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헤이안 시대의 조원(造園) 기술을 기록한 『사쿠테이키』의 핵심적인 정원 조영 원리 중에서 이시구미(石組) 원리와 풍정(風情)을 조성하는 미적 구성 원리, 연못 안에 섬과 스하마(洲浜)를 조성하는 의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지로 선정한 정원의 사례분석에 적용하여 일본 정원문화의 특질을 고찰하였다. 『사쿠테이키』에 기록된 정원 구성기법 및 연못과 섬 조성 기법, 돌을 조합하고 배치하는 이시구미 기법 등의 세부적인 조원 기법은 헤이안 시대에 조영된 모쓰지 정원을 비롯해 근세에 조영된 센토고쇼 정원, 곤치인 정원, 가쓰라리큐 정원에도 적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문헌은 일본의 전통 정원문화를 실증적으로 입증해주는 역할을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정원 비전서『사쿠테이키』와『산스이나라비니노가타노즈』를 비교 고찰한 결과 풍정을 조성하는 공통적인 원리는 명소의 시적 풍경 이미지와 조원가의 독창적인 연상을 통해 이시구미를 하고, 정원을 조성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사쿠테이키』의 편자가 이상적인 정원조영을 위한 핵심원리로 제시한 풍정의 의미는 자연이라는 객관적인 풍경과 조원가의 주관적인 미의식이 자연과 융합하여 조화를 이끌어낼 때 창조되는 아름다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일본정원에서 의미하는 풍정은 그 지역 고유의 풍토와 정서를 토대로 마치 자연과 같은 풍경을 대지(大地)에 재현하는 미적 구성 원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인들의 석조물 의장은 일본의 정원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공간구성 요소이다. 로지의 물그릇과 징검돌, 포장돌, 석등롱 등의 세부적인 장치를 통해 다인의 미의식을 세밀하게 표현한다는 것이다. 로지의 쓰쿠바이 공간은 물그릇과 주변의 자연석의 구성과 배치를 통해 순수하고, 청정한 원초적인 자연에 대한 일본인의 동경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자연석의 이시구미를 통해 무한한 대자연의 풍경을 재현하는 일본 정원문화의 조형적 특성의 일면이라고 파악된다. 로지는 『사쿠테이키』에서 제시한 자연 본래의 풍경을 조성하는 조원방식과 자연을 상징적으로 조형하려는 다인들의 창의성이 치밀하게 구상되어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정원문화를 종합적인 시각에서 검토한 결과 일본 전통문화의 한 영역인 와카와 다도문화와 정원문화는 풍정이라는 운율적인 시적 이미지와 밀접한 호응관계를 이루며 성립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가쓰라리큐 정원은 일본의 전통문화를 표방하는 하나의 상징적인 장치로서 정원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
본 논문은 헤이안 시대의 조원(造園) 기술을 기록한 『사쿠테이키』의 핵심적인 정원 조영 원리 중에서 이시구미(石組) 원리와 풍정(風情)을 조성하는 미적 구성 원리, 연못 안에 섬과 스하마(洲浜)를 조성하는 의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지로 선정한 정원의 사례분석에 적용하여 일본 정원문화의 특질을 고찰하였다. 『사쿠테이키』에 기록된 정원 구성기법 및 연못과 섬 조성 기법, 돌을 조합하고 배치하는 이시구미 기법 등의 세부적인 조원 기법은 헤이안 시대에 조영된 모쓰지 정원을 비롯해 근세에 조영된 센토고쇼 정원, 곤치인 정원, 가쓰라리큐 정원에도 적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문헌은 일본의 전통 정원문화를 실증적으로 입증해주는 역할을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정원 비전서『사쿠테이키』와『산스이나라비니노가타노즈』를 비교 고찰한 결과 풍정을 조성하는 공통적인 원리는 명소의 시적 풍경 이미지와 조원가의 독창적인 연상을 통해 이시구미를 하고, 정원을 조성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사쿠테이키』의 편자가 이상적인 정원조영을 위한 핵심원리로 제시한 풍정의 의미는 자연이라는 객관적인 풍경과 조원가의 주관적인 미의식이 자연과 융합하여 조화를 이끌어낼 때 창조되는 아름다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일본정원에서 의미하는 풍정은 그 지역 고유의 풍토와 정서를 토대로 마치 자연과 같은 풍경을 대지(大地)에 재현하는 미적 구성 원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인들의 석조물 의장은 일본의 정원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공간구성 요소이다. 로지의 물그릇과 징검돌, 포장돌, 석등롱 등의 세부적인 장치를 통해 다인의 미의식을 세밀하게 표현한다는 것이다. 로지의 쓰쿠바이 공간은 물그릇과 주변의 자연석의 구성과 배치를 통해 순수하고, 청정한 원초적인 자연에 대한 일본인의 동경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자연석의 이시구미를 통해 무한한 대자연의 풍경을 재현하는 일본 정원문화의 조형적 특성의 일면이라고 파악된다. 로지는 『사쿠테이키』에서 제시한 자연 본래의 풍경을 조성하는 조원방식과 자연을 상징적으로 조형하려는 다인들의 창의성이 치밀하게 구상되어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정원문화를 종합적인 시각에서 검토한 결과 일본 전통문화의 한 영역인 와카와 다도문화와 정원문화는 풍정이라는 운율적인 시적 이미지와 밀접한 호응관계를 이루며 성립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가쓰라리큐 정원은 일본의 전통문화를 표방하는 하나의 상징적인 장치로서 정원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일본문화의 이미지를 구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와카와 모노가타리에서의 풍정(시적 풍경 이미지)과 다인의 풍정(취향)과 『사쿠테이키』의 풍정(공간조형 언어)이 상호 긴밀하게 호응하며 공간을 통해 구조화, 