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부터 시작된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상을 보며, 혁신학교가 기반으로 삼고 있는 교육철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혁신학교’란 교육주체 상호간의 자발적인 소통과 협력을 중시하는 학교교육문화의 변화를 지향하며 학습자의 배움과 인재 육성을 중시하는 공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일컫는다. 2009년 이후 혁신학교를 확산시키고자 노력하는 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초기의 혁신학교와 달리 운영 방법만 복제하는 식의 ‘무늬만 혁신학교’들이 양산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부터 시작된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상을 보며, 혁신학교가 기반으로 삼고 있는 교육철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혁신학교’란 교육주체 상호간의 자발적인 소통과 협력을 중시하는 학교교육문화의 변화를 지향하며 학습자의 배움과 인재 육성을 중시하는 공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일컫는다. 2009년 이후 혁신학교를 확산시키고자 노력하는 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초기의 혁신학교와 달리 운영 방법만 복제하는 식의 ‘무늬만 혁신학교’들이 양산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을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본질적 교육철학에 대한 성찰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 판단하고, 혁신학교의 철학이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는지, 그리하여 어떤 철학이 공유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서열과 평가 위주로 기능한다고 비판받는 공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안으로서 등장한 혁신학교는 밑에서부터 자발성을 가지고 추진한 학교 개혁운동이다. 혁신학교는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 경쟁, 획일화된 교육의 패러다임 속에서 가장 먼저 학습자가 소외되고 결국 교사가 소외되는 비정상적인 사회를 극복하려 하였으며 공공성, 민주성, 전문성, 창의성, 다양성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철학과 비전의 공유를 통해 교육주체들과의 실천적 철학 세우기나 전통적 교실 수업을 교육과정-수업-평가의 혁신으로 극복하려 하는 점, 소통과 참여의 민주적 학교 운영을 꾀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혁신학교의 노력들이 100여 년 전 Dewey의 사상과 매우 닮아있음에 주목하였다. Dewey는 방법과 교육내용이 분리되어 있다는 이원적 전제를 극복하고 지식이란 유기체와 환경 간에 쉼 없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라 하였다. 과정과 방법론적 철학을 탐구하면서 학습자의 흥미, 삶과 내용이 만나는 교과의 심리화와 진보적 조직이 교육자의 역할임을 천명하였다. 개인의 흥미를 중시하고 이것이 사회적 흥미와 연결되면서 교육의 사회적 기능인 창조적 민주주의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다. 이렇게 이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의 운영원리를 Dewey의 프래그머티즘과 연결하여 그 철학적 근본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먼저, 혁신학교에서는 기존 공교육의 서열이나 경쟁이 아닌 새로운 혁신교육에 대한 철학과 비전을 정의하며 실천적 철학 세우기라는 활동을 진행하는 데 이를 Dewey의 아동관과 교육관, 경험, 성장, 공공성과 연결한다.
다음으로, 혁신학교가 전통적 교실 수업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 방식의 혁신을 꾀하고 있는데 이를 Dewey의 흥미와 교과의 심리화와 연결 지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혁신의 가장 밑바탕이라 할 수 있는 민주적 학교 운영의 모습과 이를 통해 바뀌고 있는 학교 문화의 모습을 조명하고 Dewey의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민주주의 교육과 연결하여 시사점을 탐색한다.
결국 혁신학교는 Dewey의 프래그머티즘에서 그 이론적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보수와 진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라는 이원론적 편가르기를 지양하고 Dewey가 주장했듯 경험의 과정속에서 상장하여 균형과 조화를 이루게 되길, 그 속에서 교육이 사회를 진보시키고 개혁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부터 시작된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상을 보며, 혁신학교가 기반으로 삼고 있는 교육철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혁신학교’란 교육주체 상호간의 자발적인 소통과 협력을 중시하는 학교교육문화의 변화를 지향하며 학습자의 배움과 인재 육성을 중시하는 공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일컫는다. 2009년 이후 혁신학교를 확산시키고자 노력하는 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초기의 혁신학교와 달리 운영 방법만 복제하는 식의 ‘무늬만 혁신학교’들이 양산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을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본질적 교육철학에 대한 성찰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 판단하고, 혁신학교의 철학이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는지, 그리하여 어떤 철학이 공유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서열과 평가 위주로 기능한다고 비판받는 공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안으로서 등장한 혁신학교는 밑에서부터 자발성을 가지고 추진한 학교 개혁운동이다. 혁신학교는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 경쟁, 획일화된 교육의 패러다임 속에서 가장 먼저 학습자가 소외되고 결국 교사가 소외되는 비정상적인 사회를 극복하려 하였으며 공공성, 민주성, 전문성, 창의성, 다양성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철학과 비전의 공유를 통해 교육주체들과의 실천적 철학 세우기나 전통적 교실 수업을 교육과정-수업-평가의 혁신으로 극복하려 하는 점, 소통과 참여의 민주적 학교 운영을 꾀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혁신학교의 노력들이 100여 년 전 Dewey의 사상과 매우 닮아있음에 주목하였다. Dewey는 방법과 교육내용이 분리되어 있다는 이원적 전제를 극복하고 지식이란 유기체와 환경 간에 쉼 없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라 하였다. 과정과 방법론적 철학을 탐구하면서 학습자의 흥미, 삶과 내용이 만나는 교과의 심리화와 진보적 조직이 교육자의 역할임을 천명하였다. 개인의 흥미를 중시하고 이것이 사회적 흥미와 연결되면서 교육의 사회적 기능인 창조적 민주주의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다. 이렇게 이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의 운영원리를 Dewey의 프래그머티즘과 연결하여 그 철학적 근본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먼저, 혁신학교에서는 기존 공교육의 서열이나 경쟁이 아닌 새로운 혁신교육에 대한 철학과 비전을 정의하며 실천적 철학 세우기라는 활동을 진행하는 데 이를 Dewey의 아동관과 교육관, 경험, 성장, 공공성과 연결한다.
다음으로, 혁신학교가 전통적 교실 수업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 방식의 혁신을 꾀하고 있는데 이를 Dewey의 흥미와 교과의 심리화와 연결 지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혁신의 가장 밑바탕이라 할 수 있는 민주적 학교 운영의 모습과 이를 통해 바뀌고 있는 학교 문화의 모습을 조명하고 Dewey의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민주주의 교육과 연결하여 시사점을 탐색한다.
결국 혁신학교는 Dewey의 프래그머티즘에서 그 이론적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보수와 진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라는 이원론적 편가르기를 지양하고 Dewey가 주장했듯 경험의 과정속에서 상장하여 균형과 조화를 이루게 되길, 그 속에서 교육이 사회를 진보시키고 개혁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
#혁신학교 프래그머티즘 Dewey의 흥미 경험 교과의 심리화 민주주의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