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초등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감정표현 프로그램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f the Emotional Expression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원문보기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중요한 삶의 조건이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적인 역량이다. 그런데 학교의 삶 속에서 초등학생들은 자칫하면 언어적·신체적 공격성을 표출하거나, 서로 간에 따돌림과 놀림 등으로 인한 갈등을 경험한다. 학생들 간의 갈등을 조정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감정 및 정서 영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상담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자기표현, 자기이해, 경청, 공감 등의 의사소통기술 중심의 학문적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은 인지 교육에 치우쳤던 교육적 관심을 감정 및 정서 교육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학생들 간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의 문제는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할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의사소통기술을 내면화하고 체화하여 자신의 삶에 적극적으로 실천하도록 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로서, 학생들이 서로 잘 소통하며 어울려 살아가는 삶의 기술을 가르칠 필요성을 느껴, ...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중요한 삶의 조건이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적인 역량이다. 그런데 학교의 삶 속에서 초등학생들은 자칫하면 언어적·신체적 공격성을 표출하거나, 서로 간에 따돌림과 놀림 등으로 인한 갈등을 경험한다. 학생들 간의 갈등을 조정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감정 및 정서 영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상담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자기표현, 자기이해, 경청, 공감 등의 의사소통기술 중심의 학문적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은 인지 교육에 치우쳤던 교육적 관심을 감정 및 정서 교육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학생들 간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의 문제는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할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의사소통기술을 내면화하고 체화하여 자신의 삶에 적극적으로 실천하도록 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로서, 학생들이 서로 잘 소통하며 어울려 살아가는 삶의 기술을 가르칠 필요성을 느껴, 감정표현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실행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감정표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 간의 상호 이해와 공감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18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진행하는 예비 실행과 1차 실행 및 2차 실행의 과정에서, 그들이 겪는 의사소통의 경험을 관찰과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배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예비 실행은 ‘존중 대화로 감정을 표현하기’, 1차 실행은 ‘감정 어휘로 명료하게 표현하기’, 2차 실행은 ‘감정 놀이로 풍부하게 표현하기’에 중점을 두었다. 이전 실행에서의 성찰한 바를 다음 실행에 반영하는 발전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을 거쳐 의사소통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 실행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첫째, 감정표현 프로그램은 ‘자기감정 이해’, ‘자기감정 표현’, ‘타인감정 이해 및 수용’의 단계로 구안하였다. 감정표현의 방법은 타인에게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알려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말하기를 중심으로, 듣기는 보조적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정서·행동적 어려움이 큰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은 ‘부정적인 감정 기억 해소하기’, ‘감정표현에 대한 책임지기’, ‘잘못에 대해 인정하기’, ‘예의 지키기’ 등 필요에 따라 실시하였다. 또 감정표현을 돕는 환경으로서 우호적인 학급 분위기 조성 활동을 생활교육과 연계하여 실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행 이전과 비교해 감정 어휘를 더 많이 알게 되었으며 이를 감정표현에 적용함으로써 감정표현이 더 명료해졌다. 또 존중하는 대화 표현을 생활 장면에 실천하며 갈등을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태도가 개선되었다. 정서·행동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교사와의 의사소통이 개선되었으며, 교사의 안내에 따른 존중 대화의 실천으로 또래 친구들과의 의사소통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감정표현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기감정을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감정 어휘가 확장되고 존중하는 대화의 습관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으로서, 언어적 감정표현 능력의 향상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 각자의 감정 경험을 드러내며 다른 사람의 감정 경험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고 친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자기 개방을 통해 타인의 세계를 공유함으로써 상호 간의 이해와 공감이 증진되고, 친밀감과 소속감이 향상되는 사회적 관계의 발달 과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가르침과 배움의 영역을 수업과 생활교육, 그리고 학급 경영 전반으로 통합하고 확대함으로써 앎을 삶으로 연결하고자 하였으며, 정서·행동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각자의 삶을 고려함으로써 그들의 수준에서 필요한 성장이 일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범위는 3학년 한 학급의 학생으로, 부정적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부정적 감정을 지나치게 표출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들에게 관심이 치우쳤다는 한계를 지니며, 추후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억제하는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우호적인 학교 문화의 조성, 교사들이 교육 현장의 문제를 개선하는 주체가 되기 위한 여건의 개선을 제안한다.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중요한 삶의 조건이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적인 역량이다. 그런데 학교의 삶 속에서 초등학생들은 자칫하면 언어적·신체적 공격성을 표출하거나, 서로 간에 따돌림과 놀림 등으로 인한 갈등을 경험한다. 학생들 간의 갈등을 조정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감정 및 정서 영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상담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자기표현, 자기이해, 경청, 공감 등의 의사소통기술 중심의 학문적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은 인지 교육에 치우쳤던 교육적 관심을 감정 및 정서 교육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학생들 간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의 문제는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할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의사소통기술을 내면화하고 체화하여 자신의 삶에 적극적으로 실천하도록 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로서, 학생들이 서로 잘 소통하며 어울려 살아가는 삶의 기술을 가르칠 필요성을 느껴, 감정표현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실행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감정표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 간의 상호 이해와 공감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18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진행하는 예비 실행과 1차 실행 및 2차 실행의 과정에서, 그들이 겪는 의사소통의 경험을 관찰과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배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예비 실행은 ‘존중 대화로 감정을 표현하기’, 1차 실행은 ‘감정 어휘로 명료하게 표현하기’, 2차 실행은 ‘감정 놀이로 풍부하게 표현하기’에 중점을 두었다. 