도식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본 정원문화의 특질은 스하마 의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마치 자연처럼 보이게 하는 투명하고 정교한 의장과 풍정 있는 공간의 조형적 연출에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사쿠테이키』에는 일본의 고대 정원문화는 물론 한국과 중국의 고대 정원문화가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기술적, 종교적, 사상적, 미학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와 중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헤이안 시대의 조원(造園) 기술을 기록한 『사쿠테이키』의 핵심적인 정원 조영 원리 중에서 이시구미(石組) 원리와 풍정(風情)을 조성하는 미적 구성 원리, 연못 안에 섬과 스하마(洲浜)를 조성하는 의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지로 선정한 정원의 사례분석에 적용하여 일본 정원문화의 특질을 고찰하였다. 『사쿠테이키』에 기록된 정원 구성기법 및 연못과 섬 조성 기법, 돌을 조합하고 배치하는 이시구미 기법 등의 세부적인 조원 기법은 헤이안 시대에 조영된 모쓰지 정원을 비롯해 근세에 조영된 센토고쇼 정원, 곤치인 정원, 가쓰라리큐 정원에도 적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문헌은 일본의 전통 정원문화를 실증적으로 입증해주는 역할을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정원 비전서『사쿠테이키』와『산스이나라비니노가타노즈』를 비교 고찰한 결과 풍정을 조성하는 공통적인 원리는 명소의 시적 풍경 이미지와 조원가의 독창적인 연상을 통해 이시구미를 하고, 정원을 조성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사쿠테이키』의 편자가 이상적인 정원조영을 위한 핵심원리로 제시한 풍정의 의미는 자연이라는 객관적인 풍경과 조원가의 주관적인 미의식이 자연과 융합하여 조화를 이끌어낼 때 창조되는 아름다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일본정원에서 의미하는 풍정은 그 지역 고유의 풍토와 정서를 토대로 마치 자연과 같은 풍경을 대지(大地)에 재현하는 미적 구성 원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인들의 석조물 의장은 일본의 정원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공간구성 요소이다. 로지의 물그릇과 징검돌, 포장돌, 석등롱 등의 세부적인 장치를 통해 다인의 미의식을 세밀하게 표현한다는 것이다. 로지의 쓰쿠바이 공간은 물그릇과 주변의 자연석의 구성과 배치를 통해 순수하고, 청정한 원초적인 자연에 대한 일본인의 동경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자연석의 이시구미를 통해 무한한 대자연의 풍경을 재현하는 일본 정원문화의 조형적 특성의 일면이라고 파악된다. 로지는 『사쿠테이키』에서 제시한 자연 본래의 풍경을 조성하는 조원방식과 자연을 상징적으로 조형하려는 다인들의 창의성이 치밀하게 구상되어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정원문화를 종합적인 시각에서 검토한 결과 일본 전통문화의 한 영역인 와카와 다도문화와 정원문화는 풍정이라는 운율적인 시적 이미지와 밀접한 호응관계를 이루며 성립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가쓰라리큐 정원은 일본의 전통문화를 표방하는 하나의 상징적인 장치로서 정원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일본문화의 이미지를 구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와카와 모노가타리에서의 풍정(시적 풍경 이미지)과 다인의 풍정(취향)과 『사쿠테이키』의 풍정(공간조형 언어)이 상호 긴밀하게 호응하며 공간을 통해 구조화, 도식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본 정원문화의 특질은 스하마 의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마치 자연처럼 보이게 하는 투명하고 정교한 의장과 풍정 있는 공간의 조형적 연출에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사쿠테이키』에는 일본의 고대 정원문화는 물론 한국과 중국의 고대 정원문화가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기술적, 종교적, 사상적, 미학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와 중요성이 있다.
Among the core construction principles written in 『Sakuteiki』, which records the garden-creating techniques in Heian Period, this paper focused on the principle of ishigumi, principle of aesthetic composition that forms the Huzei(artistic air), and design that creates island and suhama inside pond. ...
Among the core construction principles written in 『Sakuteiki』, which records the garden-creating techniques in Heian Period, this paper focused on the principle of ishigumi, principle of aesthetic composition that forms the Huzei(artistic air), and design that creates island and suhama inside po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Japanese garden culture through a case analysis on a selected subject garden. Specific techniques of garden design written in 『Sakuteiki』, including garden composition technique, technique of creating pond and