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어휘 교육에서 연어에 초점을 두어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과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여건상 학교 교실 수업보다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습득 할 수 있는 연어의 양이 더 많을 것으로 가정하고 실험을 하였다. 즉 초급 단계부터 학습자들에게 어휘를 가르칠 때 개별 어휘를 가르치기보다 연어로 교육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Ⅱ장은 연어의 개념과 어휘 교육에서 연어의 중요성과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기존의 선행 연구를 통해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방문 한국어 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립국어원에서 2010년에 개발한「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의 기존 초급 교재와 그 개정판으로 2019년에 개발된 신 교재에서 나타나는 연어를 추출하였다. 두 교재에서 추출한 연어와 기존 연구자료에서 선정한 연어를 각 ‘구 교재’, ‘신 교재’, ‘일상생활’의 연어 연구 대상교재로 구분하였다. 선정된 연어 목록을 주술·목술·수식 관계로 나누어 ‘체언+용언’ 형태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연어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이해력 평가와 표현력 평가로 나누어 문항을 각각 구성하였다. 실험 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연어의 사용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 학력, 한국어 학습기간, 상호 작용 대상자와의 관계가 한국어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것은 단순한 목표 언어 환경에서의 거주 기간과 자연적 환경에서의 노출만으로 연어 습득이 일어 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4가지 연어 도구를 이용한 연어평가 실험 조사 결과 및 분석을 보면 연어 이해력 평가에서는 연어 어휘(COLLEX)시험과 연어 맞추기(COLLOMATCH)시험 모두 ‘신 교재’의 연어 정답률이 높았다. 연어 표현력 평가에서도 성분 행렬(CONTRIX)시험과 빈칸 채우기에 대한 두 교재와 ‘일상생활’에 대한 정답률도 ‘신 교재’의 연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구 교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대적인 어휘를 반영하고 기초 어휘를 충분히 제시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실험에서 나타난 조사 평가지의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어휘 교육에서 연어에 초점을 두어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과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여건상 학교 교실 수업보다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습득 할 수 있는 연어의 양이 더 많을 것으로 가정하고 실험을 하였다. 즉 초급 단계부터 학습자들에게 어휘를 가르칠 때 개별 어휘를 가르치기보다 연어로 교육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Ⅱ장은 연어의 개념과 어휘 교육에서 연어의 중요성과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기존의 선행 연구를 통해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방문 한국어 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립국어원에서 2010년에 개발한「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의 기존 초급 교재와 그 개정판으로 2019년에 개발된 신 교재에서 나타나는 연어를 추출하였다. 두 교재에서 추출한 연어와 기존 연구자료에서 선정한 연어를 각 ‘구 교재’, ‘신 교재’, ‘일상생활’의 연어 연구 대상교재로 구분하였다. 선정된 연어 목록을 주술·목술·수식 관계로 나누어 ‘체언+용언’ 형태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연어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이해력 평가와 표현력 평가로 나누어 문항을 각각 구성하였다. 실험 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연어의 사용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 학력, 한국어 학습기간, 상호 작용 대상자와의 관계가 한국어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것은 단순한 목표 언어 환경에서의 거주 기간과 자연적 환경에서의 노출만으로 연어 습득이 일어 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4가지 연어 도구를 이용한 연어평가 실험 조사 결과 및 분석을 보면 연어 이해력 평가에서는 연어 어휘(COLLEX)시험과 연어 맞추기(COLLOMATCH)시험 모두 ‘신 교재’의 연어 정답률이 높았다. 연어 표현력 평가에서도 성분 행렬(CONTRIX)시험과 빈칸 채우기에 대한 두 교재와 ‘일상생활’에 대한 정답률도 ‘신 교재’의 연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구 교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대적인 어휘를 반영하고 기초 어휘를 충분히 제시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실험에서 나타난 조사 평가지의 오류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통해서 어휘 교육에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교사가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교육 현장에서 연어 교육이 명시적으로 이뤄진다면 학습자들은 연어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연어 교육 관점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기존 교재와 개정된 교재의 연어 양상을 고찰하고 자연 환경에서 습득되는 연어와 비교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어 인지 실험을 통하여 어휘 교육에서 연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실험을 통한 효과적인 연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어휘 교육에서 연어에 초점을 두어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과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여건상 학교 교실 수업보다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습득 할 수 있는 연어의 양이 더 많을 것으로 가정하고 실험을 하였다. 즉 초급 단계부터 학습자들에게 어휘를 가르칠 때 개별 어휘를 가르치기보다 연어로 교육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Ⅱ장은 연어의 개념과 어휘 교육에서 연어의 중요성과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기존의 선행 연구를 통해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방문 한국어 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립국어원에서 2010년에 개발한「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의 기존 초급 교재와 그 개정판으로 2019년에 개발된 신 교재에서 나타나는 연어를 추출하였다. 두 교재에서 추출한 연어와 기존 연구자료에서 선정한 연어를 각 ‘구 교재’, ‘신 교재’, ‘일상생활’의 연어 연구 대상교재로 구분하였다. 선정된 연어 목록을 주술·목술·수식 관계로 나누어 ‘체언+용언’ 형태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연어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이해력 평가와 표현력 평가로 나누어 문항을 각각 구성하였다. 실험 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연어의 사용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 학력, 한국어 학습기간, 상호 작용 대상자와의 관계가 한국어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것은 단순한 목표 언어 환경에서의 거주 기간과 자연적 환경에서의 노출만으로 연어 습득이 일어 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4가지 연어 도구를 이용한 연어평가 실험 조사 결과 및 분석을 보면 연어 이해력 평가에서는 연어 어휘(COLLEX)시험과 연어 맞추기(COLLOMATCH)시험 모두 ‘신 교재’의 연어 정답률이 높았다. 연어 표현력 평가에서도 성분 행렬(CONTRIX)시험과 빈칸 채우기에 대한 두 교재와 ‘일상생활’에 대한 정답률도 ‘신 교재’의 연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구 교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대적인 어휘를 반영하고 기초 어휘를 충분히 제시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실험에서 나타난 조사 평가지의 오류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통해서 어휘 교육에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교사가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교육 현장에서 연어 교육이 명시적으로 이뤄진다면 학습자들은 연어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연어 교육 관점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기존 교재와 개정된 교재의 연어 양상을 고찰하고 자연 환경에서 습득되는 연어와 비교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어 인지 실험을 통하여 어휘 교육에서 연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실험을 통한 효과적인 연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nd vocabulary ability of beginning Korean learners by focusing on collo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conducted a test after assuming that there is m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nd vocabulary ability of beginning Korean learners by focusing on collo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conducted a test after assuming that there is more collocation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can learn naturally in everyday life than the class at school. This mean that, teaching vocabulary with collo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eaching individual vocabulary when teaching vocabulary to learners