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마켄고(Kengo Kuma)는 일본을 대표해서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건축 활동을 전개하는 국제적인 건축가이며, 동시에 『약한 건축』, 『자연스러운 건축』, 『작은 건축』 등 수많은 건축서와 에세이를 통한 집필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건축평론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그의 저서의 제목에는 주로 ‘약함’, ‘자연’, ‘작은’ 등 건축과는 상반된 속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일본적 전통의 가치관에 바탕을 둔 자신의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개념을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구체화시키기 위한 그의 비평적 사고가 바탕 되어있다. 이는 새로운 기술의 물결로 인해 문화와 전통의 의미가 퇴색되고 모방이나 재현의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오늘날, 창조적인 문화공간을 설계해야하는 공간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쿠마켄고로 선정하여, 그의 비평적 사고가 건축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건축론과 표현방법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쿠마켄고의 건축론의 전체를 관철하는 비평적 사고에 대해 고찰하였다. 역사적으로 일본의 건축가들은 서구건축과의 대립적 관계 속에서 비평적 검토를 통해 일본 전통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어지고 있었다. 쿠마켄고 또한 선배건축가들과 정신을 계승하고 있으나, 그 관점이나 대응의 방법에 있어서는 그들과 다른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를 드러내는 배경에는 그가 성장해오던 시대적인 배경과 함께, 가정환경의 영향을 통해 형성된 그만의 독특한 비평적 사고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그가 자신의 전통에 바탕을 둔 건축관을 전개해나가기 위해 근대건축을 비평한 관점은 근대건축의 사물성에 대한 비평, 근대건축가들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대한 비평, 후기자본주의에 대한 비평 세 가지 관점이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쿠마켄고의 비평적 사고와 관점들이 건축론으로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각각의 건축론과 표현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장 먼저 고안된 ‘지우는 건축’은 근대건축의 물질성이 초래하는 폐쇄적인 특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폐쇄적인 경계를 지우기 위해 형태의 매입화, 형태의 투명화, 물질의 구체화, 물질의 극소화, 물질의 입자화의 표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고안된 ‘자연스러운 건축’은 근대건축의 ‘무장소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장소성’의 의미를 발현하기 위해 장소의 토착성, 장소의 시간성, 장소의 전통성, 장소의 공공성의 표현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유기적인 건축’은 근대건축의 ‘수동적 신체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신체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지각의 공감각적 신체성, 움직임의 역동적 신체성, 체화된 기억의 익숙한 신체성의 표현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는, 쿠마켄고의 비평적 건축론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표현방법의 특성이 그의 건축 작품 안에서 어떻게 표현되어지고 있는 사례분석을 통한 분석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그의 건축론에서 ...
쿠마켄고(Kengo Kuma)는 일본을 대표해서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건축 활동을 전개하는 국제적인 건축가이며, 동시에 『약한 건축』, 『자연스러운 건축』, 『작은 건축』 등 수많은 건축서와 에세이를 통한 집필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건축평론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그의 저서의 제목에는 주로 ‘약함’, ‘자연’, ‘작은’ 등 건축과는 상반된 속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일본적 전통의 가치관에 바탕을 둔 자신의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개념을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구체화시키기 위한 그의 비평적 사고가 바탕 되어있다. 이는 새로운 기술의 물결로 인해 문화와 전통의 의미가 퇴색되고 모방이나 재현의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오늘날, 창조적인 문화공간을 설계해야하는 공간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쿠마켄고로 선정하여, 그의 비평적 사고가 건축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건축론과 표현방법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쿠마켄고의 건축론의 전체를 관철하는 비평적 사고에 대해 고찰하였다. 역사적으로 일본의 건축가들은 서구건축과의 대립적 관계 속에서 비평적 검토를 통해 일본 전통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어지고 있었다. 쿠마켄고 또한 선배건축가들과 정신을 계승하고 있으나, 그 관점이나 대응의 방법에 있어서는 그들과 다른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를 드러내는 배경에는 그가 성장해오던 시대적인 배경과 함께, 가정환경의 영향을 통해 형성된 그만의 독특한 비평적 사고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그가 자신의 전통에 바탕을 둔 건축관을 전개해나가기 위해 근대건축을 비평한 관점은 근대건축의 사물성에 대한 비평, 근대건축가들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대한 비평, 후기자본주의에 대한 비평 세 가지 관점이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쿠마켄고의 비평적 사고와 관점들이 건축론으로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각각의 건축론과 표현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장 먼저 고안된 ‘지우는 건축’은 근대건축의 물질성이 초래하는 폐쇄적인 특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폐쇄적인 경계를 지우기 위해 형태의 매입화, 형태의 투명화, 물질의 구체화, 물질의 극소화, 물질의 입자화의 표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고안된 ‘자연스러운 건축’은 근대건축의 ‘무장소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장소성’의 의미를 발현하기 위해 장소의 토착성, 장소의 시간성, 장소의 전통성, 장소의 공공성의 표현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유기적인 건축’은 근대건축의 ‘수동적 신체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신체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지각의 공감각적 신체성, 움직임의 역동적 신체성, 체화된 기억의 익숙한 신체성의 표현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는, 쿠마켄고의 비평적 건축론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표현방법의 특성이 그의 건축 작품 안에서 어떻게 표현되어지고 있는 사례분석을 통한 분석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그의 건축론에서 장소성, 신체성, 물질성의 순으로 중요시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으며, 이는 그에게 장소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과 장소로부터 형성되는 물질이 이미 하나로 얽혀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의 작품에서 ‘환경-물질-신체’가 긴밀하게 상호 연관성의 관계를 통해 실존적으로 얽혀 있는 것을 파악했다. 즉, 이는 인간과 환경 그리고 건축 각각을 독립적인 시점에서 이해하고자 했던 서구 및 근대건축의 단절적 시각에 대한 비평이며, 이에 대한 안티테제적으로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동양의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에 바탕을 둔 일본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는 쿠마켄고에게 ‘반-오브젝트’임을 파악해보았다.
