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대학생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 난이도, 교육 이해도, 팀원 친근성과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ask Difficulty, Education Understanding, Team Member Friendliness,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s Conflict Affecting Team Performance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원문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 교육 이해도,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과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으로 대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 교육 이해도, 과업갈등, 관계갈등 및 팀 성과 간 구조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둘째, 과제 난이도가 높아지면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높아진다. 셋째, 교육 이해도가 높아지면 과업갈등과 팀 성과가 높아진다. 넷째, 팀원 친근성이 높아지면 과업갈등이 낮아지고 팀 성과는 높아진다. 다섯째,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이 높아지면 팀 성과는 낮아진다. 여섯째,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업갈등은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과 팀 성과 간 경로를 매개하여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과제를 제시하기 전 쉬운 과제에서부터 어려운 과제 순서로 제시하거나 팀 구성원과 협업이 가능한 과제를 제시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으며 과제 난이도를 조절하여 과업갈등을 낮출 수 있는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 교육 이해도,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과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으로 대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 교육 이해도, 과업갈등, 관계갈등 및 팀 성과 간 구조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둘째, 과제 난이도가 높아지면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높아진다. 셋째, 교육 이해도가 높아지면 과업갈등과 팀 성과가 높아진다. 넷째, 팀원 친근성이 높아지면 과업갈등이 낮아지고 팀 성과는 높아진다. 다섯째,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이 높아지면 팀 성과는 낮아진다. 여섯째,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업갈등은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과 팀 성과 간 경로를 매개하여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과제를 제시하기 전 쉬운 과제에서부터 어려운 과제 순서로 제시하거나 팀 구성원과 협업이 가능한 과제를 제시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으며 과제 난이도를 조절하여 과업갈등을 낮출 수 있는 교수 설계 전략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학습자들의 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이해중심교육과정 3단계 전략을 활용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교육 이해수준과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설계 방안을 마련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구성된 팀원들 간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프렌드십 수준(Friendshup Level)을 기반으로 구성원들 간의 접촉기회, 커뮤니케이션 기회를 늘려 상호간 관계의 질을 높이고 친분을 쌓을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설계방안과 팀 구성에 대한 교수자의 깊은 관심 필요하다. 넷째, 팀 구성원들과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이 발생되지 않고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설계 방안이 필요한 점을 시사한다. 다섯째, 과제 난이도를 조절하고 교육 이해수준과 팀원 친근성을 높여 과업갈등이 발생하여 학습동기 저하 및 협동학습을 포기하지 않도록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교수설계 전략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 교육 이해도,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과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으로 대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 교육 이해도, 과업갈등, 관계갈등 및 팀 성과 간 구조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둘째, 과제 난이도가 높아지면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높아진다. 셋째, 교육 이해도가 높아지면 과업갈등과 팀 성과가 높아진다. 넷째, 팀원 친근성이 높아지면 과업갈등이 낮아지고 팀 성과는 높아진다. 다섯째,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이 높아지면 팀 성과는 낮아진다. 여섯째,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업갈등은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과 팀 성과 간 경로를 매개하여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과제를 제시하기 전 쉬운 과제에서부터 어려운 과제 순서로 제시하거나 팀 구성원과 협업이 가능한 과제를 제시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으며 과제 난이도를 조절하여 과업갈등을 낮출 수 있는 교수 설계 전략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학습자들의 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이해중심교육과정 3단계 전략을 활용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교육 이해수준과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설계 방안을 마련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구성된 팀원들 간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프렌드십 수준(Friendshup Level)을 기반으로 구성원들 간의 접촉기회, 커뮤니케이션 기회를 늘려 상호간 관계의 질을 높이고 친분을 쌓을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설계방안과 팀 구성에 대한 교수자의 깊은 관심 필요하다. 넷째, 팀 구성원들과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이 발생되지 않고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설계 방안이 필요한 점을 시사한다. 다섯째, 과제 난이도를 조절하고 교육 이해수준과 팀원 친근성을 높여 과업갈등이 발생하여 학습동기 저하 및 협동학습을 포기하지 않도록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교수설계 전략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ask difficulty, team member friendliness, educational understanding,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in the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The study resul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ask difficulty, team member friendliness, educational understanding,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in the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The study resul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ask difficulty, team member friendliness, educational understanding,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in the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ask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by mediating the through between task difficulty, team member friendliness,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m performance are as follows. In a team-base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derive a method for improving team performance an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by adjusting the task difficulty and increas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friendliness of the team members so as not to lower the learning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ask difficulty, team member friendliness, educational understanding,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in the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The study resul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ask difficulty, team member friendliness, educational understanding,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in the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ask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by mediating the through between task difficulty, team member friendliness,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m performance are as follows. In a team-base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derive a method for improving team performance an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by adjusting the task difficulty and increas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friendliness of the team members so as not to lower the learning motiv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