from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and precedent studies were reviewed. In chapter II,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collocation,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precedent studies. In chapter III, this study extracted collocations that appeared in existing beginners textbooks of 1)「Korea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2010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on married immigrant women in home teaching and 2)a new teaching material developed in 2019 as its revised edition. This study classified collocations extracted from the two teaching materials and existing research data into 'old textbook,' 'new textbook,' and 'everyday life.' The list of selected collocations was classified into the type of 'substantive+predicate' form by classifying into a relationship of Subject/predicate, Object/predicate, Modification/predicate. This study constructed each question by dividing it into an evaluation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bility using a collocation assessment to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vestigation results, it was predicted that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background of Korean learners for the use of collocation, learning period for Korean, and interaction target have a direct effect on learning Korean. This identified that the length of residence in the target language setting and exposure in natural surroundings could not lead to collocation acquis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llocation assessment using four collocation tools, the percent age of correct answers of 'new teaching material' was high for both COLLEX and COLLOMATCH in collocation understanding assessment. In collocation expression evaluation, the collocation of the 'new teaching material' was the highest as well for the ages percent of correct answers of the two teaching materials on CONTRIX and filled in the blanks. This signifies that periodic vocabulary was applied and sufficient basic vocabulary was suggested by identifying problems of the 'old teaching material.' In chapter IV,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collocation teaching methods by analyzing errors in survey evaluation that appeared in the experiment. Learners wi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collocation if teachers recognize the need for collocation education, and collocation education gets conducted clearly in the education field by means of the summary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collocation aspects in existing and revised teaching material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f Korean collocatio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analyzed by comparing it with collocation acquir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experiments of collocation, this stud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edu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and suggested effective collocation learning methods through an experi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nd vocabulary ability of beginning Korean learners by focusing on collo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conducted a test after assuming that there is more collocation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can learn naturally in everyday life than the class at school. This mean that, teaching vocabulary with collo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eaching individual vocabulary when teaching vocabulary to learners from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and precedent studies were reviewed. In chapter II,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collocation,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precedent studies. In chapter III, this study extracted collocations that appeared in existing beginners textbooks of 1)「Korea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2010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on married immigrant women in home teaching and 2)a new teaching material developed in 2019 as its revised edition. This study classified collocations extracted from the two teaching materials and existing research data into 'old textbook,' 'new textbook,' and 'everyday life.' The list of selected collocations was classified into the type of 'substantive+predicate' form by classifying into a relationship of Subject/predicate, Object/predicate, Modification/predicate. This study constructed each question by dividing it into an evaluation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bility using a collocation assessment to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vestigation results, it was predicted that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background of Korean learners for the use of collocation, learning period for Korean, and interaction target have a direct effect on learning Korean. This identified that the length of residence in the target language setting and exposure in natural surroundings could not lead to collocation acquis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llocation assessment using four collocation tools, the percent age of correct answers of 'new teaching material' was high for both COLLEX and COLLOMATCH in collocation understanding assessment. In collocation expression evaluation, the collocation of the 'new teaching material' was the highest as well for the ages percent of correct answers of the two teaching materials on CONTRIX and filled in the blanks. This signifies that periodic vocabulary was applied and sufficient basic vocabulary was suggested by identifying problems of the 'old teaching material.' In chapter IV,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collocation teaching methods by analyzing errors in survey evaluation that appeared in the experiment. Learners wi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collocation if teachers recognize the need for collocation education, and collocation education gets conducted clearly in the education field by means of the summary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collocation aspects in existing and revised teaching material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f Korean collocatio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analyzed by comparing it with collocation acquir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experiments of collocation, this stud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edu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and suggested effective collocation learning methods through an experi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