이전 실행에서의 성찰한 바를 다음 실행에 반영하는 발전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을 거쳐 의사소통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 실행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첫째, 감정표현 프로그램은 ‘자기감정 이해’, ‘자기감정 표현’, ‘타인감정 이해 및 수용’의 단계로 구안하였다. 감정표현의 방법은 타인에게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알려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말하기를 중심으로, 듣기는 보조적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정서·행동적 어려움이 큰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은 ‘부정적인 감정 기억 해소하기’, ‘감정표현에 대한 책임지기’, ‘잘못에 대해 인정하기’, ‘예의 지키기’ 등 필요에 따라 실시하였다. 또 감정표현을 돕는 환경으로서 우호적인 학급 분위기 조성 활동을 생활교육과 연계하여 실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행 이전과 비교해 감정 어휘를 더 많이 알게 되었으며 이를 감정표현에 적용함으로써 감정표현이 더 명료해졌다. 또 존중하는 대화 표현을 생활 장면에 실천하며 갈등을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태도가 개선되었다. 정서·행동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교사와의 의사소통이 개선되었으며, 교사의 안내에 따른 존중 대화의 실천으로 또래 친구들과의 의사소통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감정표현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기감정을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감정 어휘가 확장되고 존중하는 대화의 습관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으로서, 언어적 감정표현 능력의 향상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 각자의 감정 경험을 드러내며 다른 사람의 감정 경험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고 친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자기 개방을 통해 타인의 세계를 공유함으로써 상호 간의 이해와 공감이 증진되고, 친밀감과 소속감이 향상되는 사회적 관계의 발달 과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가르침과 배움의 영역을 수업과 생활교육, 그리고 학급 경영 전반으로 통합하고 확대함으로써 앎을 삶으로 연결하고자 하였으며, 정서·행동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각자의 삶을 고려함으로써 그들의 수준에서 필요한 성장이 일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범위는 3학년 한 학급의 학생으로, 부정적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부정적 감정을 지나치게 표출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들에게 관심이 치우쳤다는 한계를 지니며, 추후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억제하는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우호적인 학교 문화의 조성, 교사들이 교육 현장의 문제를 개선하는 주체가 되기 위한 여건의 개선을 제안한다.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life skill that students need to form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live as members of society. In school life, howev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ten express verbal and physical aggression or experience conflicts because of bullying and teasing. A variety of wa...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life skill that students need to form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live as members of society. In school life, howev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ten express verbal and physical aggression or experience conflicts because of bullying and teasing. A variety of ways to mediate or resolve conflicts have focused on emotions and sentiments. Likewise, revising curricula, developing and distribu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providing counseling have also been undertaken; academic discussions have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self-expression, self-understanding, listening, and empathy. These efforts have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interests initially biased toward cognitive education into emotional education. Although poor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is still changing, it remains a priority in schools. Therefore, students need to consider, internalize, and embody these skills to actively practice them in their daily lives. Teaching students the skills of living and communicating well with each other is necessary,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an action study of the emotional expression program. This study aims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empathy among third-grade elementary students by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emotional expression programs. The initial studies from March 2018 to December 2019 focused on observ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students’ communication experiences, which are “expressing emotions through respectful dialogue,” “expressing emotions clearly with emotional vocabulary,” and “expressing emotions abundantly with the emotional play.” First, the emotional expression program was designed for “understanding self-emotion,” “expression of self-emotion,” an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emotions of others.” Expressing emotions was essential for informing others and understanding one’s honest feelings, and this was mainly applied to speaking and listening as an auxiliary method. Second, during the program, students learned more emotional words and expressed them clearly by applying them to emotional expressions. Autonomously resolving conflicts has also improved by practicing respectful dialogue in daily lif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showed improve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demonstrated positive change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ir peers due to practicing respectful dialogue under the guidance of their teachers. Thir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on