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이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이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재 유형에 따른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는 어떠한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적장애 성인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n=12)과 통제집단(n=12)으로 나누고, 대상자의 선호도와 특성에 따...
본 연구는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이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이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재 유형에 따른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는 어떠한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적장애 성인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n=12)과 통제집단(n=12)으로 나누고, 대상자의 선호도와 특성에 따라 다시 일대일 중재(n=6)와 소그룹 중재(n=6)를 하는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대상자의 언어연령(9-11세)에 맞추어 중재 글은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에서 선정하였으며, 사전검사는 KISE-BAAT(읽기)의 가형, 사후검사는 동형의 검사 나형을 사용하였다. 중재는 주 1회 총 20회기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을 중재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읽기의 직접 교수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읽기 이해 능력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향상되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의 향상된 평균 점수(2.59)에 비해 실험집단의 향상된 평균 점수(6.17)가 더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은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중재 유형에 따른 읽기 이해는 두 집단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대상자들 스스로 중재 유형을 선택함으로써 중재 동안 능동적인 참여 태도와 만족감을 보였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제언하자면, 첫째, 대상자의 인원이 한정적이며 회기가 짧아 일반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 대상자들의 읽기 흥미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표를 더한 연구를 기대한다. 셋째, 읽기 외 다른 영역에도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하여 동시에 결과를 검증해보는 연구가 더 의미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유지검사를 추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이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이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재 유형에 따른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는 어떠한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적장애 성인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n=12)과 통제집단(n=12)으로 나누고, 대상자의 선호도와 특성에 따라 다시 일대일 중재(n=6)와 소그룹 중재(n=6)를 하는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대상자의 언어연령(9-11세)에 맞추어 중재 글은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에서 선정하였으며, 사전검사는 KISE-BAAT(읽기)의 가형, 사후검사는 동형의 검사 나형을 사용하였다. 중재는 주 1회 총 20회기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을 중재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읽기의 직접 교수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읽기 이해 능력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향상되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의 향상된 평균 점수(2.59)에 비해 실험집단의 향상된 평균 점수(6.17)가 더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읽기의 메타인지 전략은 지적장애 성인의 읽기 이해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중재 유형에 따른 읽기 이해는 두 집단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대상자들 스스로 중재 유형을 선택함으로써 중재 동안 능동적인 참여 태도와 만족감을 보였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제언하자면, 첫째, 대상자의 인원이 한정적이며 회기가 짧아 일반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 대상자들의 읽기 흥미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표를 더한 연구를 기대한다. 셋째, 읽기 외 다른 영역에도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하여 동시에 결과를 검증해보는 연구가 더 의미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유지검사를 추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on reading comprehens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 First, does the meta-person strategy of reading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in adu...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on reading comprehens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 First, does the meta-person strategy of reading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what about reading comprehension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ction? In an attempt to solve those questions, 24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n=12) and control groups (n=12) and again into two groups, one-to-one instruction (n=6) and small group instruction (n=6), depending on the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texts were selected in the third-grad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age (9-11 years) of the subject. The subjects‘ reading abilities were measured by the KISE-BAAT (reading). The instruction took place once a week for a total of twenty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by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of reading, and the control group provided teaching for same period. Studies have shown that reading comprehension in both groups has improved. Given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average score (6.17) is higher than the improved average score in the control group (2.59),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of reading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ction did not differ much between the two groups. But it is meaningful that the subjects themselves showed activ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during sessions by choosing the type of i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 future research tasks. First of all, there are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people in question and the short duration of the session. Second, we look forward to a study that adds indicator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reader's interest. Third, it is thought that research to verify results at the same time by utilizing meta-cognitive strategies in areas other than reading is more meaningful. Fourth, further research is needed with the addition of a maintenance test.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on reading comprehens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 First, does the meta-person strategy of reading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what about reading comprehension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ction? In an attempt to solve those questions, 24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n=12) and control groups (n=12) and again into two groups, one-to-one instruction (n=6) and small group instruction (n=6), depending on the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texts were selected in the third-grad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age (9-11 years) of the subject. The subjects‘ reading abilities were measured by the KISE-BAAT (reading). The instruction took place once a week for a total of twenty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by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of reading, and the control group provided teaching for same period. Studies have shown that reading comprehension in both groups has improved. Given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average score (6.17) is higher than the improved average score in the control group (2.59),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of reading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ction did not differ much between the two groups. But it is meaningful that the subjects themselves showed activ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during sessions by choosing the type of i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 future research tasks. First of all, there are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people in question and the short duration of the session. Second, we look forward to a study that adds indicator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reader's interest. Third, it is thought that research to verify results at the same time by utilizing meta-cognitive strategies in areas other than reading is more meaningful. Fourth, further research is needed with the addition of a maintenance tes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