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소방공무원이 애도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돌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onflict and Care During the Mourning Process of Fire fighters Who Experienced Suicide by a Fellow Fire fighter원문보기
본 연구는 자살로 동료를 잃은 소방공무원이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돌봄에 관한 연구로서 자살한 소방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경험이 있는 현직 소방공무원이 동료를 자살로 잃은 자살생존자의 경험을 심리적 측면에서 조명하고 동료를 자살로 상실한 자살생존자의 경험은 어떠한지, 애도과정 중 심리적 갈등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동료의 자살 사건이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의 삶에 어떤 면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동료를 자살로 상실한 소방공무원이 실제로 원하는 돌봄과 이들을 위한 기독 치유상담학적인 돌봄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연구목적을 도출하기 위하여 질문을 크게 둘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 질문들 중에서 첫째, ‘어떤 계기로 소방공무원으로 일하게 되었는가’ 둘째, ‘소방공무원으로서 보람된 점은 무엇인가’ 셋째, ‘소방공무원으로서 어렵고 힘들었던 점은 무엇인가’ 넷째 ‘소방공무원으로서 생각나는 중요한 사건과 장면은 무엇인가’ 다섯째, ‘심리적 외상을 겪거나 진단을 받은 적은 있는 가’ 이다. 또 하나는 동료의 자살로 인한 자살생존자로서의 경험에 대한 심층 질문들 중에서 첫째, ‘자살한 동료와의 추억이나 기억 고인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둘째, ‘동료의 자살로 인한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은 어떤 게 있는 가’ 셋째, ‘자살한 고인이 연구 참여자에게 끼친 신체적 정신적 영향은 있는 가’ 넷째, ‘자살에 대한 충동과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을 잘 극복하고 있는 가’ 다섯째,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로서 충분한 애도과정을 갖고 있는 가’ 여섯째, ‘남겨진 자살생존자들에게는 어떤 돌봄이 주어지면 더 좋을까’ 일곱째,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소방관으로서 신앙이 애도의 과정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가’ 여덟째, ‘기독교인이라면 애도과정 중 바람이 있다면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등이다. 이 주제에 관한 실제적인 탐구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자살로 동료를 상실한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 7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만나 본 연구에 관한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공감대를 충분히 형성하여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대한 비밀보장에 근거한 윤리적 합의하에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또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본 주제와 관련된 서울자살예방센터가 주관이 되는 세미나 참석, 생명존중학회가 개최한 세미나 참석과 언론 보도 등을 통해서 다양한 자살 관련에 관한 자료들을 이차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 분석은 선입견에 치우치지 않고 현상으로 보여 지는 자체의 본질에 관한 탐구를 주장한 Amedeo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통한 ...
본 연구는 자살로 동료를 잃은 소방공무원이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돌봄에 관한 연구로서 자살한 소방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경험이 있는 현직 소방공무원이 동료를 자살로 잃은 자살생존자의 경험을 심리적 측면에서 조명하고 동료를 자살로 상실한 자살생존자의 경험은 어떠한지, 애도과정 중 심리적 갈등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동료의 자살 사건이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의 삶에 어떤 면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동료를 자살로 상실한 소방공무원이 실제로 원하는 돌봄과 이들을 위한 기독 치유상담학적인 돌봄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연구목적을 도출하기 위하여 질문을 크게 둘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 질문들 중에서 첫째, ‘어떤 계기로 소방공무원으로 일하게 되었는가’ 둘째, ‘소방공무원으로서 보람된 점은 무엇인가’ 셋째, ‘소방공무원으로서 어렵고 힘들었던 점은 무엇인가’ 넷째 ‘소방공무원으로서 생각나는 중요한 사건과 장면은 무엇인가’ 다섯째, ‘심리적 외상을 겪거나 진단을 받은 적은 있는 가’ 이다. 또 하나는 동료의 자살로 인한 자살생존자로서의 경험에 대한 심층 질문들 중에서 첫째, ‘자살한 동료와의 추억이나 기억 고인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둘째, ‘동료의 자살로 인한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은 어떤 게 있는 가’ 셋째, ‘자살한 고인이 연구 참여자에게 끼친 신체적 정신적 영향은 있는 가’ 넷째, ‘자살에 대한 충동과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을 잘 극복하고 있는 가’ 다섯째,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로서 충분한 애도과정을 갖고 있는 가’ 여섯째, ‘남겨진 자살생존자들에게는 어떤 돌봄이 주어지면 더 좋을까’ 일곱째,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소방관으로서 신앙이 애도의 과정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가’ 여덟째, ‘기독교인이라면 애도과정 중 바람이 있다면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등이다. 이 주제에 관한 실제적인 탐구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자살로 동료를 상실한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 7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만나 본 연구에 관한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공감대를 충분히 형성하여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대한 비밀보장에 근거한 윤리적 합의하에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또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본 주제와 관련된 서울자살예방센터가 주관이 되는 세미나 참석, 생명존중학회가 개최한 세미나 참석과 언론 보도 등을 통해서 다양한 자살 관련에 관한 자료들을 이차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 분석은 선입견에 치우치지 않고 현상으로 보여 지는 자체의 본질에 관한 탐구를 주장한 Amedeo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과 Larry Kent Graham의 심리-체계적 접근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분석과정 4단계에 기초하여 전체인식하기, 의미 단위 구분하기,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기, 구조적으로 통합하기를 함으로써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동료의 자살사건 후 경험한 심리적 갈등과 소방공무원의 역할에 대하여 Graham의 심리 체계적 연구방법을 접목하여 개인, 가정, 조직과 문화, 자연과 더 나아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입체적인 기독 상담학적 돌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해석학적 글쓰기와 내용구성에서 언어로 변형된 글쓰기 작업을 통해 현상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는 Van Manen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방법의 기술과 연구자의 균형 있는 ‘해석’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 동료의 자살은 남아있는 소방공무원이 애도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돌봄에 관한 연구결과로 핵심주제는 다음과 같이 ‘죽음의 공포’, ‘죄책감’, ‘가중되는 고통’, ‘이해할 수 없는 삶’, 회복과 돌봄’, ‘수용과 사명’으로 도출되었다. 