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학생의 체중조절 태도 및 실태와 신체활동 태도 및 실태를 파악하고 체중조절 관련 건강신념과 운동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서 건강한 체중조절과 신체활동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소재한 중학교 8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중학...
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학생의 체중조절 태도 및 실태와 신체활동 태도 및 실태를 파악하고 체중조절 관련 건강신념과 운동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서 건강한 체중조절과 신체활동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소재한 중학교 8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중학생들은 체중조절 태도 및 실태는 다소 마른체형을 이상적인 체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자신에 체형에 불만족하며 더 마른 체형을 선호하였다. 또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체중조절에 대한 필요성 및 관심도가 높았으며 체중조절을 시도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조절 관련 건강신념은 남녀중학생 모두 체중조절에 대한 이익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인지된 민감성, 심각성, 장애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중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여학생은 남학생 보다 낮은 신체활동 실천율과 신체활동량을 보여주었다. 또한 중학생들의 대부분의 신체활동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체육시간에 대한 낮은 만족감과 수업참여도 보여주었으며, 낮은 운동효능감, 운동지속의도를 갖고 있었다. 반면 좌식행동 수준은 신체활동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운동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남녀 모두 인지된 민감성, 장애성, 운동효능감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효능감과 운동지속의도는 실제 신체활동에 정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통해 운동효능감은 운동지속의도와 실제 신체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체육교사는 학생들 수준에 맞는 체육수업을 구성하고 운동에 대한 성공적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신체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의지를 높여줄 필요가 있으며, 남녀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흥미롭고 다양한 체육수업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건강한 체중조절 행위를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신체상을 형성하고 체중조절에 대한 긍정적 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학교 및 가정에서 적극적인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학생의 체중조절 태도 및 실태와 신체활동 태도 및 실태를 파악하고 체중조절 관련 건강신념과 운동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서 건강한 체중조절과 신체활동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소재한 중학교 8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중학생들은 체중조절 태도 및 실태는 다소 마른체형을 이상적인 체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자신에 체형에 불만족하며 더 마른 체형을 선호하였다. 또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체중조절에 대한 필요성 및 관심도가 높았으며 체중조절을 시도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조절 관련 건강신념은 남녀중학생 모두 체중조절에 대한 이익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인지된 민감성, 심각성, 장애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중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여학생은 남학생 보다 낮은 신체활동 실천율과 신체활동량을 보여주었다. 또한 중학생들의 대부분의 신체활동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체육시간에 대한 낮은 만족감과 수업참여도 보여주었으며, 낮은 운동효능감, 운동지속의도를 갖고 있었다. 반면 좌식행동 수준은 신체활동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운동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남녀 모두 인지된 민감성, 장애성, 운동효능감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효능감과 운동지속의도는 실제 신체활동에 정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통해 운동효능감은 운동지속의도와 실제 신체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체육교사는 학생들 수준에 맞는 체육수업을 구성하고 운동에 대한 성공적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신체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의지를 높여줄 필요가 있으며, 남녀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흥미롭고 다양한 체육수업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건강한 체중조절 행위를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신체상을 형성하고 체중조절에 대한 긍정적 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학교 및 가정에서 적극적인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healthy weight control and physical activity, by understanding the attitude and actual state of weight control, and the attitude and actual state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and also analyzing the effects o...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healthy weight control and physical activity, by understanding the attitude and actual state of weight control, and the attitude and actual state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and also analyzing the effects of health belief related to weight control,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n physical activity. Randomly selecting eight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region as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first-third graders of those schoo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25.0 Program. In the attitude and actual state of weight control,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perceived a bit thin body shape as an ideal body shape. Especially,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own body shapes than the male students, and they preferred the thinner body shape. Also, compared to the male students, the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r necessity and interest in weight control while they had lots of experiences of attempting weight control. In the health belief related to weight control,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perceiving the benefits of weight control. However, in case of female students, the perceived sensitivity, seriousness, and obstac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ale students. The practice rate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was very low, and especially, the female students showed the lower practice rat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lower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an the male students. Even though most of the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performed at school, the female students showed the lower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an the male students. They also had the low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the higher-level of sedentary behavior compared to physical activity. As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e perceived sensitivity, obstacle, and exercise self-efficacy had effects on it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ile th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tual physical activity. Such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is a factor having positive effects on the actual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erefore,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uld need to increase the students’ confidence in exercise and their will to continue the physical activity by compos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uitable for the level of students, and also continuously providing successful experiences of exercise, and also to compose such interesting and various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could be actively participated by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in order to continuously practise the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 the school and home should provide active attention and education, so that they could form a desirable body image and also have a positive cognition of weight control.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healthy weight control and physical activity, by understanding the attitude and actual state of weight control, and the attitude and actual state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and also analyzing the effects of health belief related to weight control,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n physical activity. Randomly selecting eight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region as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first-third graders of those schoo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25.0 Program. In the attitude and actual state of weight control,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perceived a bit thin body shape as an ideal body shape. Especially,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own body shapes than the male students, and they preferred the thinner body shape. Also, compared to the male students, the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r necessity and interest in weight control while they had lots of experiences of attempting weight control. In the health belief related to weight control,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perceiving the benefits of weight control. However, in case of female students, the perceived sensitivity, seriousness, and obstac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ale students. The practice rate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was very low, and especially, the female students showed the lower practice rat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lower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an the male students. Even though most of the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performed at school, the female students showed the lower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an the male students. They also had the low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the higher-level of sedentary behavior compared to physical activity. As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e perceived sensitivity, obstacle, and exercise self-efficacy had effects on it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ile th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tual physical activity. Such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is a factor having positive effects on the actual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erefore,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uld need to increase the students’ confidence in exercise and their will to continue the physical activity by compos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uitable for the level of students, and also continuously providing successful experiences of exercise, and also to compose such interesting and various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could be actively participated by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in order to continuously practise the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 the school and home should provide active attention and education, so that they could form a desirable body image and also have a positive cognition of weight contro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