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80년대에 삼풍백화점 붕괴, 90년대에 성수대교 붕괴 등 대형 사고를 겪으면서 응급의료체계가 발달하였다. 1978년에는 의료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실시하였고, 1979년에는 대한의학협회 주관으로 야간 구급 환자를 위한 신고 센터를 운영하였지만 인력과 장비의 부재로 효과가 미비하였다. 1994년에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동법 시행령 시행과 동시에 응급의학을 전문 과목으로 인정하였다. 1995년에는 전문대학에 1급 응급구 조사 양성을 위한 응급구조과 개설을 시작으로 이듬해 1급 응급구조사를 배 출하였으며 국민들의 의료 의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요구하는 응급의료서 ...
우리나라는 80년대에 삼풍백화점 붕괴, 90년대에 성수대교 붕괴 등 대형 사고를 겪으면서 응급의료체계가 발달하였다. 1978년에는 의료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실시하였고, 1979년에는 대한의학협회 주관으로 야간 구급 환자를 위한 신고 센터를 운영하였지만 인력과 장비의 부재로 효과가 미비하였다. 1994년에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동법 시행령 시행과 동시에 응급의학을 전문 과목으로 인정하였다. 1995년에는 전문대학에 1급 응급구 조사 양성을 위한 응급구조과 개설을 시작으로 이듬해 1급 응급구조사를 배 출하였으며 국민들의 의료 의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요구하는 응급의료서 비스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응급의료법 시행규칙 제33조(응급구조사 업무) 및 동법 시행규칙 별표 14(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에서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를 수행 가능한 행위들만 한정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응급의료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응급구 조사의 업무범위 외의 다른 업무범위는 무면허 의료행위가 된다. 응급구조 사 업무범위에 대하여 모든 응급의료행위에 대한 업무를 법률로 모두 나열 할 수는 없지만 제대로 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유관기관 과의 협력 및 응급의료법을 개정함으로써 응급의료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 장에서의 응급구조사가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80년대에 삼풍백화점 붕괴, 90년대에 성수대교 붕괴 등 대형 사고를 겪으면서 응급의료체계가 발달하였다. 1978년에는 의료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실시하였고, 1979년에는 대한의학협회 주관으로 야간 구급 환자를 위한 신고 센터를 운영하였지만 인력과 장비의 부재로 효과가 미비하였다. 1994년에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동법 시행령 시행과 동시에 응급의학을 전문 과목으로 인정하였다. 1995년에는 전문대학에 1급 응급구 조사 양성을 위한 응급구조과 개설을 시작으로 이듬해 1급 응급구조사를 배 출하였으며 국민들의 의료 의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요구하는 응급의료서 비스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응급의료법 시행규칙 제33조(응급구조사 업무) 및 동법 시행규칙 별표 14(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에서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를 수행 가능한 행위들만 한정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응급의료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응급구 조사의 업무범위 외의 다른 업무범위는 무면허 의료행위가 된다. 응급구조 사 업무범위에 대하여 모든 응급의료행위에 대한 업무를 법률로 모두 나열 할 수는 없지만 제대로 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유관기관 과의 협력 및 응급의료법을 개정함으로써 응급의료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 장에서의 응급구조사가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developed after large accidents such as the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in the 80s and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 in the 90s. Although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1978 and report center for nighttime emergency patients...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developed after large accidents such as the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in the 80s and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 in the 90s. Although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1978 and report center for nighttime emergency patients with Korea Medical Association in charge, the effect was meager due to lack of human resources and equipment. In 1994,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was established, and emergency medicine was acknowledged as a specialty subject with the enac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In 1995, emergency response department was established at junior colleges to nurture first-class first responders, and first-class emergency responders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the next year. With the increased medical awareness of the people, expectation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are increasing as well. However, Article 33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The Work of Emergency Paramedics) and Annex 14 of the same law (The Scope of Work of Emergency Paramedics) describes the scope of work for emergency paramedics in limited manner by describing only the acts that could be performed within the scop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s other than those included in the scop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the Emergency Medical Act would be labeled as unlicensed medical practice. Although all actions included in emergency medical care cannot be listed in relevant laws, cooper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and revis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are needed to improve problems in emergency medicine and for active utilization of emergency first responders in the field.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developed after large accidents such as the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in the 80s and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 in the 90s. Although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1978 and report center for nighttime emergency patients with Korea Medical Association in charge, the effect was meager due to lack of human resources and equipment. In 1994,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was established, and emergency medicine was acknowledged as a specialty subject with the enac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In 1995, emergency response department was established at junior colleges to nurture first-class first responders, and first-class emergency responders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the next year. With the increased medical awareness of the people, expectation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are increasing as well. However, Article 33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The Work of Emergency Paramedics) and Annex 14 of the same law (The Scope of Work of Emergency Paramedics) describes the scope of work for emergency paramedics in limited manner by describing only the acts that could be performed within the scop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s other than those included in the scop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the Emergency Medical Act would be labeled as unlicensed medical practice. Although all actions included in emergency medical care cannot be listed in relevant laws, cooper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and revis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are needed to improve problems in emergency medicine and for active utilization of emergency first responders in the fiel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