동료를 자살로 상실한 소방공무원은 애도과정에서 고인과 생사고락을 함께 한 가족과도 같은 마음을 가지고 있기에 자살은 충격과 놀라움, 그리고 나도 어쩌면 그 자리에 설지도 모른다는 동일시에 대한 불안과 죽음의 공포와 두려움을 나타냈다. 더불어 동료의 죽음을 막지 못한 안타까움과 미안함, 그리고 진한 아쉬움으로 함께하지 못한 복합적인 죄책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소방공무원의 역할에 가중되는 심리적 고통으로 이어져 아픈 가슴을 안고 힘든 일상과 쌓이는 스트레스로 때론 자살생각도 들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에게는 회복과 진정한 돌봄이 필요하다. 자살생존자 중 유가족에게는 자조 모임이, 소방조직사회에서는 소통과 치유, 신앙공동체에서는 따뜻한 위로가 더욱 필요함을 연구결과 주어졌다. 그리고 기독교 신앙이 애도과정에 있어서 도움이 되었음이 파악되었다.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들은 동료의 자살을 경험하며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주어진 역할갈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죽음의 위기를 뒤로하고 사랑하는 가족과 남겨진 소방공무원들이 함께하기에 현실을 수용하며 위급한 현장에 출동하여 국민의 생명을 구하는 주어진 소방 사명의 길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자살로 동료를 잃은 소방공무원이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돌봄에 관한 연구로서 자살한 소방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경험이 있는 현직 소방공무원이 동료를 자살로 잃은 자살생존자의 경험을 심리적 측면에서 조명하고 동료를 자살로 상실한 자살생존자의 경험은 어떠한지, 애도과정 중 심리적 갈등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동료의 자살 사건이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의 삶에 어떤 면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동료를 자살로 상실한 소방공무원이 실제로 원하는 돌봄과 이들을 위한 기독 치유상담학적인 돌봄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연구목적을 도출하기 위하여 질문을 크게 둘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 질문들 중에서 첫째, ‘어떤 계기로 소방공무원으로 일하게 되었는가’ 둘째, ‘소방공무원으로서 보람된 점은 무엇인가’ 셋째, ‘소방공무원으로서 어렵고 힘들었던 점은 무엇인가’ 넷째 ‘소방공무원으로서 생각나는 중요한 사건과 장면은 무엇인가’ 다섯째, ‘심리적 외상을 겪거나 진단을 받은 적은 있는 가’ 이다. 또 하나는 동료의 자살로 인한 자살생존자로서의 경험에 대한 심층 질문들 중에서 첫째, ‘자살한 동료와의 추억이나 기억 고인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둘째, ‘동료의 자살로 인한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은 어떤 게 있는 가’ 셋째, ‘자살한 고인이 연구 참여자에게 끼친 신체적 정신적 영향은 있는 가’ 넷째, ‘자살에 대한 충동과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을 잘 극복하고 있는 가’ 다섯째,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로서 충분한 애도과정을 갖고 있는 가’ 여섯째, ‘남겨진 자살생존자들에게는 어떤 돌봄이 주어지면 더 좋을까’ 일곱째,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소방관으로서 신앙이 애도의 과정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가’ 여덟째, ‘기독교인이라면 애도과정 중 바람이 있다면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등이다. 이 주제에 관한 실제적인 탐구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자살로 동료를 상실한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 7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만나 본 연구에 관한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공감대를 충분히 형성하여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대한 비밀보장에 근거한 윤리적 합의하에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또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본 주제와 관련된 서울자살예방센터가 주관이 되는 세미나 참석, 생명존중학회가 개최한 세미나 참석과 언론 보도 등을 통해서 다양한 자살 관련에 관한 자료들을 이차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 분석은 선입견에 치우치지 않고 현상으로 보여 지는 자체의 본질에 관한 탐구를 주장한 Amedeo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과 Larry Kent Graham의 심리-체계적 접근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분석과정 4단계에 기초하여 전체인식하기, 의미 단위 구분하기,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기, 구조적으로 통합하기를 함으로써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동료의 자살사건 후 경험한 심리적 갈등과 소방공무원의 역할에 대하여 Graham의 심리 체계적 연구방법을 접목하여 개인, 가정, 조직과 문화, 자연과 더 나아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입체적인 기독 상담학적 돌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해석학적 글쓰기와 내용구성에서 언어로 변형된 글쓰기 작업을 통해 현상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는 Van Manen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방법의 기술과 연구자의 균형 있는 ‘해석’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 동료의 자살은 남아있는 소방공무원이 애도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돌봄에 관한 연구결과로 핵심주제는 다음과 같이 ‘죽음의 공포’, ‘죄책감’, ‘가중되는 고통’, ‘이해할 수 없는 삶’, 회복과 돌봄’, ‘수용과 사명’으로 도출되었다. 동료를 자살로 상실한 소방공무원은 애도과정에서 고인과 생사고락을 함께 한 가족과도 같은 마음을 가지고 있기에 자살은 충격과 놀라움, 그리고 나도 어쩌면 그 자리에 설지도 모른다는 동일시에 대한 불안과 죽음의 공포와 두려움을 나타냈다. 더불어 동료의 죽음을 막지 못한 안타까움과 미안함, 그리고 진한 아쉬움으로 함께하지 못한 복합적인 죄책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소방공무원의 역할에 가중되는 심리적 고통으로 이어져 아픈 가슴을 안고 힘든 일상과 쌓이는 스트레스로 때론 자살생각도 들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에게는 회복과 진정한 돌봄이 필요하다. 자살생존자 중 유가족에게는 자조 모임이, 소방조직사회에서는 소통과 치유, 신앙공동체에서는 따뜻한 위로가 더욱 필요함을 연구결과 주어졌다. 그리고 기독교 신앙이 애도과정에 있어서 도움이 되었음이 파악되었다. 자살생존자인 소방공무원들은 동료의 자살을 경험하며 애도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갈등과 주어진 역할갈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죽음의 위기를 뒤로하고 사랑하는 가족과 남겨진 소방공무원들이 함께하기에 현실을 수용하며 위급한 현장에 출동하여 국민의 생명을 구하는 주어진 소방 사명의 길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This study highlights the experience of a suicide survivor who has worked with a firefighter who has killed himself as a research on psychological conflict and care for a colleague who lost a colleague to suicide, what is the experience of a suicide survivor who lost a colleague to suicide, what is ...
