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위치한 N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아동 중 담임 교사의 추천과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밝힌 16명의 아동이었다. 1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20일부터 2019년 6월 21일까지 2일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측정치에 대해 맨-휘트니의 U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동질성을 검증하여 실험...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위치한 N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아동 중 담임 교사의 추천과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밝힌 16명의 아동이었다. 1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20일부터 2019년 6월 21일까지 2일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측정치에 대해 맨-휘트니의 U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동질성을 검증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는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8월 8일까지 60분씩 주 2회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정서지능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시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 중에 나타난 단계별·개인별 변화 내용을 분석하여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지능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 결과, 실험집단의 정서지능과 하위 4개 요인이 프로그램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통제집단의 정서지능과 하위 4개 요인은 프로그램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 중에 나타난 단계별·개인별 변화를 내용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집단원들이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인식하고 표현하는 횟수가 증가하였고, 상황과 맥락에 맞게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며 타인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위치한 N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아동 중 담임 교사의 추천과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밝힌 16명의 아동이었다. 1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20일부터 2019년 6월 21일까지 2일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측정치에 대해 맨-휘트니의 U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동질성을 검증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는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8월 8일까지 60분씩 주 2회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정서지능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시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 중에 나타난 단계별·개인별 변화 내용을 분석하여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지능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 결과, 실험집단의 정서지능과 하위 4개 요인이 프로그램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통제집단의 정서지능과 하위 4개 요인은 프로그램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 중에 나타난 단계별·개인별 변화를 내용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집단원들이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인식하고 표현하는 횟수가 증가하였고, 상황과 맥락에 맞게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며 타인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 16 second graders at N Elementary School in P City. They were recommended by their homeroom teacher and show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 16 second graders at N Elementary School in P City. They were recommended by their homeroom teacher and show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16 children were put to the pre-test for two days on June 20 and 21, 2019. They were then put to the Mann-Whitney U test based on their pre-test measurements to have their homogeneity tested. Based on the resul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of eight and the control group of eight.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12-session program with a 60-minute session twice per week on July 1~August 8, 2019.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s.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were tested fo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pre- and post-t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Wilcoxon’s signed-ranks test follow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tatistically. In addition, the content of group and individual changes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 was analyzed to figure out changes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 group.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ilcoxon’s signed-ranks test resul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experiment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subfactors in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econdly,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group and individual changes in the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and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 group.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program, the members of the experiment group expressed their emotions in higher frequency and engaged in more interactions with others by adjusting their emotions according to situations and context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 16 second graders at N Elementary School in P City. They were recommended by their homeroom teacher and show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16 children were put to the pre-test for two days on June 20 and 21, 2019. They were then put to the Mann-Whitney U test based on their pre-test measurements to have their homogeneity tested. Based on the resul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of eight and the control group of eight.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12-session program with a 60-minute session twice per week on July 1~August 8, 2019.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s.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were tested fo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pre- and post-t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Wilcoxon’s signed-ranks test follow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tatistically. In addition, the content of group and individual changes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 was analyzed to figure out changes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 group.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ilcoxon’s signed-ranks test resul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experiment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subfactors in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econdly,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group and individual changes in the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and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 group.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program, the members of the experiment group expressed their emotions in higher frequency and engaged in more interactions with others by adjusting their emotions according to situations and context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icture book-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