island, and ishigumi technique for arranging stones, are applied in not only Motsuji Temple Garden that was created in Heian Period, but also garden in Sento Imperial Palace, Konchiin Temple Garden, and garden in Katsura Rikyu Imperial Villa built in modern times. This fact proves that the literature occupies a role of empirically substantiating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culture. Investigating the two secret books on gardening, 『Sakuteiki』 and 『Sansuinarabininogatanozu』, the common principle for creating huzei(artistic ai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shigumi by associating poetic landscape image of the well-known attractions that frequently appear in waka (Japanese poetry) and garden creation through the exhibition of the garden designer' aesthetic sense. The meaning of huzei, which the writer of 『Sakuteiki』 suggested as the core element for garden construc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beauty that is created when the objective landscape of nature is harmonized with the garden designer's subjective aesthetic sense as a part of the nature. In other words, huzei is a principle of aesthetic formation that reproduces the landscape of the nature on earth based on the region's unique climate and sentiment. Stone work design by the tea master is an important element for understanding the Japanese garden culture. The tea master's aesthetic sense is elaborately expressed through the detailed installations, such as water bowl, stepping stone, paving stone, and stone lantern in roji. Tsukubai space in roji symbolically expresses the Japanese people's longing for pure and uncontaminated primitive nature through an allocation of the water bowl and natural stone in the surroundings. It is one aspect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garden culture that reproduces the infinite landscape of Mother Nature through ishigumi of natural stones. Roji is a space where the garden design technique suggested in 『Sakuteiki』 that creates the original landscape of the nature and the tea master's creativities who try to symbolically express the nature are elaborately mapped out. Examination of the Japanese garden culture from comprehensive perspectives reveals the fact that waka, tea culture, and garden culture, which are one of the traditional Japanese cultures, have established by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prosodic poetic image of huzei. As a representative example, garden in Katsura Rikyu Imperial Villa materializes the image of Japanese culture through a space of garden as a symbolic installation that the advocates the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The huzei in waka and monogatari (poetic landscape image), tea master's huzei(konomi), and huzei in 『Sakuteiki』(space modeling language) are structuralize and integrate in a space through a close mutual relationship. As represented by the design of suhama, transparent and elaborate design that makes the garden look like a real natural world and formative directing of the space that has huzei are the peculiarity of the Japanese garden culture. Studying 『Sakuteiki』 has value and significance as it enables understanding the technological, religious, ideologic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that are commonly observed not only in ancient Japanese garden culture but also in ancient Korea and Chinese garden culture.
