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문학 교육은 학습자가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들이 교과서에 실린 목표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능동적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갈래의 특성’에 집중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희곡 갈래가 다른 문학 갈래와의 공통점인 ‘문학성’이 아닌 ‘연극성’에 초점을 맞춰 교육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 논문은 희곡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고등학교 교과서 12종을 분석했다. 그 결과, ‘갈래 수행’에 관한 학습활동은 27개에 불과했다. ‘갈래수행’유형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은 학습자의 주체적인 태도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이며, ...
최근 문학 교육은 학습자가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들이 교과서에 실린 목표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능동적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갈래의 특성’에 집중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희곡 갈래가 다른 문학 갈래와의 공통점인 ‘문학성’이 아닌 ‘연극성’에 초점을 맞춰 교육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 논문은 희곡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고등학교 교과서 12종을 분석했다. 그 결과, ‘갈래 수행’에 관한 학습활동은 27개에 불과했다. ‘갈래수행’유형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은 학습자의 주체적인 태도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이며, 구성주의 교육에 적합한 학습활동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체적인 학습자’를 위한, ‘연극성’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낭독극 수업’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4가지의 주요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주의 이론과 교육연극 이론을 반영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했다. 이 논문의 ‘교육연극을 활용한 희곡 수업 모형’은 몇 가지를 고려하였다. 학생들의 연기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웜업 단계’에서 ‘조종 놀이’를 추가하였다. 학생들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텍스트의 맥락성’과 관련한 토론단계를 추가했다. 또한, 학생 개개인의 이해를 반영한 새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각색 과정’을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줄이기 위해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공간에서 연극을 진행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논문의 의의는 학생들이 잠재력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며, ‘문학 작품 해석의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수업 모형은 구성주의 시대에 교수·학습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첫째, 논문의 기초가 된 학습자들은 수원외국어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로 모든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들을 일반화할 수 없다. 둘째, ‘교실이 아닌 곳에서 촬영한 학생들의 교육연극’에 대한 평가의 부분에 대한 연구가 보완될 필요성이 있다.
최근 문학 교육은 학습자가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들이 교과서에 실린 목표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능동적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갈래의 특성’에 집중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희곡 갈래가 다른 문학 갈래와의 공통점인 ‘문학성’이 아닌 ‘연극성’에 초점을 맞춰 교육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 논문은 희곡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고등학교 교과서 12종을 분석했다. 그 결과, ‘갈래 수행’에 관한 학습활동은 27개에 불과했다. ‘갈래수행’유형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은 학습자의 주체적인 태도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이며, 구성주의 교육에 적합한 학습활동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체적인 학습자’를 위한, ‘연극성’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낭독극 수업’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4가지의 주요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주의 이론과 교육연극 이론을 반영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했다. 이 논문의 ‘교육연극을 활용한 희곡 수업 모형’은 몇 가지를 고려하였다. 학생들의 연기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웜업 단계’에서 ‘조종 놀이’를 추가하였다. 학생들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텍스트의 맥락성’과 관련한 토론단계를 추가했다. 또한, 학생 개개인의 이해를 반영한 새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각색 과정’을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줄이기 위해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공간에서 연극을 진행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논문의 의의는 학생들이 잠재력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며, ‘문학 작품 해석의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수업 모형은 구성주의 시대에 교수·학습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첫째, 논문의 기초가 된 학습자들은 수원외국어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로 모든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들을 일반화할 수 없다. 둘째, ‘교실이 아닌 곳에서 촬영한 학생들의 교육연극’에 대한 평가의 부분에 대한 연구가 보완될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resses that students have to accept works of literature autonomously. It means that student should read works of literature actively, not accept learning objectives on textbooks uncritically. In additi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emphasizes characteristic o...
Recently,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resses that students have to accept works of literature autonomously. It means that student should read works of literature actively, not accept learning objectives on textbooks uncritically. In additi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emphasizes characteristic of literary genre. It implies play should be educated with focusing on theatrical characteristic, not literary characteristic which is common to other genre of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12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 for look into present condition at education of play. As a result, the number of exercises in textbook are type of ‘performance of genre’ is only 27. The type of ‘performance of genre’ exercise in textbook offers chance of demonstrating independent attitude, and is appropriate to constructiv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new model of instruction for ‘independent learner’ and focusing on ‘theatrical characteristic’. Also, as a result of analysis of opinion pap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ramatic reading class, there were four problems.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tried to make new model of instruction which reflected constructive theory and theory of theatre in education. The ‘model of instruction of play using theory of theatre in education’ considers few points. This study added ‘manipulating play’ to relief the anxiety of students about playing to the model of instruction. For deeper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 this study added ‘discussion step’ about ‘text contextuality’ to the model of instruction. Also, this study added ‘adaptation’ for making new literary work by reflecting comprehension of each student. Finally, to get rid of space-time restriction, let student submit video that filmed in anywhere and anytime they want to teach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providing opportunity to students of displaying their potential and creativity, and experiencing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Therefore, the ‘Model of instruction of play using theory of theatre in education’ is suitable for the age of constructivis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students of Academy of World Languages who were basis of this study are not possible for the sample to generalize every first year student of high school in Korea. Second, further research of methodology of evaluation of “video that students filmed at another places not classroom” is needed.
Recently,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resses that students have to accept works of literature autonomously. It means that student should read works of literature actively, not accept learning objectives on textbooks uncritically. In additi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emphasizes characteristic of literary genre. It implies play should be educated with focusing on theatrical characteristic, not literary characteristic which is common to other genre of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12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 for look into present condition at education of play. As a result, the number of exercises in textbook are type of ‘performance of genre’ is only 27. The type of ‘performance of genre’ exercise in textbook offers chance of demonstrating independent attitude, and is appropriate to constructiv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new model of instruction for ‘independent learner’ and focusing on ‘theatrical characteristic’. Also, as a result of analysis of opinion pap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ramatic reading class, there were four problems.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tried to make new model of instruction which reflected constructive theory and theory of theatre in education. The ‘model of instruction of play using theory of theatre in education’ considers few points. This study added ‘manipulating play’ to relief the anxiety of students about playing to the model of instruction. For deeper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 this study added ‘discussion step’ about ‘text contextuality’ to the model of instruction. Also, this study added ‘adaptation’ for making new literary work by reflecting comprehension of each student. Finally, to get rid of space-time restriction, let student submit video that filmed in anywhere and anytime they want to teach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providing opportunity to students of displaying their potential and creativity, and experiencing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Therefore, the ‘Model of instruction of play using theory of theatre in education’ is suitable for the age of constructivis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students of Academy of World Languages who were basis of this study are not possible for the sample to generalize every first year student of high school in Korea. Second, further research of methodology of evaluation of “video that students filmed at another places not classroom” is needed.
Keyword
#교육연극 각색 구성주의 theatre in education adaptation constructivism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소명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박명진
발행연도
2020
총페이지
v, 119 p.
키워드
교육연극 각색 구성주의 theatre in education adaptation constructivis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