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에 국제연합 무역개발회의(UNCTA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는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경제 엔진이 될 가능성을 강조했다. UNCTAD의 <2015 information Economy Report>"에 따르면 전자상거래는 지난 10년 동안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이다. 국경간 전자상거래(CBEC: Cross Border E-Commerce)발전은 여전히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고 있지만 개발 도상국의 CBEC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CBEC 빠르게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과 한국은 2002년부터 한·중 ...
1999년에 국제연합 무역개발회의(UNCTA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는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경제 엔진이 될 가능성을 강조했다. UNCTAD의 <2015 information Economy Report>"에 따르면 전자상거래는 지난 10년 동안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이다. 국경간 전자상거래(CBEC: Cross Border E-Commerce)발전은 여전히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고 있지만 개발 도상국의 CBEC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CBEC 빠르게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과 한국은 2002년부터 한·중 자유 무역 지역에 대한 협상을 시작했고, 14차의 협상 끝에2014 년 12 월 17 일에 정식으로 서명되었다. 한·중 자유 무역 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은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 할뿐만 아니라 환경 및 전자상거래와 같은 새로운 경제 및 무역 문제도 포함한다. 한·중 자유 무역 협정13장“전자상거래”에서는 한·중이 전자상거래 협력을 강화하고 협력을 통한 전자상거래 발전을 촉진 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한·중FTA의 체결을 통해 양국 간의 기술 무역 장벽을 낮추고 무역 비용을 절감하며, 양국 간의 정보 산업에서 협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동시에 새로운 국제규범 환경 조성을 통해 한·중 양국의CBEC운영하는 기업의 상호 협력뿐 아니라 국제시장 개척도 촉진할 수 있다. 한·중 간 전자상거래가 본격화되면서 학계에서도 관련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한·중 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주요 선행연구들은 CBEC의 장단점, CBEC의 정책 지원, 물류에 대한 논의하는 연구가 다수이며,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실증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론 연구의 시각으로 한국과 중국의CBEC시장 현황, 발전과정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벡터자기회귀 모형(VAR: Vector Autoregressive model) 기반으로 한·중 간CBEC수출에 영향을 주는 각 요인들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미래의 수출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하였다. 최신의 경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9년2분기까지 한·중 양국의 분기별 데이터로 실증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CBEC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국내총생산(GDP), 인터넷 사용자수(OU), 환율(ER), 자유무역협정(FTA), 중-미 무역전쟁(TW)등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한·중 CBEC 수출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eviews를 통해 정확하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대 한국 CBEC 수출 분석 결과, 첫째, GDP와 환율은 중국의 대 한국 CBEC수출에 단기적으로는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인터넷 사용자 수는 중국의 대 한국 CBEC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FTA의 발효는 중국의 대 한국 CBEC수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미 무역 분쟁의 발생은 중국의 대 한국 CBEC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각 요인 중에 GDP는 중국의 대 한국 CBEC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중국의 대 한국 CBEC수출에 환율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GDP와 인터넷 사용자 수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의 대중국 CBEC 수출 분석 결과, 첫째, GDP는 한국의 대중국 CBEC 수출에 단기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환율과 인터넷 사용자 수는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FTA의 발효와 중미 무역 전쟁의 발생은 다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터넷 사용자 수는 한국의 대중국 CBEC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환율과 인터넷 사용자 수는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GDP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났다. 전자상거래는 현대 상무 발전의 일종인 이머징 비즈니스 형식이 이미 점차적으로 전체 상업 유통 영역에서 갈수록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중 전자상거래의 시장규모, 발전 특징 등을 연구하는 것은 이러한 신흥 무역 형세를 발전시키고 무역 구조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특히 수출기업으로서는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 정보를 디지털화, 편리화게 하여 수출기업이 해외거래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전자상거래 발전의 현황에 대해 개괄적으로 서술하고 분석을 가함으로써 양국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환경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정부와 수출 기업에 도움과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론적 정성과 실증적 계량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한·중CBEC 수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연구함으로써 한중 CBEC 의 연구를 풍부하게 하여 중요한 이론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CBEC 발전의 현황을 분석하여 명확하게 포지션할 수 있으며, 앞으로 한·중 양국의 CBEC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한 대책과 건의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999년에 국제연합 무역개발회의(UNCTA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는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경제 엔진이 될 가능성을 강조했다. UNCTAD의 <2015 information Economy Report>"에 따르면 전자상거래는 지난 10년 동안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이다. 국경간 전자상거래(CBEC: Cross Border E-Commerce)발전은 여전히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고 있지만 개발 도상국의 CBEC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CBEC 빠르게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과 한국은 2002년부터 한·중 자유 무역 지역에 대한 협상을 시작했고, 14차의 협상 끝에2014 년 12 월 17 일에 정식으로 서명되었다. 한·중 자유 무역 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은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 할뿐만 아니라 환경 및 전자상거래와 같은 새로운 경제 및 무역 문제도 포함한다. 한·중 자유 무역 협정13장“전자상거래”에서는 한·중이 전자상거래 협력을 강화하고 협력을 통한 전자상거래 발전을 촉진 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한·중FTA의 체결을 통해 양국 간의 기술 무역 장벽을 낮추고 무역 비용을 절감하며, 양국 간의 정보 산업에서 협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동시에 새로운 국제규범 환경 조성을 통해 한·중 양국의CBEC운영하는 기업의 상호 협력뿐 아니라 국제시장 개척도 촉진할 수 있다. 한·중 간 전자상거래가 본격화되면서 학계에서도 관련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한·중 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주요 선행연구들은 CBEC의 장단점, CBEC의 정책 지원, 물류에 대한 논의하는 연구가 다수이며,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실증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론 연구의 시각으로 한국과 중국의CBEC시장 현황, 발전과정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벡터자기회귀 모형(VAR: Vector Autoregressive model) 기반으로 한·중 간CBEC수출에 영향을 주는 각 요인들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미래의 수출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하였다. 최신의 경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9년2분기까지 한·중 양국의 분기별 데이터로 실증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CBEC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국내총생산(GDP), 인터넷 사용자수(OU), 환율(ER), 자유무역협정(FTA), 중-미 무역전쟁(TW)등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한·중 CBEC 수출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eviews를 통해 정확하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대 한국 CBEC 수출 분석 결과, 첫째, GDP와 환율은 중국의 대 한국 CBEC수출에 단기적으로는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인터넷 사용자 수는 중국의 대 한국 CBEC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FTA의 발효는 중국의 대 한국 CBEC수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미 무역 분쟁의 발생은 중국의 대 한국 CBEC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각 요인 중에 GDP는 중국의 대 한국 CBEC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중국의 대 한국 CBEC수출에 환율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GDP와 인터넷 사용자 수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의 대중국 CBEC 수출 분석 결과, 첫째, GDP는 한국의 대중국 CBEC 수출에 단기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환율과 인터넷 사용자 수는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FTA의 발효와 중미 무역 전쟁의 발생은 다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터넷 사용자 수는 한국의 대중국 CBEC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환율과 인터넷 사용자 수는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GDP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났다. 