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질환은 암이며, 2021년에 암(C00-C97)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82,688명으로 전체 사망자(317,680명)의 26.0%가 암으로 사망하였다.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은 폐암(전체 암사망자의 22.9%인 18,902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간암(12.4%), 대장암(10.9%), 위암(8.8%), 췌장암(8.4%) 등의 순이었다. 암은 진단과 동시에 다양한 치료를 병행하게 되며, 완치에 대한 불안, 우울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최근 암환자들이 암 진단을 받고 항암요법,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의 치료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산림에서 다양한 치유 인자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받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암환자를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의 심리적, 생리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산림치유 선호도 조사를 2018년 10월부터 4개월간 144명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선호도 조사를 토대로 ...
국문요약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질환은 암이며, 2021년에 암(C00-C97)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82,688명으로 전체 사망자(317,680명)의 26.0%가 암으로 사망하였다.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은 폐암(전체 암사망자의 22.9%인 18,902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간암(12.4%), 대장암(10.9%), 위암(8.8%), 췌장암(8.4%) 등의 순이었다. 암은 진단과 동시에 다양한 치료를 병행하게 되며, 완치에 대한 불안, 우울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최근 암환자들이 암 진단을 받고 항암요법,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의 치료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산림에서 다양한 치유 인자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받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암환자를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의 심리적, 생리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산림치유 선호도 조사를 2018년 10월부터 4개월간 144명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선호도 조사를 토대로 ADDIE 모형의 5단계를 적용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기획 및 개발하였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2021년 7월∼8월 2개월 동안 경기도 잣향기푸른숲 홈페이지를 통해 실험군 10명과 통제군 10명으로 총 20명의 암환자를 모집하였다. 실험군은 동년 9월 30일에서 11월 18일까지 8회기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통제군은 1회기 사전과 8회기 사후에 심리검사 자기기입식 설문과 타액 생리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호도 조사 결과, 암환자들은 평일오전을 시간으로는 2시간을 계절로는 봄과 가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대 요법 중 운동요법으로는 숲길 걷기, 숲 체조, 웃음운동을 기후요법으로는 산림욕, 자연명상, 향기, 오침을 물요법으로는 음이온욕을 정신요법으로는 바디스캔, 림프마사지를 식물요법으로 경관감상을 식이요법으로 건강식과 차 마시기를 각각 선호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목적은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영역의 증진이었다. 심리적 효과분석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Perceived Stress Scale; PSS)는 통제군과 실험군 두 집단의 PSS가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하였다. 즉, 실험군과 통제군은 모두 PSS 전체 점수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가집단인 실험군은 PSS 전체 점수증가가 통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증가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 보다 PSS 대처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스트레스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부정적 지각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부정적 지각을 감소시키지 못했다. 삶의 질(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Prostate; FACT-P)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이 통제군 보다 FACT-P는 사회/가족 상태와 신체 상태, 정서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능상태는 실험군과 통제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울(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SDS를 유의미하게 차이를 낮추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기분상태(Profile of Mood States; POMS)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POMS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지만 POMS 전체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지 못하였다. POMS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우울-낙담, 활력-활동 외에 긴장-불안, 분노-적개심, 피로-무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기분상태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생리적 효과분석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코티졸(Cortisol)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염증수치(C-Reactive Protein; CRP)의 변화도 낮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연구 및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은 스트레스 반응에 따라 삶의 질 영향을 받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암진단을 받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생리적 변화로 고통받는 암환자들의 건강증진 활동으로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기초자료로 제공이 될 수 있길 바란다.