쿠마켄고(Kengo Kuma)는 일본을 대표해서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건축 활동을 전개하는 국제적인 건축가이며, 동시에 『약한 건축』, 『자연스러운 건축』, 『작은 건축』 등 수많은 건축서와 에세이를 통한 집필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건축평론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그의 저서의 제목에는 주로 ‘약함’, ‘자연’, ‘작은’ 등 건축과는 상반된 속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일본적 전통의 가치관에 바탕을 둔 자신의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개념을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구체화시키기 위한 그의 비평적 사고가 바탕 되어있다. 이는 새로운 기술의 물결로 인해 문화와 전통의 의미가 퇴색되고 모방이나 재현의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오늘날, 창조적인 문화공간을 설계해야하는 공간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쿠마켄고로 선정하여, 그의 비평적 사고가 건축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건축론과 표현방법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쿠마켄고의 건축론의 전체를 관철하는 비평적 사고에 대해 고찰하였다. 역사적으로 일본의 건축가들은 서구건축과의 대립적 관계 속에서 비평적 검토를 통해 일본 전통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어지고 있었다. 쿠마켄고 또한 선배건축가들과 정신을 계승하고 있으나, 그 관점이나 대응의 방법에 있어서는 그들과 다른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를 드러내는 배경에는 그가 성장해오던 시대적인 배경과 함께, 가정환경의 영향을 통해 형성된 그만의 독특한 비평적 사고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그가 자신의 전통에 바탕을 둔 건축관을 전개해나가기 위해 근대건축을 비평한 관점은 근대건축의 사물성에 대한 비평, 근대건축가들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대한 비평, 후기자본주의에 대한 비평 세 가지 관점이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쿠마켄고의 비평적 사고와 관점들이 건축론으로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각각의 건축론과 표현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장 먼저 고안된 ‘지우는 건축’은 근대건축의 물질성이 초래하는 폐쇄적인 특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폐쇄적인 경계를 지우기 위해 형태의 매입화, 형태의 투명화, 물질의 구체화, 물질의 극소화, 물질의 입자화의 표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고안된 ‘자연스러운 건축’은 근대건축의 ‘무장소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장소성’의 의미를 발현하기 위해 장소의 토착성, 장소의 시간성, 장소의 전통성, 장소의 공공성의 표현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유기적인 건축’은 근대건축의 ‘수동적 신체성’에 대해 비평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의 방법으로 신체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지각의 공감각적 신체성, 움직임의 역동적 신체성, 체화된 기억의 익숙한 신체성의 표현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는, 쿠마켄고의 비평적 건축론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표현방법의 특성이 그의 건축 작품 안에서 어떻게 표현되어지고 있는 사례분석을 통한 분석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그의 건축론에서 장소성, 신체성, 물질성의 순으로 중요시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으며, 이는 그에게 장소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과 장소로부터 형성되는 물질이 이미 하나로 얽혀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의 작품에서 ‘환경-물질-신체’가 긴밀하게 상호 연관성의 관계를 통해 실존적으로 얽혀 있는 것을 파악했다. 즉, 이는 인간과 환경 그리고 건축 각각을 독립적인 시점에서 이해하고자 했던 서구 및 근대건축의 단절적 시각에 대한 비평이며, 이에 대한 안티테제적으로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동양의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에 바탕을 둔 일본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는 쿠마켄고에게 ‘반-오브젝트’임을 파악해보았다.
Kengo Kuma is an international architect engaging in various architectural activities around the world, representing Japan. He is also widely known as an architectural critic to convey his ideas through many architecture books and essays including Weak Architecture, Natural Architecture, and Small A...
