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언어마다 완곡 표현이라는 것은 존재하나 양국 간의 언어, 문화 차이와 한국 문화 관련 지식에 관한 부족함으로 인해 다른 문화 공동체에 속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완곡 표현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일이 적지 않다. 한국어 교육에서 완곡 표현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완곡 표현 관련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곡 표현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완곡 표현을 학습하고 한국어로 의사소통 ...
각 언어마다 완곡 표현이라는 것은 존재하나 양국 간의 언어, 문화 차이와 한국 문화 관련 지식에 관한 부족함으로 인해 다른 문화 공동체에 속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완곡 표현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일이 적지 않다. 한국어 교육에서 완곡 표현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완곡 표현 관련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곡 표현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완곡 표현을 학습하고 한국어로 의사소통 하는 과정에 상당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에 언급한 이유로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 질병, 장애 관련 금기어와 완곡 표현을 중심으로 대조하여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그리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곡 표현 이해도 조사와 베트남에서 많이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서 나온 완곡 표현 출현 양상과 빈도 조사를 통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곡 표현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완곡 표현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간략히 정리하도록 한다.
제3장에서는 베트남 현지 (하노이 지역 중심)에서 많이 사용하는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재미있는 한국어』와 세종학당뿐만 아니라 한국어 어학원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세종한국어』)를 선정하여 한국어 완곡 표현의 출현 양상과 빈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베트남 하노이국립외국어대학교 (이하 '국립외대'라 칭함) 3,4학년 학생과 졸업한 지 1년 미만의 졸업생 103명을 대상으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죽음, 질병, 장애에 관한 한국어 완곡 표현을 잘 아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조사한 결과 한국어 교재에서 나온 완곡 표현의 출현 양상 및 빈도를 중심으로 교재별, 의미별 (죽음, 질병, 장애), 단계별 (초, 중, 고)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각 교재를 분석한 결과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는 다른 교재에 비해 완곡 표현의 교육 및 학습에 많이 유익했다. 그리고 의미별 완곡 표현을 분석한 결과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수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다른 질병과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에 비해 1회만으로 나타난 저빈도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수가 더 많았다. 마지막으로 단계별 완곡 표현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 완곡 표현 수에 관한 배분은 각 교재에서 불일치함을 알 수 있었고, 각 교재의 완곡 표현 선정에 있어서도 차이점을 보였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곡 표현의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 세 가지의 완곡 표현 중에 베트남인 학습자는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과 관련된 문항에서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이해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의 이해도는 가장 낮았다. 또한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사용 양상은 다양하나 사용 상황이나 죽은 자의 신분에 부적합한 완곡 표현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질병에 관한 완곡 표현과 관련하여 병명에 관한 완곡 표현의 이해도가 낮은 편이다. 그리고 금기어와 완곡 표현을 구분하지 못해서 완곡 표현 대신 금기어를 직접 사용하는 오류를 범한 학습자가 많았다.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과 관련하여 신체적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에 비해 정신적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의 이해도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제4장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 질병, 장애에 관한 금기어와 완곡 표현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서 대조함으로써 두 나라 간의 문화적인 특징, 사람의 인식, 완곡 표현의 의미적 형성 방식의 공통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공통점 외에는 양국 간의 언어, 문화 차이로 인해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죽음, 질병, 장애에 관한 금기어와 완곡 표현의 차이점도 보인다.
제5장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곡 표현 교육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이 교육 방안은 새로운 완곡 표현을 교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안과 배웠던 완곡 표현을 다시 정리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 두 가지로 나눠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한국어 교사가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재에서의 한국어 완곡 표현 교육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완곡 표현을 잘 아는지 등 베트남에서의 완곡 표현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완곡 표현을 교육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면에 의의가 있다.
각 언어마다 완곡 표현이라는 것은 존재하나 양국 간의 언어, 문화 차이와 한국 문화 관련 지식에 관한 부족함으로 인해 다른 문화 공동체에 속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완곡 표현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일이 적지 않다. 한국어 교육에서 완곡 표현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완곡 표현 관련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곡 표현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완곡 표현을 학습하고 한국어로 의사소통 하는 과정에 상당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에 언급한 이유로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 질병, 장애 관련 금기어와 완곡 표현을 중심으로 대조하여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그리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곡 표현 이해도 조사와 베트남에서 많이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서 나온 완곡 표현 출현 양상과 빈도 조사를 통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곡 표현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완곡 표현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간략히 정리하도록 한다.
제3장에서는 베트남 현지 (하노이 지역 중심)에서 많이 사용하는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재미있는 한국어』와 세종학당뿐만 아니라 한국어 어학원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세종한국어』)를 선정하여 한국어 완곡 표현의 출현 양상과 빈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베트남 하노이국립외국어대학교 (이하 '국립외대'라 칭함) 3,4학년 학생과 졸업한 지 1년 미만의 졸업생 103명을 대상으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죽음, 질병, 장애에 관한 한국어 완곡 표현을 잘 아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조사한 결과 한국어 교재에서 나온 완곡 표현의 출현 양상 및 빈도를 중심으로 교재별, 의미별 (죽음, 질병, 장애), 단계별 (초, 중, 고)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각 교재를 분석한 결과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는 다른 교재에 비해 완곡 표현의 교육 및 학습에 많이 유익했다. 그리고 의미별 완곡 표현을 분석한 결과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수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다른 질병과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에 비해 1회만으로 나타난 저빈도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수가 더 많았다. 마지막으로 단계별 완곡 표현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 완곡 표현 수에 관한 배분은 각 교재에서 불일치함을 알 수 있었고, 각 교재의 완곡 표현 선정에 있어서도 차이점을 보였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곡 표현의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 세 가지의 완곡 표현 중에 베트남인 학습자는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과 관련된 문항에서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이해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의 이해도는 가장 낮았다. 또한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사용 양상은 다양하나 사용 상황이나 죽은 자의 신분에 부적합한 완곡 표현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질병에 관한 완곡 표현과 관련하여 병명에 관한 완곡 표현의 이해도가 낮은 편이다. 그리고 금기어와 완곡 표현을 구분하지 못해서 완곡 표현 대신 금기어를 직접 사용하는 오류를 범한 학습자가 많았다.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과 관련하여 신체적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에 비해 정신적 장애에 관한 완곡 표현의 이해도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제4장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 질병, 장애에 관한 금기어와 완곡 표현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서 대조함으로써 두 나라 간의 문화적인 특징, 사람의 인식, 완곡 표현의 의미적 형성 방식의 공통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공통점 외에는 양국 간의 언어, 문화 차이로 인해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죽음, 질병, 장애에 관한 금기어와 완곡 표현의 차이점도 보인다.
제5장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곡 표현 교육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이 교육 방안은 새로운 완곡 표현을 교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안과 배웠던 완곡 표현을 다시 정리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 두 가지로 나눠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한국어 교사가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재에서의 한국어 완곡 표현 교육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완곡 표현을 잘 아는지 등 베트남에서의 완곡 표현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완곡 표현을 교육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면에 의의가 있다.
Keyword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금기어와 완곡 표현, 완곡 표현 출현 양상 및 빈도,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완곡 표현 이해도, 한국어 완곡 표현 교육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