국문요약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질환은 암이며, 2021년에 암(C00-C97)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82,688명으로 전체 사망자(317,680명)의 26.0%가 암으로 사망하였다.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은 폐암(전체 암사망자의 22.9%인 18,902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간암(12.4%), 대장암(10.9%), 위암(8.8%), 췌장암(8.4%) 등의 순이었다. 암은 진단과 동시에 다양한 치료를 병행하게 되며, 완치에 대한 불안, 우울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최근 암환자들이 암 진단을 받고 항암요법,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의 치료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산림에서 다양한 치유 인자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받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암환자를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의 심리적, 생리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산림치유 선호도 조사를 2018년 10월부터 4개월간 144명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선호도 조사를 토대로 ADDIE 모형의 5단계를 적용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기획 및 개발하였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2021년 7월∼8월 2개월 동안 경기도 잣향기푸른숲 홈페이지를 통해 실험군 10명과 통제군 10명으로 총 20명의 암환자를 모집하였다. 실험군은 동년 9월 30일에서 11월 18일까지 8회기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통제군은 1회기 사전과 8회기 사후에 심리검사 자기기입식 설문과 타액 생리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호도 조사 결과, 암환자들은 평일오전을 시간으로는 2시간을 계절로는 봄과 가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대 요법 중 운동요법으로는 숲길 걷기, 숲 체조, 웃음운동을 기후요법으로는 산림욕, 자연명상, 향기, 오침을 물요법으로는 음이온욕을 정신요법으로는 바디스캔, 림프마사지를 식물요법으로 경관감상을 식이요법으로 건강식과 차 마시기를 각각 선호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목적은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영역의 증진이었다. 심리적 효과분석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Perceived Stress Scale; PSS)는 통제군과 실험군 두 집단의 PSS가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하였다. 즉, 실험군과 통제군은 모두 PSS 전체 점수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가집단인 실험군은 PSS 전체 점수증가가 통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증가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 보다 PSS 대처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스트레스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부정적 지각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부정적 지각을 감소시키지 못했다. 삶의 질(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Prostate; FACT-P)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이 통제군 보다 FACT-P는 사회/가족 상태와 신체 상태, 정서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능상태는 실험군과 통제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울(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SDS를 유의미하게 차이를 낮추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기분상태(Profile of Mood States; POMS)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POMS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지만 POMS 전체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지 못하였다. POMS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우울-낙담, 활력-활동 외에 긴장-불안, 분노-적개심, 피로-무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기분상태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생리적 효과분석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코티졸(Cortisol)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염증수치(C-Reactive Protein; CRP)의 변화도 낮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연구 및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은 스트레스 반응에 따라 삶의 질 영향을 받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암진단을 받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생리적 변화로 고통받는 암환자들의 건강증진 활동으로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기초자료로 제공이 될 수 있길 바란다.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South Korea is cancer, and in 2021, a total of 82,688 people died from cancer (C00-C97), accounting for 26.0% of all deaths (317,680 people).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with the highest mortality rate was lung cancer, which accounted for 22.9% of a...
Abstract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South Korea is cancer, and in 2021, a total of 82,688 people died from cancer (C00-C97), accounting for 26.0% of all deaths (317,680 people).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with the highest mortality rate was lung cancer, which accounted for 22.9% of all cancer deaths, or 18,902 people. This was followed by liver cancer (12.4%), colorectal cancer (10.9%), stomach cancer (8.8%), and pancreatic cancer (8.4%), among others. Cancer patients undergo various treatments simultaneously with their diagnosis, and they often experience stress due to anxiety and depression related to the uncertainty of recovery. Recently,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in forests to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cancer patients by utilizing various healing factors during thei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chemotherapy, surgical therapy, and medication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orest healing program and validate it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through a preference survey on forest healing programs targeting cancer patients. The preference survey for forest healing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8 to four months, involving 144 cancer patients as participants. Based on the preference survey,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planned and developed using the five stages of the ADDIE model. To execute the developed forest healing program, a total of 20 cancer patients, consisting of 1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July to August 2021 through the Jathyanggi Pureunsoop website in Gyeonggi 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eight sessions from September 30th to November 18th of the same yea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nderwent psychological self-report surveys and salivary physiological tests at pretest (Session 1) and posttest (Session 8),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preferenc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cancer patients prefer weekday mornings, a duration of 2 hours, and the seasons of spring and autumn. Among the 6 therapies, they preferred exercise therapies such as walking in the forest, forest gymnastics, and laughter exercises. For climate therapy, they preferred forest bathing, nature meditation, aromatherapy, and listening to natural sounds. For hydrotherapy, they preferred negative ion baths. For mental therapy, they preferred body scans and lymphatic massages. For plant therapy, they preferred landscape appreciation. For dietary therapy, they preferred healthy eating and drinking tea. The psychological effects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perceived stress (Perceived Stress Scale; PSS) increased for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from pre-test to post-test. However, the increase in overall PSS sco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had a lower increase in perceived stress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tress cop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program did not effectively reduce stres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perception, but it did not decrease. Profile of Mood States(POM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overall positive change in the overall POMS score. When examining the subdomains of POM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epression-dejection and vigor-activity, as well as tension-anxiety, anger-hostility, and fatigue-inertia.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effec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tisol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C-Reactive Protein(CRP) levels, indicating a lower change in CRP leve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ducting research on forest therapy for cancer patients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herapy programs can have an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stress responses. During the process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cancer patients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that result in distress. It is hoped that forest therapy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for cancer patients can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promoting their health and well-being.