program,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feelings more accurately. This process expanded their emotional vocabulary and formed the habit of using respectful dialogue, which can be understood as an improvement in their emotional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They also revealed their own emotional experiences, learned more about other people’s emotional experiences, and grew closer to each other. These changes were accepted as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relations, including mutual understanding, empathy, improved intimacy, and a sense of belonging, by opening themselves emotionally and sharing the world to ot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link knowledge to life by integrating and expanding the areas of teaching and learning into classes, life education, and class management as a whole, and by considering each life for students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the necessary growth at their level was achieved. The study recruited third-grade students from one class and was limited to students who caused problems by expressing too many negative emotions. Future studies could look into the proposal of development programs for students who suppress their emotions, the creation of friendly school culture, and improving conditions for teachers to help them improve educational problems.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life skill that students need to form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live as members of society. In school life, howev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ten express verbal and physical aggression or experience conflicts because of bullying and teasing. A variety of ways to mediate or resolve conflicts have focused on emotions and sentiments. Likewise, revising curricula, developing and distribu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providing counseling have also been undertaken; academic discussions have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self-expression, self-understanding, listening, and empathy. These efforts have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interests initially biased toward cognitive education into emotional education. Although poor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is still changing, it remains a priority in schools. Therefore, students need to consider, internalize, and embody these skills to actively practice them in their daily lives. Teaching students the skills of living and communicating well with each other is necessary,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an action study of the emotional expression program. This study aims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empathy among third-grade elementary students by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emotional expression programs. The initial studies from March 2018 to December 2019 focused on observ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students’ communication experiences, which are “expressing emotions through respectful dialogue,” “expressing emotions clearly with emotional vocabulary,” and “expressing emotions abundantly with the emotional play.” First, the emotional expression program was designed for “understanding self-emotion,” “expression of self-emotion,” an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emotions of others.” Expressing emotions was essential for informing others and understanding one’s honest feelings, and this was mainly applied to speaking and listening as an auxiliary method. Second, during the program, students learned more emotional words and expressed them clearly by applying them to emotional expressions. Autonomously resolving conflicts has also improved by practicing respectful dialogue in daily lif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showed improve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demonstrated positive change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ir peers due to practicing respectful dialogue under the guidance of their teachers. Thir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on program,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feelings more accurately. This process expanded their emotional vocabulary and formed the habit of using respectful dialogue, which can be understood as an improvement in their emotional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They also revealed their own emotional experiences, learned more about other people’s emotional experiences, and grew closer to each other. These changes were accepted as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relations, including mutual understanding, empathy, improved intimacy, and a sense of belonging, by opening themselves emotionally and sharing the world to ot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link knowledge to life by integrating and expanding the areas of teaching and learning into classes, life education, and class management as a whole, and by considering each life for students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the necessary growth at their level was achieved. The study recruited third-grade students from one class and was limited to students who caused problems by expressing too many negative emotions. Future studies could look into the proposal of development programs for students who suppress their emotions, the creation of friendly school culture, and improving conditions for teachers to help them improve educational problem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