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를 기반으로 하여 치유의숲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소리, 경관, 소리 및 경관에 따른 선호도와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인 인식에 따른 이미지, 심리적 회복감의 차이를 비교하여 산림치유 인자로서 치유의숲의 소리와 경관의 관리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장소로 국립대관령치유의숲의 무장애데크로드에서 환풍기소리와 건축물이 보이는 곳, 소나무숲전경과 풀벌레소리가 들리는 곳, 물소리와 폭포가 보이는 곳, 활엽수림 전경과 매미소리가 들리는 곳, 탁 트인 전망과 함께 멀리서 물소리가 들리는 곳 등 5개의 조사 사이트를 선정하고 각 사이트에서 소리, 경관, 소리 및 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반복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 인지에 따른 의미론적 속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의미가 다른 12개의 형용사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 인지에 따른 이용객의 심리적 회복감을 비교하고자 기분상태검사(...
이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를 기반으로 하여 치유의숲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소리, 경관, 소리 및 경관에 따른 선호도와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인 인식에 따른 이미지, 심리적 회복감의 차이를 비교하여 산림치유 인자로서 치유의숲의 소리와 경관의 관리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장소로 국립대관령치유의숲의 무장애데크로드에서 환풍기소리와 건축물이 보이는 곳, 소나무숲전경과 풀벌레소리가 들리는 곳, 물소리와 폭포가 보이는 곳, 활엽수림 전경과 매미소리가 들리는 곳, 탁 트인 전망과 함께 멀리서 물소리가 들리는 곳 등 5개의 조사 사이트를 선정하고 각 사이트에서 소리, 경관, 소리 및 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반복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 인지에 따른 의미론적 속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의미가 다른 12개의 형용사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 인지에 따른 이용객의 심리적 회복감을 비교하고자 기분상태검사(POMS)를 실시하였다. 숲길에서 들리는 소리에 대하여 이용객은 물소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경관에 대해서는 탁 트인 전망이 있는 곳을 선호하였고 복합적 감각인 소리 및 경관에 대해서는 물소리가 들리며 폭포 또는 탁 트인 경관을 볼 수 있는 공간을 가장 선호하였다. 소리 및 경관에 대한 이미지조사 결과 물소리와 탁 트인 전망이 포함된 소리 및 경관이 이용자로 하여금 쾌적한 이미지를 강하게 느끼게 하였으며, 울창한 소나무림과 활엽수림은 편안하고 자연스러우며 느긋한 이미지를 느끼게 하였고, 인공적인 소리경관은 일상적인 이미지가 강한 반면, 자연스럽고 편안한 이미지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기분상태검사 결과 물소리가 들리면서 탁 트인 조망이 확보된 곳에서 긍정적인 기분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공적인 소리 및 경관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을 크게 느끼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리 및 경관의 선호도와 심리적 회복감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분상태검사 하위영역 중 활기와 종합감정장애점수에 대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전반적으로 물소리와 함께 폭포 경관, 탁 트인 전망에 대한 선호 및 쾌적한 이미지, 높은 심리적 회복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선호도가 긍정적인 기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를 기반으로 하여 치유의숲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소리, 경관, 소리 및 경관에 따른 선호도와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인 인식에 따른 이미지, 심리적 회복감의 차이를 비교하여 산림치유 인자로서 치유의숲의 소리와 경관의 관리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장소로 국립대관령치유의숲의 무장애데크로드에서 환풍기소리와 건축물이 보이는 곳, 소나무숲전경과 풀벌레소리가 들리는 곳, 물소리와 폭포가 보이는 곳, 활엽수림 전경과 매미소리가 들리는 곳, 탁 트인 전망과 함께 멀리서 물소리가 들리는 곳 등 5개의 조사 사이트를 선정하고 각 사이트에서 소리, 경관, 소리 및 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반복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 인지에 따른 의미론적 속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의미가 다른 12개의 형용사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소리 및 경관의 복합적 인지에 따른 이용객의 심리적 회복감을 비교하고자 기분상태검사(POMS)를 실시하였다. 숲길에서 들리는 소리에 대하여 이용객은 물소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경관에 대해서는 탁 트인 전망이 있는 곳을 선호하였고 복합적 감각인 소리 및 경관에 대해서는 물소리가 들리며 폭포 또는 탁 트인 경관을 볼 수 있는 공간을 가장 선호하였다. 소리 및 경관에 대한 이미지조사 결과 물소리와 탁 트인 전망이 포함된 소리 및 경관이 이용자로 하여금 쾌적한 이미지를 강하게 느끼게 하였으며, 울창한 소나무림과 활엽수림은 편안하고 자연스러우며 느긋한 이미지를 느끼게 하였고, 인공적인 소리경관은 일상적인 이미지가 강한 반면, 자연스럽고 편안한 이미지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기분상태검사 결과 물소리가 들리면서 탁 트인 조망이 확보된 곳에서 긍정적인 기분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공적인 소리 및 경관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을 크게 느끼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리 및 경관의 선호도와 심리적 회복감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분상태검사 하위영역 중 활기와 종합감정장애점수에 대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전반적으로 물소리와 함께 폭포 경관, 탁 트인 전망에 대한 선호 및 쾌적한 이미지, 높은 심리적 회복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선호도가 긍정적인 기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soundscapes. We compared the preferences of sounds and landscapes that exist in the healing forest,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semantic attribute and psychological recovery due to multiple perceptions of sounds and landscape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soundscapes. We compared the preferences of sounds and landscapes that exist in the healing forest,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semantic attribute and psychological recovery due to multiple perceptions of sounds and landscape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pose a management plan for the sound and landscape of the healing forest as a factor for forest healing. In the barrier-free, wooden walking path of the National Daegwallyeong Healing Forest, a survey site with five different conditions was selected. It was the sound of the