Kengo Kuma is an international architect engaging in various architectural activities around the world, representing Japan. He is also widely known as an architectural critic to convey his ideas through many architecture books and essays including Weak Architecture, Natural Architecture, and Small Architecture. He usually uses concepts of opposite attributes to architecture such as "weak," "natural" and "small" in his book titles. The background behind his choice is his critical thinking to specify his subjective and intuitive concepts based on the traditional Japanese values in logical and scientific methods. This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for spatial designers that are supposed to design a creative cultural space today when culture and traditional have faded in their meanings and remain at the level of copy or reproduction due to the new technological waves.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engo Kuma's critical thinking on his architecture theories and figure out his architecture theories and expressive method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dopted the following methodology: First, the study reviewed his critical thinking penetrating his entire architecture theories. Historically, Japanese architects have made diverse efforts to discover the true meaning of Japanese tradition and adjust it through critical reviews in their confronting relations with Western architecture. Kengo Kuma has also inherited the spirit of his predecessors, but he has taken different paths from them in perspectives and response methods. The background behind these differences is his unique critical thinking that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mily environment along with the backgrounds of the times when he grew up. Based on this foundation, he has developed three perspectives to criticize modern architecture and build his own viewpoint of architecture based on his tradition: criticism of thingness in modern architecture, criticism of modern architects' authoritarian attitude, and criticism of post-capitalism. Secondly, the study examined each of his architecture theori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how his critical thinking and perspectives developed into his architecture theories. He first devised "erasing architecture" to criticize the closed features that would result in the thingness of modern architecture. Reacting to it, he used many different approaches to erase a closed boundary such as turning forms into purchases, making forms transparent, making materials specific, minimizing materials, and making materials particles. He then devised "natural architecture" to criticize "placelessness" in large buildings. Reacting to it, he used such expressive methods as the indigenousness, temporality, traditionality, and publicness of a place to manifest the meanings of "placeness." Lastly, he criticized the "passive corporeality" of modern architecture with his "organic architecture." Reacting to it, he used such expressive methods as the synaesthetic corporeality of perception, the dynamic corporeality of movement, and familiar corporeality of accumulated memories i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body. Finally, the study conducted case analysis to figure out how the characteristics of his expressive methods used in his critical architecture theories were expressed in his architectural work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he placed the greatest importance on placeness, corporeality, and materiality in the order in his architecture theories. For him, the lives of people living around places are intertwined into one with materials formed from places. They are entangled in existent ways through the close mutual relations of "environment, material, and body" in his works. That is, it is his criticism of the segmented viewpoints in Western and modern architecture, which tried to understand m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at independent viewpoints. It shows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Japanese architecture based on the Oriental idea of unity between the Heaven and man, which states that everything is connected into one, as an antithesis. It is also an "anti-object" for him.
Kengo Kuma is an international architect engaging in various architectural activities around the world, representing Japan. He is also widely known as an architectural critic to convey his ideas through many architecture books and essays including Weak Architecture, Natural Architecture, and Small Architecture. He usually uses concepts of opposite attributes to architecture such as "weak," "natural" and "small" in his book titles. The background behind his choice is his critical thinking to specify his subjective and intuitive concepts based on the traditional Japanese values in logical and scientific methods. This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for spatial designers that are supposed to design a creative cultural space today when culture and traditional have faded in their meanings and remain at the level of copy or reproduction due to the new technological waves.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engo Kuma's critical thinking on his architecture theories and figure out his architecture theories and expressive method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dopted the following methodology: First, the study reviewed his critical thinking penetrating his entire architecture theories. Historically, Japanese architects have made diverse efforts to discover the true meaning of Japanese tradition and adjust it through critical reviews in their confronting relations with Western architecture. Kengo Kuma has also inherited the spirit of his predecessors, but he has taken different paths from them in perspectives and response methods. The background behind these differences is his unique critical thinking that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mily environment along with the backgrounds of the times when he grew up. Based on this foundation, he has developed three perspectives to criticize modern architecture and build his own viewpoint of architecture based on his tradition: criticism of thingness in modern architecture, criticism of modern architects' authoritarian attitude, and criticism of post-capitalism. Secondly, the study examined each of his architecture theori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how his critical thinking and perspectives developed into his architecture theories. He first devised "erasing architecture" to criticize the closed features that would result in the thingness of modern architecture. Reacting to it, he used many different approaches to erase a closed boundary such as turning forms into purchases, making forms transparent, making materials specific, minimizing materials, and making materials particles. He then devised "natural architecture" to criticize "placelessness" in large buildings. Reacting to it, he used such expressive methods as the indigenousness, temporality, traditionality, and publicness of a place to manifest the meanings of "placeness." Lastly, he criticized the "passive corporeality" of modern architecture with his "organic architecture." Reacting to it, he used such expressive methods as the synaesthetic corporeality of perception, the dynamic corporeality of movement, and familiar corporeality of accumulated memories i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body. Finally, the study conducted case analysis to figure out how the characteristics of his expressive methods used in his critical architecture theories were expressed in his architectural work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he placed the greatest importance on placeness, corporeality, and materiality in the order in his architecture theories. For him, the lives of people living around places are intertwined into one with materials formed from places. They are entangled in existent ways through the close mutual relations of "environment, material, and body" in his works. That is, it is his criticism of the segmented viewpoints in Western and modern architecture, which tried to understand m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at independent viewpoints. It shows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Japanese architecture based on the Oriental idea of unity between the Heaven and man, which states that everything is connected into one, as an antithesis. It is also an "anti-object" for hi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