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훈육방식이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버지의 훈육방식에는 강압적 체벌, 방임, 논리적 설명으로 보았으며, 이 변인들이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의 하위요소인 친밀감, 갈등,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서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A시에 소재한 4개 유치원의 만 3-5세 유아의 학부모 중 총 328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훈육방식이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버지의 훈육방식에는 강압적 체벌, 방임, 논리적 설명으로 보았으며, 이 변인들이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의 하위요소인 친밀감, 갈등,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서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A시에 소재한 4개 유치원의 만 3-5세 유아의 학부모 중 총 328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훈육방식의 정도는 대체로 긍정적인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압적 체벌, 방임, 논리적 설명의 세 가지 하위 변인 중에서 논리적 설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강압적 체벌, 상대적으로 방임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자녀와의 관계는 대체로 원만하고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의 친밀감, 갈등, 의존성 이 세 가지의 하위 변인 중에서 친밀감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의존성, 상대적으로 갈등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아버지의 배경변인의 하위 요인들은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맞벌이를 하는 경우 맞벌이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방임의 훈육방식을 더욱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맞벌이를 하는 경우 방임의 훈육방식 사용 빈도의 증가로 아버지-자녀와의 부정적인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의 훈육방식과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의 상관관계는 하위 요인별로 부적상관관계 또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훈육방식간의 관계에서도 하위 요인별로 부적상관관계 또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자녀와의 관계 전체에 아버지의 훈육방식은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아버지의 훈육방식의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훈육방식의 하위요인 중 논리적 설명이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훈육방식이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버지의 훈육방식에는 강압적 체벌, 방임, 논리적 설명으로 보았으며, 이 변인들이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의 하위요소인 친밀감, 갈등,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서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A시에 소재한 4개 유치원의 만 3-5세 유아의 학부모 중 총 328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훈육방식의 정도는 대체로 긍정적인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압적 체벌, 방임, 논리적 설명의 세 가지 하위 변인 중에서 논리적 설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강압적 체벌, 상대적으로 방임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자녀와의 관계는 대체로 원만하고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의 친밀감, 갈등, 의존성 이 세 가지의 하위 변인 중에서 친밀감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의존성, 상대적으로 갈등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아버지의 배경변인의 하위 요인들은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맞벌이를 하는 경우 맞벌이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방임의 훈육방식을 더욱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맞벌이를 하는 경우 방임의 훈육방식 사용 빈도의 증가로 아버지-자녀와의 부정적인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의 훈육방식과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의 상관관계는 하위 요인별로 부적상관관계 또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훈육방식간의 관계에서도 하위 요인별로 부적상관관계 또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자녀와의 관계 전체에 아버지의 훈육방식은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아버지-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아버지의 훈육방식의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훈육방식의 하위요인 중 논리적 설명이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ffects of father’s discipli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 and a child. This study has looked at the father’s discipline from three variables: corporal punishment, neglect and logical explanation between fathers. Then it has examined how these three variable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ffects of father’s discipli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 and a child. This study has looked at the father’s discipline from three variables: corporal punishment, neglect and logical explanation between fathers. Then it has examined how these three variables effect the sub-variables of the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y in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This study has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discipline and father-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8 mothers of 3-5 year old children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rom four kindergartens in An-Dong, Gyeongsangbuk-do.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ANOVA, independent sample 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22.0 program. The summary of the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father’s discipline has been found to be generally positive. Among the three sub-variables of corporal punishment, neglect and logical explanation of the fathers, the logical explanation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followed by corporal punishment, while the neglect in father’s discipline was the lowest in effect. Data demonstrated father-child relationship has showed up that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is generally amicable and have good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sub-variables of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y in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intimac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ependency, and the conflict was the lowest. However, the sub-variables of the father’s backgrounds did no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discipline and father-child relationship is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positive-correlation depending on the sub-variabl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father’s discipline also showed the same trend, either has a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depending on the sub-variable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father’s discipline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 overall father-child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logical explanation, sub-variables of father’s discipline, have a big influenc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ffects of father’s discipli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 and a child. This study has looked at the father’s discipline from three variables: corporal punishment, neglect and logical explanation between fathers. Then it has examined how these three variables effect the sub-variables of the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y in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This study has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discipline and father-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8 mothers of 3-5 year old children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rom four kindergartens in An-Dong, Gyeongsangbuk-do.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ANOVA, independent sample 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22.0 program. The summary of the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father’s discipline has been found to be generally positive. Among the three sub-variables of corporal punishment, neglect and logical explanation of the fathers, the logical explanation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followed by corporal punishment, while the neglect in father’s discipline was the lowest in effect. Data demonstrated father-child relationship has showed up that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is generally amicable and have good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sub-variables of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y in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intimac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ependency, and the conflict was the lowest. However, the sub-variables of the father’s backgrounds did no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discipline and father-child relationship is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positive-correlation depending on the sub-variabl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father’s discipline also showed the same trend, either has a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depending on the sub-variable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father’s discipline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 overall father-child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logical explanation, sub-variables of father’s discipline, have a big influenc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