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팀 피드백 환경이 피드백 추구행동을 통해 업무성장활력과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m Feedback Environment on Thriving at Work and Team Commitment through Feedback-Seeking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220 - 3229  

이창환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  이승윤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  신인용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BK플러스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적 요인으로서 팀 피드백 환경이 팀원들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더 나아가 업무성장활력과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적 요인으로서 팀원들의 자기효능감이 팀 피드백 환경 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명의 직장인들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상관관계분석위계적 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팀 피드백 환경은 팀원들의 피드백 추구행동과 양(+)의 관계를 나타냈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팀원일수록 팀 피드백 환경 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을 더 활발하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드백 추구행동은 업무성장활력 및 팀 몰입과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피드백 추구행동이 직무성과에는 물론 직무태도 및 일터에서의 활력 및 에너지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피드백 추구행동을 활성화시키는 긍정적인 팀 피드백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am feedback environment on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further explored how feedback-seeking behavior led to the feeling of thriving at work and team commitment. Also,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feedbac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팀 피드백 환경이 팀원들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업무성장활력과 팀 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팀 피드백 환경의 구축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또한 피드백 추구행동을 촉진하는 개인특성으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확인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사내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팀원의 피드백 추구행동이 업무성장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팀 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을 통해 유용한 피드백을 주고받는 일이 활성화될 경우 팀에 대한 몰입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팀 내에서 팀원들의 피드백 추구행동을 촉진하는 환경적 요인으로 팀 피드백 환경의 영향을 살펴보고, 개인적 요인인 자기효능감이 환경적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피드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탐색하였다. 또한, 피드백 추구행동이 업무성장활력과 팀 몰입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팀 내에서 팀원들의 피드백 추구행동을 촉진하는 환경적 요인으로 팀 피드백 환경의 영향을 살펴보고, 개인적 요인인 자기효능감이 환경적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피드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탐색하였다. 또한, 피드백 추구행동이 업무성장활력과 팀 몰입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팀 피드백 환경이 팀원들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업무성장활력과 팀 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팀 피드백 환경의 구축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또한 피드백 추구행동을 촉진하는 개인특성으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확인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사내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을 조직생활과 관련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Shere와 Adams(1983)[26]가 사용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7문항을 사용하였다.
  • 특히 신바람 나는 직장, 즐거운 일터 만들기 등의 움직임이 지향하는 일터에서의 활력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업무성장활력(thriving at work)이 있다 [13]. 본 연구에서는 팀원의 피드백 추구행동이 업무성장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팀 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을 통해 유용한 피드백을 주고받는 일이 활성화될 경우 팀에 대한 몰입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 때,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상사나 동료로부터 정보를 추구하는 행동을 피드백 추구행동(feedback-seeking behavior)이라 한다 [3].이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추구하는 의식적인 행동으로서, 미래의 바람직한 상태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특히 업무의 상당부분이 팀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 조직에서, 팀 내에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팀원들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팀 피드백 환경이 팀원들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팀원 개인의 특성인 자기효능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피드백 추구행동을 촉진시키는 개인특성으로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self-efficacy)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사회학습이론에서 도출된 개념으로, 개인이 주어진 상황에서 목표를 얼마나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자신의 판단 또는 신념을 의미한다[20].

가설 설정

  • 이에 추가하여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절차[29]에 따르면 (Step 1)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고, (Step 2)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며, (Step 3)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며, (Step 4) 매개변수를 통제했을 때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사라지거나 약해져야 한다.
  • 또한, 자기효능감이 팀 피드백 환경과 피드백 추구행동 간의관계를 조절하여, 자기효능감이 높은 팀원일수록 동일한 팀 피드백 환경 내에서도 피드백 추구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설 2). 또한, 피드백 추구행동의 결과로 업무성장활력(가설 3)과 팀 몰입이 증진됨을 밝혔다 (가설 4). 피드백 추구행동은 제한적인 부분매개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팀 피드백 환경이 업무성장활력과 팀 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드백 추구행동이란 무엇인가? 조직 내에서 상사나 동료에게 받는 피드백은 자신이 조직의 기대에 어느 정도 부응하고 있는지, 자신의 성과수준은 어느 정도이고 보완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2]. 이 때,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상사나 동료로부터 정보를 추구하는 행동을 피드백 추구행동(feedback-seeking behavior)이라 한다 [3].이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추구하는 의식적인 행동으로서, 미래의 바람직한 상태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드백 추구행동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 때,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상사나 동료로부터 정보를 추구하는 행동을 피드백 추구행동(feedback-seeking behavior)이라 한다 [3].이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추구하는 의식적인 행동으로서, 미래의 바람직한 상태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직 내에서 상사나 동료에게 받는 피드백은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가? 이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은 조직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 조직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자신이 해야 할일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 [1].조직 내에서 상사나 동료에게 받는 피드백은 자신이 조직의 기대에 어느 정도 부응하고 있는지, 자신의 성과수준은 어느 정도이고 보완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2]. 이 때,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상사나 동료로부터 정보를 추구하는 행동을 피드백 추구행동(feedback-seeking behavior)이라 한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 J. Kim, J. K. Lee, J. H. Wui, "Feedback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ediating role of conflict",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4, No.5, pp.2477-2497, 2011. 

