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둘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와 부모만족도는 어떠한가?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의 프로그램 내용 요구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예비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전문가의 ...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둘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와 부모만족도는 어떠한가?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의 프로그램 내용 요구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예비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과 예비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확인된 문제들을 수정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시작, 부모준비, 작업(부모훈련), 마무리 단계로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촉진, 일상생활 적응지원, 문제행동지도, 학교생활 적응지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프로그램은 연구자와 한 명의 부모가 참여하는 1:1개별교육으로 시연과 모델링 교육을 통해 부모가 직접 참여하여 아동을 지도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진행되었다.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6세~12세 발달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로 실험군과 비교군 각각 16명씩 총 32명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적응행동, 부모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각 회기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반복측정분석의 편차 방법을 활용하여 대비 효과를 검정하였다.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의 4가지 하위영역 중 신변자립을 제외한 사회성, 의사소통, 학교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부모들의 양육효능감 요인 중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좌절, 불안 극복을 위한 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서는 교육적 측면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스트레스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들은 교육프로그램 내용과 회기별 활동방법에 만족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요구도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자와 부모의 1:1교육 진행을 통한 직접적인 지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구성은 아동 양육을 위한 실제적인 정보와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부모가 아동의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둘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와 부모만족도는 어떠한가?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의 프로그램 내용 요구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예비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과 예비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확인된 문제들을 수정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시작, 부모준비, 작업(부모훈련), 마무리 단계로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촉진, 일상생활 적응지원, 문제행동지도, 학교생활 적응지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프로그램은 연구자와 한 명의 부모가 참여하는 1:1개별교육으로 시연과 모델링 교육을 통해 부모가 직접 참여하여 아동을 지도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진행되었다.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6세~12세 발달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로 실험군과 비교군 각각 16명씩 총 32명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적응행동, 부모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각 회기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반복측정분석의 편차 방법을 활용하여 대비 효과를 검정하였다.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의 4가지 하위영역 중 신변자립을 제외한 사회성, 의사소통, 학교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부모들의 양육효능감 요인 중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좌절, 불안 극복을 위한 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서는 교육적 측면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스트레스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들은 교육프로그램 내용과 회기별 활동방법에 만족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요구도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자와 부모의 1:1교육 진행을 통한 직접적인 지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구성은 아동 양육을 위한 실제적인 정보와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부모가 아동의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s const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s constructed? Second, how effective i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on parents in terms of influencing adaptational behavior of their children,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demand investigation of parents and later revised and finalized through experts' examination for content validity. The program was planned for development in four stages of introduction, preparation, parents' education, completion.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0 sessions including facilitation of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daptation support of everyday life, discipline of problem behavior and support of school life. The program of this study has been progressed through demonstration and modeling; The participating parents in this program learn through individual guide and practicing.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32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age of 6-12 years were selected for research subje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of 16 mothers received the newly developed program while the comparison group was not given any treatment. The data for adaptional behavior of childre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SPSS 21.0 for Windows was used for repeated measure of multivariate ANOVA. Also, the satisfaction of experimental group with this program was analyzed by the repeated measure of ANOVA using deviation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of this study influenced significantly adaptational behavior of the children in terms of sociality,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Second, The program of this study increased significantly parenting efficacy including the efficacy as parent and anxiety coping efficacy. Third, The program of this study reduced significantly educational stress of parents. Fourth, par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ere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in every session.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demand investigation of parents and has been progressed through personal instruction by this researcher to parents. It is notable that practical information and individual training provided through this program influenced adaptional behavior of the children and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posi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s constructed? Second, how effective i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on parents in terms of influencing adaptational behavior of their children,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demand investigation of parents and later revised and finalized through experts' examination for content validity. The program was planned for development in four stages of introduction, preparation, parents' education, completion.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0 sessions including facilitation of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daptation support of everyday life, discipline of problem behavior and support of school life. The program of this study has been progressed through demonstration and modeling; The participating parents in this program learn through individual guide and practicing.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32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age of 6-12 years were selected for research subje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of 16 mothers received the newly developed program while the comparison group was not given any treatment. The data for adaptional behavior of childre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SPSS 21.0 for Windows was used for repeated measure of multivariate ANOVA. Also, the satisfaction of experimental group with this program was analyzed by the repeated measure of ANOVA using deviation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of this study influenced significantly adaptational behavior of the children in terms of sociality,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Second, The program of this study increased significantly parenting efficacy including the efficacy as parent and anxiety coping efficacy. Third, The program of this study reduced significantly educational stress of parents. Fourth, par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ere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in every session.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demand investigation of parents and has been progressed through personal instruction by this researcher to parents. It is notable that practical information and individual training provided through this program influenced adaptional behavior of the children and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positive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