ventilator sound and the scenery of the wooden structure, the sound of grassworm and the view of the pine forest, the sound of water and the view of the waterfall, the sound of cicadas and the broad-leaved forest, and the sound of water from a distance and the open view. The preferences for sound, landscape, and sound and landscape were repeatedly investigated in five site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12 adjectives with different meaning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semantic attributes by the sound and landscape, and a profile of mood states (POMS)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recovery of users by the sound and landscape. The users of Healing Forest preferred the sound of the water the most, and preferred a place with an open view for the landscape. For the sound and landscape, the most preferred was a space where you could hear the sound of water and see a waterfall or an open view. As a result of the semantic attribute study of the sound and landscape, the sound and landscape including the sound of water and the open view made users feel a pleasant image high, the dense pine forest and broad-leaved forest made the image feel comfortable, natural, and relaxed, and the artificial sound and landscape While the usual image is high, the natural and comfortable image is very low. As a result of the POMS tes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mood was felt the highest in the place where the open view was secured while the sound of water was heard, and the negative emotion was felt high in the artificial sound and landscap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ference of the sound and landscape and the feeling of psychological recovery, it was found that it had an effect on the vigor and the total moods disturbance score among the sub-domains of the mood state test.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ference for the waterfall landscape, the open view, and a pleasant image, along with the sound of the water, felt a high psychological recover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reference influenced the positive mood.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soundscapes. We compared the preferences of sounds and landscapes that exist in the healing forest,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semantic attribute and psychological recovery due to multiple perceptions of sounds and landscape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pose a management plan for the sound and landscape of the healing forest as a factor for forest healing. In the barrier-free, wooden walking path of the National Daegwallyeong Healing Forest, a survey site with five different conditions was selected. It was the sound of the ventilator sound and the scenery of the wooden structure, the sound of grassworm and the view of the pine forest, the sound of water and the view of the waterfall, the sound of cicadas and the broad-leaved forest, and the sound of water from a distance and the open view. The preferences for sound, landscape, and sound and landscape were repeatedly investigated in five site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12 adjectives with different meaning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semantic attributes by the sound and landscape, and a profile of mood states (POMS)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recovery of users by the sound and landscape. The users of Healing Forest preferred the sound of the water the most, and preferred a place with an open view for the landscape. For the sound and landscape, the most preferred was a space where you could hear the sound of water and see a waterfall or an open view. As a result of the semantic attribute study of the sound and landscape, the sound and landscape including the sound of water and the open view made users feel a pleasant image high, the dense pine forest and broad-leaved forest made the image feel comfortable, natural, and relaxed, and the artificial sound and landscape While the usual image is high, the natural and comfortable image is very low. As a result of the POMS tes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mood was felt the highest in the place where the open view was secured while the sound of water was heard, and the negative emotion was felt high in the artificial sound and landscap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ference of the sound and landscape and the feeling of psychological recovery, it was found that it had an effect on the vigor and the total moods disturbance score among the sub-domains of the mood state test.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ference for the waterfall landscape, the open view, and a pleasant image, along with the sound of the water, felt a high psychological recover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reference influenced the positive moo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