  2. S. J. Ashford, L. L. Cummings, "Feedback as an individual resource: Personal strategies of creating inform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32, No.3, pp.370-398, 1983. DOI: http://dx.doi.org/10.1016/0030-5073(83)90156-3 

  3. S. J. Ashford, "Feedback-seeking in individual adaptation: A resourc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9, pp.465-487, 1986. DOI: http://dx.doi.org/10.2307/256219 

  4. D, VandeWalle, L. L. Cummings, "A test of the influence of goal orientation on the feedback-seek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2, pp.390-400, 1997.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2.3.390 

  5. S. P. Brown, S, Ganesan, G. Challagalla, "Self-efficacy as a moderator of information-seek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pp. 1043-1051, 2001.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6.5.1043 

  6. S. E. Moss, E. R. Valenzi, W. Taggart, "Are you hiding from your boss? The development of a taxonomy and instrument to assess the feedback management behaviors of good and bad performers," Journal of Management, Vol.29, No.4, pp.487-510,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149-2063_03_00022-9 

  7. P. E. Levy, R. T. Cober, T. Miller,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erceptions on feedback-seeking intent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2, pp.1703-1720, 2002. DOI: http://dx.doi.org/10.1111/j.1559-1816.2002.tb02771.x 

  8. M. London, H. H. Larsen, L. N. Thisted, "Relationships between feedback and self-development", Group Organization Management Vol.24, March, pp.15-27, 1999. DOI: http://dx.doi.org/10.1177/1059601199241002 

  9. Z. Chen, W. Lam, J. A. Zhong, "Leader-member exchange and member performance: A new look at individual-level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team-level empowerment climat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2, pp.202-212, 2007.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2.1.202 

  10. B. K. Choi, "The Effect of feedback-seeking behavior o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roles of supervisor's developmental feedback and trust in subordinat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7, No.2, pp. 179-199, 2014. 

  11. E. W. Morrison,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eking on newcomer soci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pp.173-183, 1993.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78.2.173 

  12. S. Y. Rhee, H. W. Park, J. H. Bae, H. K. Moon, "What facilitates energizing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s: Perspectives from multiple level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Vol.16, No.2, pp.95-128, 2008. 

  13. G. M. Spreitzer, K. Sutcliffe, J. Dutton, S. Sonenshein, A. M. Grant, "A socially embbedded model of thriving at work", Organization Science, Vol.16, pp.537-549, 2005. DOI: http://dx.doi.org/10.1287/orsc.1050.0153 

  14. P. E. Levy, J. R. Williams, "The social context of performance appraisal: A review and framework for the future", Journal of Management, Vol.30, pp.881-905, 2004. DOI: http://dx.doi.org/10.1016/j.jm.2004.06.005 

  15. L. A. Steelman, P. E. Levy, A. F. Snell, "The feedback environment scale: Construct 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4, pp.165-184, 2004. DOI: http://dx.doi.org/10.1177/0013164403258440 

  16. S. H. Lee, T. Y. Han, "The effects of performance coaching and feedback environment on the fairness perception to performance appraisal",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21, No.1, pp.59-81, 2008. 

  17. C. Norris-Watts, P. E. Levy,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commitment in the relation of the feedback environment to work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5, pp.351-365, 2004. DOI: http://dx.doi.org/10.1016/j.jvb.2003.08.003 

  18. D. R. Ilgen, C. D. Fisher, S. M. Taylor, "Consequences of individual feedback on behavior in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4, pp.359-371, 1979.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64.4.349 

  19. D. M. Herold, R. C. Liden, M. L. Leatherwood, "Using multiple attributes to assess sources of performance feedbac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0, pp.826-835, 1987. DOI: http://dx.doi.org/10.2307/256164 

  20.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6. 

  21. A. Bandur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8, pp.117-148, 1993. DOI: http://dx.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22. R. T. Mowday, L. W. Poter, R. M. Steers,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1982. 

  23. J W. Bishop, D. Scott, S M. Burroughs, "Support, commitment and employee outcomes in a team environment", Journal of Management, Vol.26, No.6, pp.1113-1132, 2000. DOI: http://dx.doi.org/10.1177/014920630002600603 

  24. G. M. Spreitzer, C. Porath, "Creating sustainabl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 pp.93-99, 2012. 

  25. S. H. Chung, T. Y. Yoo, "Antecedents and outcomes of monitoring and inquiry for feedback seeking",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21, No.2, pp.285-312, 2008. 

  26. M. Shere, C. H. Adams,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Vol.53, pp.899-902, 1983. DOI: http://dx.doi.org/10.2466/pr0.1983.53.3.899 

  27. C. L. Porath, G. M. Spreitzer, C. B. Gibson, F. G. Garnett. "Thriving at work: Toward its measurement, construct validation, and theoretical refine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3, pp.250-275, 2012. DOI: http://dx.doi.org/10.1002/job.756 

  28. S. A. Shim, K. B. Baek, J. H. Kim, "Interpersonal factors of Korean leadership model and the relationships with team effectivenes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Commerce, Vol.10, No.1, pp. 665-698, 2014. 

  29.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30. W. Liang, "Proactive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s of protege's feedback seeking behaviors and feedback acceptance", Master's Degree Thesis, Chonnam University, 2013. 

  31. G. Wang, R. Netemeyer, "The effects of job autonomy, customer demandingness, and trait competitiveness on salesperson learning,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0, pp.217-228, 2002. DOI: http://dx.doi.org/10.1177/00970302030003003 

  32. M. Kohn, C. Schooler, "The reciprocal effects of the substantive complexity of work and intellectual flexibility: A longitudinal assess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84, pp.24-52, 1978. DOI: http://dx.doi.org/10.1086/226739 

  33. D. Chiaburu, D. Harrison, "Do peers make the place? Conceptual synthesis and meta-analysis of coworker effects on perceptions, attitudes, OCBs,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3, pp.1082-1103, 2008.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3.5.1082 

  34. A. S. Gaur, S. S. Gaur, Statistical methods for practice an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