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원리와 적용 가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Principles for Practice and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9 no.1, 2009년, pp.79 - 89  

임성민 (대구대학교) ,  김성애 (대구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학교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실천 원리와 전제들을 언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상황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원리로서 국가 수준 과학 교육 과정 구성에서의 장애 학생에 대한 고려, 교실 단위 과학 학습지도 상황에서 교육과정 조절, 수업 설계에서 다양성을 안정한 개별화 접근, 공통의 학습경험을 공유하는 협력 기반의 과학학습지도 개인적 차이를 고려하는 수준별 과학학습평가 등을 논의하였다. 이에 대한 예시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광학교육 실천사례를 소개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 실천의 의미를 논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meaning of science educa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ram the view of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and discussed the principles and theories for constructing an educational program. Also,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에서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원리를 앞서 제시한 시각장애 학생의 광학 교육 실천 사례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공통의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미시적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실 수준에서 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수업설계를 하며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공유하여 장애 학생이나 비장애 학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과학 수업이 되도록 하는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 그것은 과학교육과 같은 구체적인 교과교육 상황에서 즉 실제 학교 학습지도 상황에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인 교육 실천의 지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실천올 위한 기본 전제들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의 실천원리를 제안하였다.
  • 이와 같은 논의는 과학교육과 같은 구체적인 교과교육에서 실현가능해야 실제로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이 구현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원리를 논의하고, 이를 고려한 구체적인 과학학습 지도의 예시를 통하여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 이러한 논의에는 왜 통합하여야 하며, 그것의 효율적 운영올 위해 어떤 교육 행정적인, 교수 학습적인 노력이 있어야 하는지가 포함된다. 또한 과학교육 상황에서 통합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과제를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한 가지 적용사례로서 시각장애 학생의 광학 교육 실천을 소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천 원리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상 제안한 실천 원리에 대해서는 보다 다양한 과학 학습 상황에 대한 적용과 이에 대한 분석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 이 논문에서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 실천의 의미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의 원리와 구체적인 과학교육의 실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에는 왜 통합하여야 하며, 그것의 효율적 운영올 위해 어떤 교육 행정적인, 교수 학습적인 노력이 있어야 하는지가 포함된다.
  • 한다. 즉, 공통의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미시적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실 수준에서 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수업설계를 하며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공유하여 장애 학생이나 비장애 학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과학 수업이 되도록 하는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단 실천 원리 중 과학학습평가에 대한 부분은 실제 실천 사례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이라 여기에 포함하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교육부 (1999).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 II.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부 (200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국립특수교육원(2005).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과별 수업적용 방법 구안. 서울: 천세 

  4. 권택한 (2006). 특수교육에서의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초청강연, 제49차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37-46 

  5. 김병하 (2006).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현상과 과제, 장애 및 비장애학생의 통합 과학교육 실천을 위한 연구과제와 접근 모형, 2006 한국과학교육학회 특별학술세미나 자료집. 75-96 

  6. 김성애 (2002a). 통합교육. In: 김경숙, 김미숙, 김성애, 김수진, 박숙영, 백유순, 이성봉, 조광순, 조윤경, 최민숙, 허계형 (2002). 유아특수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129-160 

  7. 김성애 (2002b). Inclusion-Provocation for the 21st Century: Are we afraid of another"Trojanian Hores?" 토론원고.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두뇌한국21 특수교육 교육/연구단, 2002 국제학술대회 세미나 자료집 "탈산업사회와 특수교육". 151-155 

  8. 김성애 (2003).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비장애 아동 태도 변화 관련 프랑크 프루트 연구팀 이론 탐색. 정서행동장애 연구, 19(1), 29-52 

  9. 김성애 (2007). 21세기 유아교육의 과제에 따른 통합교육의 중요성과 역할.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추계전국학술대회 "유아교육과 보육의 협력과 발전방향" 자료집, 53-75 

  10. 김성애, 임성민(2006).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인식론적-인성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2006 International Seminar on Science Education for the Less Represented Students, 한국과학교육학회, 40-56 

  11. 김성애, 임성민(2006).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인식론적-인성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2006 International Seminar on Science Education for the Less Represented Students, 한국과학교육학회, 40-56 

  12. 대구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6)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과학잔치 특수과학교육 2(2)특수과학교육연구회 7-49 

  13. 박승재 (2006). 우리는 정말로 모든 사람을 위해 과학요육을 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 심포지움, 제49차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49-61 

  14. 박승희 (1999).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방안. 특수교육학연구, 34(2), 29-71 

  15. 송판섭, 한광래 (1995), 촛불 실험을 이용한 초등학교(3-6학년)아동들의 관찰능력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73-84 

  16. 신현기, 최세민, 유장순, 김희규 (2005).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박학사 

  17. 오유정 (2006).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장애 및 비장애학생의 통합 과학교육 실천을 위한 연구과제와 접근 모형, 2006 한국과학교육학회 특별학술세미나 자료집. 126-136 

