당화혈색소의 경우도 철분 섭취가 많았던 Q3 (14.43~18.31 mg/day)와 Q4 (18.69~48.47 mg/day)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대부분 정상범위에 속하는 수준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본 연구 참가자들은 질병을 진단 받지 않았고, 철분 과잉섭취한 자가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철분 섭취량이 높을수록 체내 철분 영양 상태 지표 중, 특히 혈청 ferritin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보아, 혈청 ferritin이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의 적절 철분 섭취량 설정 시, 가이드라인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on status and anemia in Korea, studies focus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iron status, particularly iron intake and glycemic control are few in Korea at the time point of iron intake being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Objectiv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on status and anemia in Korea, studies focus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iron status, particularly iron intake and glycemic control are few in Korea at the time point of iron intake being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ron intake, body iron status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mong healthy Korean adult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4 Korean adult women without diagnosed diseas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rty-nine of them were in post-menopausal status. Anthropometric parameters, glycemic index, lipid profiles, inflammatory markers, nutrient intake, dietary habits we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ron intake, body iron status, and metabolic status were examined with correlation analyses, and Metabolic status were compared according to dietary iron intake levels. Results: Serum ferriti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insulin resistance, and hs-CRP before and after the adjustments. Serum ferri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Furthermore, total iron intak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erritin levels even after the adjustment for age, menopausal status and total energy intake. In addition, total iron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s-CRP. To investigate metabolic properties according to dietary iron intake levels, total iron intake levels in whol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Q1 (4.80~10.33), Q2 (10.49~13.89), Q3 (14.43~18.31) and Q4 (18.69~48.47. Based on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2015 (KDRI 2015), only one person consumed excessive amount of iron over upper level (UL).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62% consumed iron in between recommended nutrient intake and upper level, and 37% consumed iron insufficiently indicating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Serum ferritin levels tend to increase as total iron intake increased,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Q4 group. In the glycemic parameters, HbA1c were significantly high in Q3 and Q4 groups, but the average values were in normal range. In addition, hs-CRP levels in Q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Conclusions: People with higher total iron intake even within UL of DRIs showed higher level of serum ferritin which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MI, HOMA-IR, triglyceride and inflammation marker, but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HDL cholesterol. This result can be suggested as a one of scientific basis for optimal iron intake guideline for Korean women in the future.
Objectiv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on status and anemia in Korea, studies focus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iron status, particularly iron intake and glycemic control are few in Korea at the time point of iron intake being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ron intake, body iron status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mong healthy Korean adult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4 Korean adult women without diagnosed diseas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rty-nine of them were in post-menopausal status. Anthropometric parameters, glycemic index, lipid profiles, inflammatory markers, nutrient intake, dietary habits we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ron intake, body iron status, and metabolic status were examined with correlation analyses, and Metabolic status were compared according to dietary iron intake levels. Results: Serum ferriti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insulin resistance, and hs-CRP before and after the adjustments. Serum ferri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Furthermore, total iron intak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erritin levels even after the adjustment for age, menopausal status and total energy intake. In addition, total iron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s-CRP. To investigate metabolic properties according to dietary iron intake levels, total iron intake levels in whol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Q1 (4.80~10.33), Q2 (10.49~13.89), Q3 (14.43~18.31) and Q4 (18.69~48.47. Based on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2015 (KDRI 2015), only one person consumed excessive amount of iron over upper level (UL).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62% consumed iron in between recommended nutrient intake and upper level, and 37% consumed iron insufficiently indicating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Serum ferritin levels tend to increase as total iron intake increased,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Q4 group. In the glycemic parameters, HbA1c were significantly high in Q3 and Q4 groups, but the average values were in normal range. In addition, hs-CRP levels in Q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Conclusions: People with higher total iron intake even within UL of DRIs showed higher level of serum ferritin which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MI, HOMA-IR, triglyceride and inflammation marker, but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HDL cholesterol. This result can be suggested as a one of scientific basis for optimal iron intake guideline for Korean women in the future.
Keyword
#type 2 diabetes impaired fasting glucose dietary iron body iron status serum ferritin metabolic syndrome insulin resistance inflammation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지수
학위수여기관
동아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식품영양학과
지도교수
김오연
발행연도
2019
총페이지
vi, 29장
키워드
type 2 diabetes impaired fasting glucose dietary iron body iron status serum ferritin metabolic syndrome insulin resistance inflamm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