Among the core construction principles written in 『Sakuteiki』, which records the garden-creating techniques in Heian Period, this paper focused on the principle of ishigumi, principle of aesthetic composition that forms the Huzei(artistic air), and design that creates island and suhama inside po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Japanese garden culture through a case analysis on a selected subject garden. Specific techniques of garden design written in 『Sakuteiki』, including garden composition technique, technique of creating pond and island, and ishigumi technique for arranging stones, are applied in not only Motsuji Temple Garden that was created in Heian Period, but also garden in Sento Imperial Palace, Konchiin Temple Garden, and garden in Katsura Rikyu Imperial Villa built in modern times. This fact proves that the literature occupies a role of empirically substantiating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culture. Investigating the two secret books on gardening, 『Sakuteiki』 and 『Sansuinarabininogatanozu』, the common principle for creating huzei(artistic ai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shigumi by associating poetic landscape image of the well-known attractions that frequently appear in waka (Japanese poetry) and garden creation through the exhibition of the garden designer' aesthetic sense. The meaning of huzei, which the writer of 『Sakuteiki』 suggested as the core element for garden construc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beauty that is created when the objective landscape of nature is harmonized with the garden designer's subjective aesthetic sense as a part of the nature. In other words, huzei is a principle of aesthetic formation that reproduces the landscape of the nature on earth based on the region's unique climate and sentiment. Stone work design by the tea master is an important element for understanding the Japanese garden culture. The tea master's aesthetic sense is elaborately expressed through the detailed installations, such as water bowl, stepping stone, paving stone, and stone lantern in roji. Tsukubai space in roji symbolically expresses the Japanese people's longing for pure and uncontaminated primitive nature through an allocation of the water bowl and natural stone in the surroundings. It is one aspect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garden culture that reproduces the infinite landscape of Mother Nature through ishigumi of natural stones. Roji is a space where the garden design technique suggested in 『Sakuteiki』 that creates the original landscape of the nature and the tea master's creativities who try to symbolically express the nature are elaborately mapped out. Examination of the Japanese garden culture from comprehensive perspectives reveals the fact that waka, tea culture, and garden culture, which are one of the traditional Japanese cultures, have established by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prosodic poetic image of huzei. As a representative example, garden in Katsura Rikyu Imperial Villa materializes the image of Japanese culture through a space of garden as a symbolic installation that the advocates the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The huzei in waka and monogatari (poetic landscape image), tea master's huzei(konomi), and huzei in 『Sakuteiki』(space modeling language) are structuralize and integrate in a space through a close mutual relationship. As represented by the design of suhama, transparent and elaborate design that makes the garden look like a real natural world and formative directing of the space that has huzei are the peculiarity of the Japanese garden culture. Studying 『Sakuteiki』 has value and significance as it enables understanding the technological, religious, ideologic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that are commonly observed not only in ancient Japanese garden culture but also in ancient Korea and Chinese garden culture.
Keyword
#가레산스이 가쓰라리큐 회유식 정원 고호안 로지 곤치인 정원 난슈지 정원 사쿠테이키 스하마 센토고쇼 이시구미 문화 풍정 Karesansui Katsura Imperial Villa Koho-an Roji Konchi-in Temple Garden Nansuji Karesansui Garden Sakuteiki Suhama Sento Imperial Place Garden Isigumi culture Huzei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미자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일어일문학과 일본문화전공
지도교수
임찬수
발행연도
2021
총페이지
v, 164 p.
키워드
가레산스이 가쓰라리큐 회유식 정원 고호안 로지 곤치인 정원 난슈지 정원 사쿠테이키 스하마 센토고쇼 이시구미 문화 풍정 Karesansui Katsura Imperial Villa Koho-an Roji Konchi-in Temple Garden Nansuji Karesansui Garden Sakuteiki Suhama Sento Imperial Place Garden Isigumi culture Huzei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