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피드백 추구행동,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직 상황에서의 2x2 성취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피드백 추구행동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인의 동기 요인인 성취목표지향성을 고려한 업무환경 조성과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수립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네 가지 유형과 혁신행동 간에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셋째, 접근/회피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마지막으로 수행/숙달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요약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 중 숙달접근지향성, 수행접근지향성은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지향성은 혁신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수행회피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회피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수행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추구행동이 회피목표지향성 수준이 높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의 감소 수준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피드백 추구행동의 강화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회피 목표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은 실패와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에 긍정적인 피드백, 팀 피드백 환경과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피드백 추구행동을 독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행목표지향성 수준이 높은 구성원에게 피드백 추구행동은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써 피드백 추구행동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수행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타인과의 비교 수준을 기준으로 목표를 수행하려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상대적인 ...
본 연구는 국내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피드백 추구행동,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직 상황에서의 2x2 성취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피드백 추구행동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인의 동기 요인인 성취목표지향성을 고려한 업무환경 조성과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수립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네 가지 유형과 혁신행동 간에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셋째, 접근/회피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마지막으로 수행/숙달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요약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 중 숙달접근지향성, 수행접근지향성은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지향성은 혁신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수행회피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회피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수행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추구행동이 회피목표지향성 수준이 높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의 감소 수준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피드백 추구행동의 강화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회피 목표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은 실패와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에 긍정적인 피드백, 팀 피드백 환경과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피드백 추구행동을 독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행목표지향성 수준이 높은 구성원에게 피드백 추구행동은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써 피드백 추구행동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수행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타인과의 비교 수준을 기준으로 목표를 수행하려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상대적인 수행 능력을 인지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스스로 조직 내 수행 수준을 점검하고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혁신행동으로 인한 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내 수행-회피 성향을 지닌 구성원을 대상으로 피드백 추구행동을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팀 피드백 환경과 문화를 조성하고 리더-구성원 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피드백 추구행동,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직 상황에서의 2x2 성취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피드백 추구행동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인의 동기 요인인 성취목표지향성을 고려한 업무환경 조성과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수립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네 가지 유형과 혁신행동 간에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셋째, 접근/회피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마지막으로 수행/숙달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요약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 중 숙달접근지향성, 수행접근지향성은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지향성은 혁신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수행회피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회피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수행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추구행동이 회피목표지향성 수준이 높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의 감소 수준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피드백 추구행동의 강화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회피 목표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은 실패와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에 긍정적인 피드백, 팀 피드백 환경과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피드백 추구행동을 독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행목표지향성 수준이 높은 구성원에게 피드백 추구행동은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써 피드백 추구행동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수행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타인과의 비교 수준을 기준으로 목표를 수행하려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상대적인 수행 능력을 인지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스스로 조직 내 수행 수준을 점검하고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혁신행동으로 인한 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내 수행-회피 성향을 지닌 구성원을 대상으로 피드백 추구행동을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팀 피드백 환경과 문화를 조성하고 리더-구성원 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2x2 goal orientation,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organizational context affects innovation behavior and to verify whether feedback-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2x2 goal orientation,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organizational context affects innovation behavior and to verify whether feedback-seeking behavior has a moderating effect. As a way to improve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employe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work environment and feedback considering the goal orientation of the individual. Upon the study research, first, is goal orientation correlated with innovative behavior? Second, does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moderate between the four sub-variables of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does feedback-seeking behavior moderate in relation to approach/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does feedback-seeking behavior moder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mastery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 approach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orienta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feedback-seeking behavior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formance avoidance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feedback-seeking behavior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nd avoidance goal orientation which includes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Fourth, feedback-seeking behaviors showed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feedback-seeking behavior is proved by showing that feedback-seeking behavior can alleviate the level of decrease in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with high level of avoidance goal orientation. High avoidance goal orientated employees are afraid of failures and negative feedback, so it is important that they need to encourage feedback-seeking behavior through positive feedback, team feedback culture, and active communication. Second, it is proved the effect of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as a factor to enhance the innovation behavior to the employees with the high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s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s higher, there is a tendency to perform the goal based on the comparison level with o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feedback that can recognize the performance result compared to others. This suggests that employees will be able to inspect their own performance levels and motivate them to fulfill their goals. In order to promote the achievement of innov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create a team feedback environment and culture that actively encourages feedback-seeking behavior for members with performance avoidance tendencie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o mak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a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2x2 goal orientation,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organizational context affects innovation behavior and to verify whether feedback-seeking behavior has a moderating effect. As a way to improve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employe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work environment and feedback considering the goal orientation of the individual. Upon the study research, first, is goal orientation correlated with innovative behavior? Second, does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moderate between the four sub-variables of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does feedback-seeking behavior moderate in relation to approach/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does feedback-seeking behavior moder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mastery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 approach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orienta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feedback-seeking behavior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formance avoidance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feedback-seeking behavior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nd avoidance goal orientation which includes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Fourth, feedback-seeking behaviors showed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feedback-seeking behavior is proved by showing that feedback-seeking behavior can alleviate the level of decrease in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with high level of avoidance goal orientation. High avoidance goal orientated employees are afraid of failures and negative feedback, so it is important that they need to encourage feedback-seeking behavior through positive feedback, team feedback culture, and active communication. Second, it is proved the effect of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as a factor to enhance the innovation behavior to the employees with the high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s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s higher, there is a tendency to perform the goal based on the comparison level with o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feedback that can recognize the performance result compared to others. This suggests that employees will be able to inspect their own performance levels and motivate them to fulfill their goals. In order to promote the achievement of innov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create a team feedback environment and culture that actively encourages feedback-seeking behavior for members with performance avoidance tendencie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o mak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activ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