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장애유형별 원격수업 운영 실태, 교구·설비 및 시설환경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울산 관내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특수학급에서 가장 많이 참여하는 수업은 진로와 직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로와 ...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장애유형별 원격수업 운영 실태, 교구·설비 및 시설환경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울산 관내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특수학급에서 가장 많이 참여하는 수업은 진로와 직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로와 직업교육을 하기 위해 특수학급 교실에 가사실습, 바리스타 실습, 컴퓨터 교육, 제과·제빵 실습을 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며, 실습에 필요한 설비·도구와 실습 공간 및 실습전문 강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청각·지체장애 학생들은 보조공학기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학생들은 보조공학기기 사용이 적었다. 특수교사들이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위해 다양한 보조공학기기 확보와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수학급의 장애유형별 원격수업 운영 실태 조사 결과는 첫째, 원격수업 기간에 시각장애와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는 과제수행 중심수업 유형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청각장애와 지체장애 및 정서·행동장애는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 유형을 많이 이용하였다. 원격수업 운영 시 어려운 점은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온라인 기기 접근과 활용의 어려움이었고, 개선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콘텐츠 확충과 맞춤형 원격수업 플랫폼 구축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원격수업을 위해 구비하여야 할 교재·교구는 스마트기기, 진로·직업교육 교재 교구, 원격수업기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격수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교재·교구도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특수학급의 교구·설비 및 시설환경 실태 조사 결과는 첫째, 특수학급에 보유하고 있는 교구·설비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기준에 맞게 대부분 확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수교육을 위해 교과용 교재·교구와 직업생활교육 교재·교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왔다. 둘째, 특수학급의 적정한 교실 크기는 다목적 공간 0.5실을 확보한 1.5실을 선호하였다. 특수학급 교실에 필요한 공간으로 개별학습공간, 집단학습공간, 컴퓨터실습공간, 관리업무공간은 보유 정도가 높았고, 직업교육공간과 치료지원공간은 필요하지만, 공간이 부족하여 보유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의 위치 선정 시 외부와의 출입이 편리한 위치, 일반 학생들과 어울리기 쉬운 위치를 고려하여야 할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수학급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어야 할 시설로 화장실, 엘리베이터 순으로 나왔다. 지금까지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급의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교육환경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특수교육의 다양한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해 실습 설비·도구와 실습전문 강사가 확보되고 학교급별 특성에 맞게 필요한 공간이 설치되어야 한다. 둘째,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학생을 포함하여 장애 유형에 맞는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는 교육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장애 특성에 적합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위하여 특수교사에 대한 연수도 지속해서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많은 교육자료를 탑재해서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원격수업 플랫폼 구축이 국가 차원에서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기기, 원격수업기기 등 원격수업을 위한 기자재도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급 교실에 필요한 교구·설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교구·설비 기준을 지속해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특수학급의 크기는 기본 시설과 설비가 많고 다양한 수업을 위해서 다목적 공간을 확보한 1.5실 이상의 충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특수학급의 공간은 직업교육공간, 컴퓨터실습 공간 등 장애 특성 및 교육과정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공간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여섯째, 특수학급의 위치는 외부와의 출입이 편리하고 일반 학생들과 어울리기 쉬운 위치 그리고 화장실과 엘리베이터가 가까운 곳, 1층으로 배치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일곱째,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관리자 연수 기회를 확대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장애유형별 원격수업 운영 실태, 교구·설비 및 시설환경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울산 관내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특수학급에서 가장 많이 참여하는 수업은 진로와 직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로와 직업교육을 하기 위해 특수학급 교실에 가사실습, 바리스타 실습, 컴퓨터 교육, 제과·제빵 실습을 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며, 실습에 필요한 설비·도구와 실습 공간 및 실습전문 강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청각·지체장애 학생들은 보조공학기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학생들은 보조공학기기 사용이 적었다. 특수교사들이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위해 다양한 보조공학기기 확보와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수학급의 장애유형별 원격수업 운영 실태 조사 결과는 첫째, 원격수업 기간에 시각장애와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는 과제수행 중심수업 유형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청각장애와 지체장애 및 정서·행동장애는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 유형을 많이 이용하였다. 원격수업 운영 시 어려운 점은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온라인 기기 접근과 활용의 어려움이었고, 개선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콘텐츠 확충과 맞춤형 원격수업 플랫폼 구축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원격수업을 위해 구비하여야 할 교재·교구는 스마트기기, 진로·직업교육 교재 교구, 원격수업기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격수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교재·교구도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특수학급의 교구·설비 및 시설환경 실태 조사 결과는 첫째, 특수학급에 보유하고 있는 교구·설비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기준에 맞게 대부분 확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수교육을 위해 교과용 교재·교구와 직업생활교육 교재·교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왔다. 둘째, 특수학급의 적정한 교실 크기는 다목적 공간 0.5실을 확보한 1.5실을 선호하였다. 특수학급 교실에 필요한 공간으로 개별학습공간, 집단학습공간, 컴퓨터실습공간, 관리업무공간은 보유 정도가 높았고, 직업교육공간과 치료지원공간은 필요하지만, 공간이 부족하여 보유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의 위치 선정 시 외부와의 출입이 편리한 위치, 일반 학생들과 어울리기 쉬운 위치를 고려하여야 할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수학급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어야 할 시설로 화장실, 엘리베이터 순으로 나왔다. 지금까지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급의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교육환경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특수교육의 다양한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해 실습 설비·도구와 실습전문 강사가 확보되고 학교급별 특성에 맞게 필요한 공간이 설치되어야 한다. 둘째,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학생을 포함하여 장애 유형에 맞는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는 교육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장애 특성에 적합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위하여 특수교사에 대한 연수도 지속해서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많은 교육자료를 탑재해서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원격수업 플랫폼 구축이 국가 차원에서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기기, 원격수업기기 등 원격수업을 위한 기자재도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급 교실에 필요한 교구·설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교구·설비 기준을 지속해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특수학급의 크기는 기본 시설과 설비가 많고 다양한 수업을 위해서 다목적 공간을 확보한 1.5실 이상의 충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특수학급의 공간은 직업교육공간, 컴퓨터실습 공간 등 장애 특성 및 교육과정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공간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여섯째, 특수학급의 위치는 외부와의 출입이 편리하고 일반 학생들과 어울리기 쉬운 위치 그리고 화장실과 엘리베이터가 가까운 곳, 1층으로 배치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일곱째,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관리자 연수 기회를 확대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