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Test for Instagram Addiction: TIA)를 타당화하고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TIA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요인과 문항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Test for Instagram Addiction: TIA)를 타당화하고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TIA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요인과 문항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얻어진 모형들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한국판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Korean Version of Test for Instagram Addiction: K-TIA)를 구성하였다. 이후, 척도 내의 지수들과 관련 변인들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총 22문항의 6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신체적 및 대인관계적 문제 요인과 회피(기분변화), 강박 요인은 원척도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통제능력의 상실, 철수, 과도한 사용 요인은 몇몇 문항들이 분리되어 새로운 요인(금단, 현저성)으로 결합되었다. 최종적으로 K-TIA의 요인은 (1) 통제능력의 상실, (2) 신체적 및 대인관계적 문제, (3) 기분변화, (4) 강박, (5) 금단, (6) 현저성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K-TIA의 개념 신뢰도 및 AVE 값 등을 통해 집중 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와 정적 상관을 보여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 2에서는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해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간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비교경향성과 스트레스, 인스타그램 중독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비교경향성과 인스타그램 중독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스타그램 중독을 측정 도구를 국내실정에 맞게 타당화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인스타그램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사회비교경향성은 스트레스를 높이고, 높아진 스트레스는 인스타그램 중독 수준을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Test for Instagram Addiction: TIA)를 타당화하고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TIA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요인과 문항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얻어진 모형들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한국판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Korean Version of Test for Instagram Addiction: K-TIA)를 구성하였다. 이후, 척도 내의 지수들과 관련 변인들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총 22문항의 6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신체적 및 대인관계적 문제 요인과 회피(기분변화), 강박 요인은 원척도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통제능력의 상실, 철수, 과도한 사용 요인은 몇몇 문항들이 분리되어 새로운 요인(금단, 현저성)으로 결합되었다. 최종적으로 K-TIA의 요인은 (1) 통제능력의 상실, (2) 신체적 및 대인관계적 문제, (3) 기분변화, (4) 강박, (5) 금단, (6) 현저성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K-TIA의 개념 신뢰도 및 AVE 값 등을 통해 집중 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와 정적 상관을 보여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 2에서는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해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간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비교경향성과 스트레스, 인스타그램 중독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비교경향성과 인스타그램 중독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스타그램 중독을 측정 도구를 국내실정에 맞게 타당화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인스타그램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사회비교경향성은 스트레스를 높이고, 높아진 스트레스는 인스타그램 중독 수준을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