This study highlights the experience of a suicide survivor who has worked with a firefighter who has killed himself as a research on psychological conflict and care for a colleague who lost a colleague to suicide, what is the experience of a suicide survivor who lost a colleague to suicide, what is the psychological conflict during the mourning process, and how does the research team want to continue to look after the life of a firefighter whose suicide is a co-existence? To der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ques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Among the questions about the lif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first, ‘How did you get to work as a firefighter?’ second, ‘What was the hard and hard part of being a firefighter’ and fourth, ‘What are the important events and scenes that come to mind as a firefighter’ fifth, ‘Have you experienced or been diagnosed with psychological trauma?’ Among the in-depth questions about the experience of a fellow suicide as a survivor, the first is, "What do you want to say to a deceased colleague?" Second, "What are the psychological conflicts caused by a colleague’s suicide?" and the fourth, "Do you have any physical impact on a research participant?" Do you think it has been done?" and eighth, "What would a Christian say if he had a wish during the mourning process?" In order to explore the existence of this subject, we first met with seven participants of the study, who were suicide survivors, who lost their colleagues in suicide, fully shared and understoo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collected research data under an ethical agreement based on confidentiality of the research participation, and participated in various seminars and seminars held by the Seoul Center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connection with this topic. The research analysis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Amedeo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psychological-system approach of Larry Kent Graham, who insisted on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what is seen as a phenomenon regardless of preconceived ideas. Based on the four stages of the analysis proces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government trie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by fully recognizing, distinguishing between semantic units, converting to academic terms, and integrating them in a structured way. It also incorporated the psychological conflicts experienced after a colleague's suicide and the role of fire service personnel to identify and further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God's physiology. According to the study, the core topic was deriv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tudy on psychological conflict and care that remaining fire service personnel suffer in the process of mourning. They were derived from "fear of death," "guilty," "increasing pain," "ununderstanding life," recovery and care," and "acceptance and mission." The firefighter who lost his colleague to suicide expressed the same fear of death, fear of death, and fear of death, as he and his family shared the same spirit of life and death with the deceased in the mourning process. In addition, I had a feeling of regret, a sense of guilt that I could not prevent my colleague from dying, and a mixture of guilt that I could not share. It led to a psychological pain that aggravated the role of a firefighter, causing him to think of suicide due to his painful daily life and stress. The recovery and care needed for the firefighting service, which is a suicide survivor, told the families of the victims that self-help groups are needed, and the society of fire organizations needs more communication and healing, and the community of faiths. And I could see that Christian faith was helpful in the process of mourning. Despite the psychological conflicts and given rol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mourning while experiencing the suicide of a colleague, the government is moving toward a path of a given fire-fighting mission to save the lives of the people by going to emergency sites, accepting the reality that their loved ones and remaining fire officials are joining together.