  18. 임성민 (2005). 물리교육에서 신념 연구와 문화적 접근의 동향과 의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71-381 

  19. 임성민 (2007). 모든 이를 위한 과학교육과 소수자를 위한 과학교육, 경북과학, 2007. 32-40 

  20. 임성민, 이성은, 박승재(2006). 시각장애학생의 광학기초개념, 2006 가을한국물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 한국물리학회 

  21. 정동영 (2000).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과학교과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교육과정연구, 1 257-288 

  22. 조희형, 최경희 (2005).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3. 하미경 (2000). 특수교육에서의 과학과 교육 실태분석 연구. 서울상록과학학술재단 

  24. 文部省, ?蔡と實?の指譁. 東京:慶廣涌信株式會社, 1986 

  25.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in Science (2001). Atlas of Science Literacy.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6. Atwater, M. M. (1994). Research on cultural diversity in the classtoom, in: D. L. Gabe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vol II,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558-576 

  27. Black, P. (1998). Testing: Friend or Foe? Theor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Testing, The Falmer Press. London 

  28. Buber, M., translated by Kaufmann, Walter(1996). I and Thou, Touchstone, New York 

  29. Friend, M. & Cook. L. (1996). Interactions: Collaboration skills for school professionals (2nd ed.). White Plains, NY: Longman 

  30. Graden, J. L. & Bauer, A. M. (1992). Using a collaborative approach to support students and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 in: Stainback & Stainback, Curriculum Consideration in Inclusive Classroom, 85-100.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Baltimore 

  31. Keating, J. (1999). Supporting Children in Inclusive Programs, In: Tompson, B., Stroup, V., Cripe, J. W., Bates, J., Keating, J. (1999). Circle of Inclusion Manual. Circle of Inclusion Project, University of Kansas 

  32. Kim, S. A. (1996). Im Spannungsfeld derSonderpaedagogik und integrativer Paedagogik. Aachen: Meinz Verlag, Deutschland 

  33. Kodama, K. (2006). Develop Tools for Scienc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nets. In 장애 및 비장애 학생의 통합 과학교육 실천을 위한 연구과제와 접근 모형, 2006 한국과학교육학회 특별학술세미나 자료집. 57-64 

  34. Norwick, B. (2000). Inclusive in Education: From concepts, values, and critique to practice, In H. Daniels(Ed). Special Education Reformed: Beyond rhetoric? Falmer Press: London 

  35. Reiser, H., Klein, G., Kron, M.(1986). Intergration als Prozess. In: Sonderpaedagogik, Zeitschrift 37. Jg., 16. 115-160 

  36. Roy, R., Waks, L. J. (1985). The A, B, C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Forum, 8(4), College of Educ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37. Rutherfod, F. J., Ahlgren, A.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8. Sla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renrice Hall: Englewood Cliffes, NJ 

  39. Toriyama, Y. (2006) Scienc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a Visual Impairment. In 장애 및 비장애학생의 통합 과학교육 실천을 위한 연구과제와 접근 모형. 2006 한국과학교육학회 특별학술세미나 자료집. 7-20 

  40. 강경희, 이선경 (2004). 교육실습에서 교실수업에 대한 과학교육전공 학생들의 고려사항. 한국교원교육연구. 21(1), 105-131 

  41. 강숙희, 조석희, 장영숙(1999).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용 국어, 수학, 사회를 중심으로 수탁연구CR 99-2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2. 강호감, 김은주, 최선영(2005). 초등 과학영재 학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8, 107-118 

  43. 과학기술부 (2007). 2007년 업무 계획-과학기술중심의 선진한국 건설 

  44.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2007 과학기술 연구 개발 활동 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350000-000529-1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부 

  45.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46. 김경진, 권병두, 김찬종, 최승언 (2005).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14-525 

  47. 김언주 (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2001년도 한국영재학회 춘계학술세미나 자료 

  48. 김은주, 최선영, 강호감 (2004). 인천지역 초등 과학영재 학급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192-198 

  49. 김정휘 (2003). 영재학생 그들은 누구인가. 교육과학사: 서울 

  50. 나동진, 김진철, 전계영 (2003). 과학영재의 삼원지능 사고 양식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학연구, 41(4), 25-48 

  51. 류삼열 (1987). 과학영재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풍요화 교육과정 개발활용. 한구과학교육학회지, 7(2), 97-104 

  52.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53.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영재 학생의 사고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개념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98-307 

  54. 백성혜, 원정애 (2007).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조사. 교원교육, 23(2), 195-208 

  55.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56.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57. 심재영, 김언주 (2003). 과학영재 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1), 241-255 

  58.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59. 조석희 (1990). 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초등교육연구, 4, 55-69 

  60. ㅇㄹㄴㅇㄹ 

  61. 최선영 (2008). 초등과학 

  62. whtjsg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