전자상거래는 현대 상무 발전의 일종인 이머징 비즈니스 형식이 이미 점차적으로 전체 상업 유통 영역에서 갈수록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중 전자상거래의 시장규모, 발전 특징 등을 연구하는 것은 이러한 신흥 무역 형세를 발전시키고 무역 구조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특히 수출기업으로서는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 정보를 디지털화, 편리화게 하여 수출기업이 해외거래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전자상거래 발전의 현황에 대해 개괄적으로 서술하고 분석을 가함으로써 양국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환경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정부와 수출 기업에 도움과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론적 정성과 실증적 계량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한·중CBEC 수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연구함으로써 한중 CBEC 의 연구를 풍부하게 하여 중요한 이론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CBEC 발전의 현황을 분석하여 명확하게 포지션할 수 있으며, 앞으로 한·중 양국의 CBEC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한 대책과 건의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1999,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e-commerce becoming the engine of the global economy. According to UNCTAD's "2015 Information Economy Report", ecommerce has achieved rapid development in the past 10 years and will continue...
In 1999,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e-commerce becoming the engine of the global economy. According to UNCTAD's "2015 Information Economy Report", ecommerce has achieved rapid development in the past 10 years and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cross-border e-commerce is still dominated by developed countries, but CBEC in developing countries is also developing rapidly. Especially in recent years, China's CBEC has developed rapidly and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China and South Korea began negotiations on the Korea-China Free Trade Area in 2002, and after the 14th negotiation, they formally signed the agreement on December 17, 2014.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FTA: free trade agreement) not only covers a wide range of areas, but also includes new economic and trade issue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e-commerce. Chapter 13 of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E-commerce" pointed out that Korea and China will strengthen e-commerce cooperation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through cooperation. The signing of the KoreaChina FTA can lower the technical trade barri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reduce trade costs, and help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information industry. At the same time, by creating a new international regulatory environment, it can not only promote the mutual cooperation of CBEC operating companies in South Korea and China, but also promote companies to explore international markets. With the overall development of e-commerc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e academic community is also actively conducting related research. In recent years, the main research on e-commerc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has mostly discuss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BEC, CBEC policy support, and logistics. Some recent research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etical research, this research not onl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CBEC market in Korea and China, but also uses actual data to study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export of CBEC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vector recurrent model (VAR), and then forecast Future export. In order to reflect the latest trends, the empirical analysis uses quarterly data from Korea and China from 2010 to the second quarter of 2019. This study refers to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CBEC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sets variables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number of Internet users (OU), exchange rate (ER),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Sino-US trade war (TW).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uth Korea-China CBEC exports as a subsidiary variable. In addition, accurat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e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of China's exports of CBEC to Sou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GDP has a negative impact on South Korea’s CBEC exports to China in the short term, but it has a positive impact in the long run. Exchange rates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Second, the entry into force of the China-South Korea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outbreak of the Sino-US trade war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Third, the exchange rate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ve an indirect effect on Korea's exports to China, while GDP has a direct impact. The analysis results of South Korea’s exports of CBEC to China are as follows, first, GDP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South Korea’s CBEC exports to China in the short term, but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in the long run. Exchange rates and the number of net us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exports. Both the entry into force of the FTA and the emergence of the Sino-US trade war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Seco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s the greatest impact on South Korea’s CBEC exports to China. Third, the exchange rate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ve an indirect impact on South Korea’s exports to China and a direct impact on GDP. E-commerce is an emerging form of busines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business, and it has gradually occupied an increasingly important position in the entire commercial circulation field. Studying the market scale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China e-commerc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this emerging trade situ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de structure. Especially as an export company, with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the company's product and service information will be digitalized and facilitated, and export companies can maximize overseas transaction lines. Therefore, through a general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e-commerce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e-commer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can