This study highlights the experience of a suicide survivor who has worked with a firefighter who has killed himself as a research on psychological conflict and care for a colleague who lost a colleague to suicide, what is the experience of a suicide survivor who lost a colleague to suicide, what is the psychological conflict during the mourning process, and how does the research team want to continue to look after the life of a firefighter whose suicide is a co-existence? To der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ques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Among the questions about the lif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first, ‘How did you get to work as a firefighter?’ second, ‘What was the hard and hard part of being a firefighter’ and fourth, ‘What are the important events and scenes that come to mind as a firefighter’ fifth, ‘Have you experienced or been diagnosed with psychological trauma?’ Among the in-depth questions about the experience of a fellow suicide as a survivor, the first is, "What do you want to say to a deceased colleague?" Second, "What are the psychological conflicts caused by a colleague’s suicide?" and the fourth, "Do you have any physical impact on a research participant?" Do you think it has been done?" and eighth, "What would a Christian say if he had a wish during the mourning process?" In order to explore the existence of this subject, we first met with seven participants of the study, who were suicide survivors, who lost their colleagues in suicide, fully shared and understoo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collected research data under an ethical agreement based on confidentiality of the research participation, and participated in various seminars and seminars held by the Seoul Center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connection with this topic. The research analysis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Amedeo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psychological-system approach of Larry Kent Graham, who insisted on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what is seen as a phenomenon regardless of preconceived ideas. Based on the four stages of the analysis proces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government trie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by fully recognizing, distinguishing between semantic units, converting to academic terms, and integrating them in a structured way. It also incorporated the psychological conflicts experienced after a colleague's suicide and the role of fire service personnel to identify and further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God's physiology. According to the study, the core topic was deriv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tudy on psychological conflict and care that remaining fire service personnel suffer in the process of mourning. They were derived from "fear of death," "guilty," "increasing pain," "ununderstanding life," recovery and care," and "acceptance and mission." The firefighter who lost his colleague to suicide expressed the same fear of death, fear of death, and fear of death, as he and his family shared the same spirit of life and death with the deceased in the mourning process. In addition, I had a feeling of regret, a sense of guilt that I could not prevent my colleague from dying, and a mixture of guilt that I could not share. It led to a psychological pain that aggravated the role of a firefighter, causing him to think of suicide due to his painful daily life and stress. The recovery and care needed for the firefighting service, which is a suicide survivor, told the families of the victims that self-help groups are needed, and the society of fire organizations needs more communication and healing, and the community of faiths. And I could see that Christian faith was helpful in the process of mourning. Despite the psychological conflicts and given rol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mourning while experiencing the suicide of a colleague, the government is moving toward a path of a given fire-fighting mission to save the lives of the people by going to emergency sites, accepting the reality that their loved ones and remaining fire officials are joining together.
Keyword
#자살생존자 애도과정 복합비애 소방공무원 외상 외상 후 스트레스 심리적 갈등 수용 돌봄 치유 Suicide Survivors Mourning Process Complicated Grief Firefighter Trauma Post-Traumatic Stress Psychological Conflict Care Acceptance Healing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명주
학위수여기관
서울기독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신학과 치유상담학
지도교수
이명훈
발행연도
2020
키워드
자살생존자 애도과정 복합비애 소방공무원 외상 외상 후 스트레스 심리적 갈등 수용 돌봄 치유 Suicide Survivors Mourning Process Complicated Grief Firefighter Trauma Post-Traumatic Stress Psychological Conflict Care Acceptance Heal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