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장르인 교육 낭독극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시각이 중심이 되는 시대에 낭독극은 이를 배제하고 청각에 집중한 공연이다.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은 낭독극에 교육적인 목적을 더하여 극을 새로운 형태로 만들어내었다. 독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의 목적에 부합하여 이와 접목한 공연을 시도한 것이다. 일반적인 극은 연극이나 뮤지컬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시각적 효과가 중요하다. 그러나 감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낭독극은 청각에 집중하여 듣고 상상하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한 도서관 한 책 읽...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장르인 교육 낭독극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시각이 중심이 되는 시대에 낭독극은 이를 배제하고 청각에 집중한 공연이다.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은 낭독극에 교육적인 목적을 더하여 극을 새로운 형태로 만들어내었다. 독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의 목적에 부합하여 이와 접목한 공연을 시도한 것이다. 일반적인 극은 연극이나 뮤지컬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시각적 효과가 중요하다. 그러나 감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낭독극은 청각에 집중하여 듣고 상상하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사업은 이러한 교육 낭독극을 통해 학생들에게 책에 대한 관심을 고양시키고 상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 연극으로서의 낭독극을 살펴보고 어떻게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사업의 일환으로 낭독극이 만들어지는지,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의 극본 <바람을 가르다>를 통해 대본화 과정과 낭독과정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은 이 사업을 통해 금천구 내의 초등학교를 방문하여 찾아가는 낭독극을 시작으로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교육 낭독극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 중 금천문화재단과 연계된 공공사업에 한정하여 좀 더 세밀히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제 금천구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교육 낭독극을 공연하며, 교육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낭독공연을 관람한 학생들은 책에 대한 관심 및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감성교육, 관람 태도에 대한 교육 및 직업군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입시 교육과 주입식 교육이 팽배한 현재의 교육 현장에서 교육 낭독극은 학생들에게 지식 전달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접근을 통한 교육을 실현한다. 단순한 낭독이 아닌 여러 명의 성우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평면적인 문학작품을 생동감 있게 만들어 준다. 청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교육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을 가르다의 교육 낭독극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개선 측면의 감성적 면을 더하여 단순한 지식 전달의 차원을 넘길 수 있었다.
이러한 사업의 발전 과정, 교육 낭독극이라는 새로운 장르 개척 과정, 교육 낭독극의 확장성과 한계를 분석하여, 향후 교육 낭독극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장르인 교육 낭독극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시각이 중심이 되는 시대에 낭독극은 이를 배제하고 청각에 집중한 공연이다.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은 낭독극에 교육적인 목적을 더하여 극을 새로운 형태로 만들어내었다. 독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의 목적에 부합하여 이와 접목한 공연을 시도한 것이다. 일반적인 극은 연극이나 뮤지컬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시각적 효과가 중요하다. 그러나 감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낭독극은 청각에 집중하여 듣고 상상하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사업은 이러한 교육 낭독극을 통해 학생들에게 책에 대한 관심을 고양시키고 상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 연극으로서의 낭독극을 살펴보고 어떻게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사업의 일환으로 낭독극이 만들어지는지,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의 극본 <바람을 가르다>를 통해 대본화 과정과 낭독과정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은 이 사업을 통해 금천구 내의 초등학교를 방문하여 찾아가는 낭독극을 시작으로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교육 낭독극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 중 금천문화재단과 연계된 공공사업에 한정하여 좀 더 세밀히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제 금천구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교육 낭독극을 공연하며, 교육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낭독공연을 관람한 학생들은 책에 대한 관심 및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감성교육, 관람 태도에 대한 교육 및 직업군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입시 교육과 주입식 교육이 팽배한 현재의 교육 현장에서 교육 낭독극은 학생들에게 지식 전달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접근을 통한 교육을 실현한다. 단순한 낭독이 아닌 여러 명의 성우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평면적인 문학작품을 생동감 있게 만들어 준다. 청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교육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을 가르다의 교육 낭독극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개선 측면의 감성적 면을 더하여 단순한 지식 전달의 차원을 넘길 수 있었다.