Abstract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South Korea is cancer, and in 2021, a total of 82,688 people died from cancer (C00-C97), accounting for 26.0% of all deaths (317,680 people).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with the highest mortality rate was lung cancer, which accounted for 22.9% of all cancer deaths, or 18,902 people. This was followed by liver cancer (12.4%), colorectal cancer (10.9%), stomach cancer (8.8%), and pancreatic cancer (8.4%), among others. Cancer patients undergo various treatments simultaneously with their diagnosis, and they often experience stress due to anxiety and depression related to the uncertainty of recovery. Recently,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in forests to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cancer patients by utilizing various healing factors during thei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chemotherapy, surgical therapy, and medication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orest healing program and validate it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through a preference survey on forest healing programs targeting cancer patients. The preference survey for forest healing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8 to four months, involving 144 cancer patients as participants. Based on the preference survey,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planned and developed using the five stages of the ADDIE model. To execute the developed forest healing program, a total of 20 cancer patients, consisting of 1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July to August 2021 through the Jathyanggi Pureunsoop website in Gyeonggi 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eight sessions from September 30th to November 18th of the same yea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nderwent psychological self-report surveys and salivary physiological tests at pretest (Session 1) and posttest (Session 8),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preferenc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cancer patients prefer weekday mornings, a duration of 2 hours, and the seasons of spring and autumn. Among the 6 therapies, they preferred exercise therapies such as walking in the forest, forest gymnastics, and laughter exercises. For climate therapy, they preferred forest bathing, nature meditation, aromatherapy, and listening to natural sounds. For hydrotherapy, they preferred negative ion baths. For mental therapy, they preferred body scans and lymphatic massages. For plant therapy, they preferred landscape appreciation. For dietary therapy, they preferred healthy eating and drinking tea. The psychological effects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perceived stress (Perceived Stress Scale; PSS) increased for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from pre-test to post-test. However, the increase in overall PSS sco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had a lower increase in perceived stress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tress cop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program did not effectively reduce stres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perception, but it did not decrease. Profile of Mood States(POM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overall positive change in the overall POMS score. When examining the subdomains of POM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epression-dejection and vigor-activity, as well as tension-anxiety, anger-hostility, and fatigue-inertia.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effec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tisol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C-Reactive Protein(CRP) levels, indicating a lower change in CRP leve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ducting research on forest therapy for cancer patients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herapy programs can have an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stress responses. During the process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cancer patients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that result in distress. It is hoped that forest therapy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for cancer patients can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promoting their health and well-being.
Keyword
#코티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 생리?심리적 효과, 지각된 스트레스(PSS), 삶의 질(FACT-P), 기분상태(POMS), Cortisol, C-Reactive Protein(CRP), Forest therapy program, preference survey,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Prostate (FACT-P), Physiological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미미
학위수여기관
충북대학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산림치유학협동과정 산림치유학전공
지도교수
박봉주
발행연도
2023
총페이지
xvii, 167 p.
키워드
코티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 생리?심리적 효과, 지각된 스트레스(PSS), 삶의 질(FACT-P), 기분상태(POMS), Cortisol, C-Reactive Protein(CRP), Forest therapy program, preference survey,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Prostate (FACT-P), Physiologica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