also provide help and enlightenment for the government and export companies. Through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methods, it is of great theoretical significance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orts of Korea-China CBEC and enrich the research of Korea-China CBEC. This research can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BEC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clarify its positioning, which will help provide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for the better development of CBEC i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In 1999,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e-commerce becoming the engine of the global economy. According to UNCTAD's "2015 Information Economy Report", ecommerce has achieved rapid development in the past 10 years and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cross-border e-commerce is still dominated by developed countries, but CBEC in developing countries is also developing rapidly. Especially in recent years, China's CBEC has developed rapidly and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China and South Korea began negotiations on the Korea-China Free Trade Area in 2002, and after the 14th negotiation, they formally signed the agreement on December 17, 2014.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FTA: free trade agreement) not only covers a wide range of areas, but also includes new economic and trade issue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e-commerce. Chapter 13 of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E-commerce" pointed out that Korea and China will strengthen e-commerce cooperation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through cooperation. The signing of the KoreaChina FTA can lower the technical trade barri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reduce trade costs, and help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information industry. At the same time, by creating a new international regulatory environment, it can not only promote the mutual cooperation of CBEC operating companies in South Korea and China, but also promote companies to explore international markets. With the overall development of e-commerc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e academic community is also actively conducting related research. In recent years, the main research on e-commerc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has mostly discuss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BEC, CBEC policy support, and logistics. Some recent research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etical research, this research not onl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CBEC market in Korea and China, but also uses actual data to study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export of CBEC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vector recurrent model (VAR), and then forecast Future export. In order to reflect the latest trends, the empirical analysis uses quarterly data from Korea and China from 2010 to the second quarter of 2019. This study refers to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CBEC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sets variables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number of Internet users (OU), exchange rate (ER),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Sino-US trade war (TW).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uth Korea-China CBEC exports as a subsidiary variable. In addition, accurat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e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of China's exports of CBEC to Sou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GDP has a negative impact on South Korea’s CBEC exports to China in the short term, but it has a positive impact in the long run. Exchange rates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Second, the entry into force of the China-South Korea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outbreak of the Sino-US trade war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Third, the exchange rate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ve an indirect effect on Korea's exports to China, while GDP has a direct impact. The analysis results of South Korea’s exports of CBEC to China are as follows, first, GDP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South Korea’s CBEC exports to China in the short term, but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in the long run. Exchange rates and the number of net us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exports. Both the entry into force of the FTA and the emergence of the Sino-US trade war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Seco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s the greatest impact on South Korea’s CBEC exports to China. Third, the exchange rate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ve an indirect impact on South Korea’s exports to China and a direct impact on GDP. E-commerce is an emerging form of busines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business, and it has gradually occupied an increasingly important position in the entire commercial circulation field. Studying the market scale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China e-commerc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this emerging trade situ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de structure. Especially as an export company, with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the company's product and service information will be digitalized and facilitated, and export companies can maximize overseas transaction lines. Therefore, through a general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e-commerce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e-commer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can also provide help and enlightenment for the government and export companies. Through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methods, it is of great theoretical significance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orts of Korea-China CBEC and enrich the research of Korea-China CBEC. This research can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BEC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clarify its positioning, which will help provide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for the better development of CBEC i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Keyword
#CBEC, 한중간 전자상거래 수출, 한·중 FTA, 중-미 무역 분쟁,CBEC, Korea-China e-commerce exports, Korea-China free trade zone, US-China trade war
학위논문 정보
저자
Cai, Jiaying
학위수여기관
경희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무역학과 국제경영전공
지도교수
김학민
발행연도
2021
총페이지
vii, 71 p.
키워드
CBEC, 한중간 전자상거래 수출, 한·중 FTA, 중-미 무역 분쟁,CBEC, Korea-China e-commerce exports, Korea-China free trade zone, US-China trade wa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