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자 생활체육 축구 동호인들의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 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가 생활체육 축구 동호회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지역에 활동 중인 축구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 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4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도구로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특성 5문항,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 18문항, 참여동기 16문항, 참여지속의도 7문항 총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
축구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 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 남 열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체육교육전공 (지도교수 : 김 인 숙)
본 연구는 남자 생활체육 축구 동호인들의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 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가 생활체육 축구 동호회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지역에 활동 중인 축구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 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4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도구로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특성 5문항,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 18문항, 참여동기 16문항, 참여지속의도 7문항 총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연령 간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도전, 몰입, 흥미. 기술 모든 요인에서 20대 집단이 가장 높게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기간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중 몰입, 흥미, 기술에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몰입은 3년 이상, 흥미는 3년 미만, 기술은 3년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빈도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중 도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주 3회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시간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도전, 몰입, 흥미, 기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도전은 3시간 이상, 몰입, 흥미, 기술 요인에서 3시간미만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스포츠 노출 빈도에 따른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도전, 몰입, 흥미. 기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모든 요인에서 주 6회 집단이 가장 높게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을 하고 있었다. 미디어스포츠 노출 빈도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중 즐거움, 건강⦁컨디션, 기술성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건강, 기술성취는 주 6회 집단에서 건강⦁컨디션은 주 4~5회 집단에서 가장 높게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을 하고 있었다. 미디어스포츠 노출 빈도에 따른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을 높게 인지할수록 참여동기에 긍정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지속의도 또한 긍정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참여동기를 높게 인지할수록 참여지속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구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 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 남 열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체육교육전공 (지도교수 : 김 인 숙)
본 연구는 남자 생활체육 축구 동호인들의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 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가 생활체육 축구 동호회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지역에 활동 중인 축구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 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4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도구로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특성 5문항,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 18문항, 참여동기 16문항, 참여지속의도 7문항 총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연령 간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도전, 몰입, 흥미. 기술 모든 요인에서 20대 집단이 가장 높게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기간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중 몰입, 흥미, 기술에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몰입은 3년 이상, 흥미는 3년 미만, 기술은 3년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빈도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중 도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주 3회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에 따른 참여시간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도전, 몰입, 흥미, 기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도전은 3시간 이상, 몰입, 흥미, 기술 요인에서 3시간미만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스포츠 노출 빈도에 따른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도전, 몰입, 흥미. 기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모든 요인에서 주 6회 집단이 가장 높게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을 하고 있었다. 미디어스포츠 노출 빈도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중 즐거움, 건강⦁컨디션, 기술성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건강, 기술성취는 주 6회 집단에서 건강⦁컨디션은 주 4~5회 집단에서 가장 높게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을 하고 있었다. 미디어스포츠 노출 빈도에 따른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축구 관련 미디어스포츠 관여 경험을 높게 인지할수록 참여동기에 긍정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지속의도 또한 긍정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참여동기를 높게 인지할수록 참여지속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ree years, interest was less than three years, and technology was more than three year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related to soccer-related media sports. Among the sub-factors, there was a si...
three years, interest was less than three years, and technology was more than three year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related to soccer-related media sports. Among the sub-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llenge, and it was high in the three times a week group.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time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related to soccer-related media spor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factors challenge, immersion, interest, and skill. In addition, the challenge was higher in the less than 3 hours group for more than 3 hours, immersion, interest, and technical factors. Fifth,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media sports involvement experi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media sports expos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ll of the techniqu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in all factors, the six-week group had the highest experience with media sports. As a result of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media sports exposu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mong sub-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joyment, health condition, and technical achievement. In addition, health and skill achievement was the highest in the six-week group, and health condition was the highest in the media sports participation group.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media sports expo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the higher the perceived experience of soccer-related media sports, the more positively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found,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also positively affected. Seventh, the higher the motivation, the more positively it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three years, interest was less than three years, and technology was more than three year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related to soccer-related media sports. Among the sub-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llenge, and it was high in the three times a week group.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time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related to soccer-related media spor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factors challenge, immersion, interest, and skill. In addition, the challenge was higher in the less than 3 hours group for more than 3 hours, immersion, interest, and technical factors. Fifth,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media sports involvement experi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media sports expos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ll of the techniqu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in all factors, the six-week group had the highest experience with media sports. As a result of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media sports exposu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mong sub-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joyment, health condition, and technical achievement. In addition, health and skill achievement was the highest in the six-week group, and health condition was the highest in the media sports participation group.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media sports expo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the higher the perceived experience of soccer-related media sports, the more positively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found,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also positively affected. Seventh, the higher the motivation, the more positively it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