이러한 사업의 발전 과정, 교육 낭독극이라는 새로운 장르 개척 과정, 교육 낭독극의 확장성과 한계를 분석하여, 향후 교육 낭독극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 new genre, Educational Reading Play, i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se days most performances are visually oriented, a reading play is an auditory performance without visual aspect.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created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by incorpor...
A new genre, Educational Reading Play, i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se days most performances are visually oriented, a reading play is an auditory performance without visual aspect.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created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by incorporating educational purposes into the reading play. Since it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public institutions to invigorating reading ability of students, the company attempted a performance that combines this goal.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pursues the purpose of emotional education, and provides a new experience of listening and imagining by focusing on auditory effect.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plays or musicals that emphasize visual effects. As a part of ‘Reading One Book in One Library’ project,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can raise the interest among students toward books and expand their imagination. This study examines reading plays as educational plays and analyzes thoroughly the process of making a script and the reading process by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by means of the book, as part of
the project.
Through this project, ‘The Readers’ has conducted educational reading play: we have visited several elementary schools in Geumcheon-gu, and starting with this, we have carried out in various regions across the count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ublic project linked to the Geumcheon Cultural Art
Certer, in order to execute more thorough examination. As a part of this project,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visited elementary schools within Geuncheon-gu to perform reading plays.
Although ‘The Readers’ moves across the nation to provide performance in various regions, the study has limited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to those linked with Geum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o as to scrutinize closely. Based on the empirical experience of performing various educational reading plays in Geumcheon-gu, meaningful results could be drawn from an educational aspect.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who watched the reading plays became more interested in books, and their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lso increased. This performance was able to serve as an momentum to indirectly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n emotions, audience attitude and relevant occupational groups.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can give shape to the education on emotions rather than mere knowledge delivery. This could be critical in Korea education which mainly focuses on the education for the entrance exams and cramming education. This is not just a reading but the story conducted by various voice actors, which makes one-dimensional works of literatures multi-dimensional, so as to realize educational goals by stimulating emotions of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of could be a good example of this aspec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in the future, by means of analys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is project, the process of pioneering a new genre and the expandability and limitations of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A new genre, Educational Reading Play, i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se days most performances are visually oriented, a reading play is an auditory performance without visual aspect.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created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by incorporating educational purposes into the reading play. Since it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public institutions to invigorating reading ability of students, the company attempted a performance that combines this goal.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pursues the purpose of emotional education, and provides a new experience of listening and imagining by focusing on auditory effect.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plays or musicals that emphasize visual effects. As a part of ‘Reading One Book in One Library’ project,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can raise the interest among students toward books and expand their imagination. This study examines reading plays as educational plays and analyzes thoroughly the process of making a script and the reading process by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by means of the book, as part of
the project.
Through this project, ‘The Readers’ has conducted educational reading play: we have visited several elementary schools in Geumcheon-gu, and starting with this, we have carried out in various regions across the count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ublic project linked to the Geumcheon Cultural Art
Certer, in order to execute more thorough examination. As a part of this project,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visited elementary schools within Geuncheon-gu to perform reading plays.
Although ‘The Readers’ moves across the nation to provide performance in various regions, the study has limited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to those linked with Geum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o as to scrutinize closely. Based on the empirical experience of performing various educational reading plays in Geumcheon-gu, meaningful results could be drawn from an educational aspect.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who watched the reading plays became more interested in books, and their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lso increased. This performance was able to serve as an momentum to indirectly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n emotions, audience attitude and relevant occupational groups.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can give shape to the education on emotions rather than mere knowledge delivery. This could be critical in Korea education which mainly focuses on the education for the entrance exams and cramming education. This is not just a reading but the story conducted by various voice actors, which makes one-dimensional works of literatures multi-dimensional, so as to realize educational goals by stimulating emotions of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of could be a good example of this aspec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in the future, by means of analys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is project, the process of pioneering a new genre and the expandability and limitations of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