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궁궐의 전각(殿閣)배치에 대한 풍수적 해석과 서수(瑞獸)배치에 대한 상징적 의미
Feng shui interpretation of palace layout and auspicious animals symbol layout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이호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 궁궐은 유학의 기본이념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사상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풍수론을 기반으로 건축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사상체계를 바탕으로 조선 시대 궁궐 공간에 적용된 전각의 배치 원리를 밝히는 내용과 궁궐 내 서수 조각물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풍수 팔택법은 주어진 공간에서 계획된 건축물의 위치를 정하고 배열하는 방법 등 궁궐 전체 배치형태를 밝혀볼 수 있는 구체적 논리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궁궐 전각에 대한 위치 결정 방법으로 당시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수용되었던 팔택법에 관한 논리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팔택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 이론인 문(門)․주(主)․조(灶)의 위치는 물론 대부분의 전각이 팔괘의 방위관에 부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팔택법을 이용한 궁궐 공간의 영역구분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되었다. 하나는 궁궐의 주요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정전․편전․침전으로 이어지는 중심부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풍수의 혈처로 판단되는 중심전각을 기준으로 다른 전각과의 상대적 위치를 정하는 팔괘 방위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경복궁의 중심 공간으로 정해진 곳은 강녕전이고, 창덕궁의 중심 공간은 대조전으로, 궁궐의 중심 공간은 모두 침전 영역에서 정해졌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왕실 가족들이 생활하는 주요 공간은 모두 길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왕실 가족이 아닌 그들을 보조하거나, 대신들이 직무를 보는 공간, 또는 조상을 모시는 전각들은 모두 흉방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궁궐은 풍수를 활용한 입지선정에 팔택법을 활용한 방위관이 적용되어 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조선 궁궐은 자연과 풍수를 이용한 배치에 상징적 의미가 더해져 완성되었다. 궁궐에 조형된 서수 조각물 등은 당시 만연했던 사상이나 궁궐 문화를 드러내고 있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건물을 장식하는 다양한 조형물의 형태나 위치 등 그것이 놓인 방향에 이르기까지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지 않은 것이 없다. 따라서 궁궐 내 조형물이 가장 집중되어있는 곳인 정전(正殿)과 금천교(錦川橋)에 배치된 서수를 위주로 궁궐 공간의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서수가 가장 많이 배치되어있는 근정전의 월대는 사신․12지신․28수 형상․용생구자 등으로 구성되었다. 기존의 연구 등에서 28수의 동물형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 12지신으로 잘못 해석되었던 내용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특히 현재의 배치와 『경복궁 영건일기』의 내용이 상이(相異)한 부분에 있어서, 현재의 배치 구성보다는 『경복궁 영건일기』의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사상에 바탕을 둔 체계적 구성으로 해석하였다. 모서리 부분에 놓인 법수와 쌍법수는 모두 화재에 취약했던 궁전을 보호하기 위한 비보의 방법으로 용생구자(龍生九子) 이문(螭吻)으로 해석하였다.
금천교 공간의 구성 역시 당시 사회의 만연한 사상체계나 사회적 의식형태가 반영되어 궁궐 공간의 건축 형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물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모든 생명의 기본이고 만물의 근원이다. 풍수를 수용하였던 조선 사회의 일면은 금천교의 축성에 있어서도 다양한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배산(背山)을 취하였던 궁궐의 건축은 음산양수(陰山陽水)의 논리를 수용해 궁궐 안으로 물길을 들여 음양 조화를 고려한 건축공간을 완성하였다. 물에 대한 의미는 정치사적 의미로도 깊이 받아들여졌던 것을 알 수 있다. 물이 깨끗하면 백성의 마음도 바르고, 물이 맑으면 역시 백성의 마음도 맑은 것이라고 보았다. 군주는 천하의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진 사람으로서 물을 깨끗하게 잘 관리하는 사람만이 백성의 삶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덕(德)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금천교가 관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궁궐 금천의 어원(語源)은 창덕궁 수계(水系)에서 시작되었으며 팔괘 방위관을 이용해 만들어졌다. 창덕궁으로 들어오는 물의 방위가 건방(乾方:☰)에 해당하고, 건(乾) 방위에 해당하는 ...

주제어

#건축술한국고건축물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호선
학위수여기관 한양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건축학과
지도교수 한동수
발행연도 2021
총페이지 x, 193 p.
키워드 건축술한국고건축물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5751870&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