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가야금, 거문고를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가야금과 거문고가 현을 뜯는 동시에 바로 소리가 나는 ‘발현악기’로 다른 관악기에 비해 학생들이 배우기에 편리한 악기라고 보았으며 가창과 동시에 악기로 시김새를 나타낼 수 있어서 국악을 친숙하게 교육하기에 유용하다고 보았다. 또 명주실 소리는 학생들이 바른 인격을 형성하게 하고 품행을 단정하게 하여 선비들의 풍류 정신과 음악적 소양을 기른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5개정...
본 연구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가야금, 거문고를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가야금과 거문고가 현을 뜯는 동시에 바로 소리가 나는 ‘발현악기’로 다른 관악기에 비해 학생들이 배우기에 편리한 악기라고 보았으며 가창과 동시에 악기로 시김새를 나타낼 수 있어서 국악을 친숙하게 교육하기에 유용하다고 보았다. 또 명주실 소리는 학생들이 바른 인격을 형성하게 하고 품행을 단정하게 하여 선비들의 풍류 정신과 음악적 소양을 기른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가야금과 거문고의 역사를 고찰하고, 종류를 설명하며 구조와 명칭, 연주 자세 및 연주법을 제시하였다. 지도안은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으며 지도 방안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조가야금의 구조와 연주법을 익혀 진도아리랑 연주하기’는 ‘표현’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가야금의 구조와 역할을 학습하고 연주 자세를 익히며 조율법을 이해하고 바른 주법으로 ‘진도아리랑’을 연주하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가야금산조를 조사하고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 감상하기’는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가야금산조의 유파에 대해 조사 및 발표하여 음악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산조를 감상할 때 구음을 불러 시김새를 표현하거나 양손을 활용하여 장단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셋째, ‘25현가야금 중주 파헬벨의 캐논을 감상하고 비평하기’는 앞의 수업과 마찬가지로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25현가야금에 대해 조사 및 발표를 하고, 다양한 주법들을 이해하며 크로스오버 국악에 대해 학습하고, 25현가야금으로 연주하는 파헬벨의 캐논을 다양한 버전으로 감상 및 비평하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거문고의 구조와 특징을 알아보고 대점·중점·소점 연습하기’는 ‘표현’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거문고의 구조와 부분적인 역할들을 학습하고, 조현법을 이해하며 무릎장단에 맞춰 연습곡의 구음을 불러보고, 대점·중점·소점의 연주법을 교사의 시연에 따라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거문고의 문현, 유현, 대현 4괘 연주법을 익혀 새야 새야 연주하기’는 ‘표현’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교사가 각 주법을 시연하고, 학생들이 손 모양, 힘 조절 등을 유의하여 따라 연주하도록 하며 다양한 술대법, 구음 등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여섯째, 거문고의 영산회상 상령산 연주를 감상하고, 곡 해석하기‘는 ’감상‘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학생들이 상령산의 악곡에서 볼 수 있는 거문고의 역할을 이해하며 ’청‘의 기능을 알아보고, 구음을 부르며 곡의 호흡과 마음의 여유로움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감상문을 써서 학생들이 느낀 점을 정리해보는 시간도 갖게 하였다.
궁중음악에서 민속악까지 널리 사용되었던 가야금과 거문고는 삼현삼죽의 삼현에 속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있다. 명주실로 만들어진 현악기가 주는 우리 전통의 수양 정신과 바른 품격 등을 교육적 가치로 여기고 학생들이 우리 음악의 멋을 알게 한다면 더욱 값진 수업이 이루어질 것이라 본다. 본 연구가 가야금과 거문고를 지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실제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국악을 친근하고 쉽게 배워나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가야금, 거문고를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가야금과 거문고가 현을 뜯는 동시에 바로 소리가 나는 ‘발현악기’로 다른 관악기에 비해 학생들이 배우기에 편리한 악기라고 보았으며 가창과 동시에 악기로 시김새를 나타낼 수 있어서 국악을 친숙하게 교육하기에 유용하다고 보았다. 또 명주실 소리는 학생들이 바른 인격을 형성하게 하고 품행을 단정하게 하여 선비들의 풍류 정신과 음악적 소양을 기른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가야금과 거문고의 역사를 고찰하고, 종류를 설명하며 구조와 명칭, 연주 자세 및 연주법을 제시하였다. 지도안은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으며 지도 방안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조가야금의 구조와 연주법을 익혀 진도아리랑 연주하기’는 ‘표현’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가야금의 구조와 역할을 학습하고 연주 자세를 익히며 조율법을 이해하고 바른 주법으로 ‘진도아리랑’을 연주하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가야금산조를 조사하고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 감상하기’는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가야금산조의 유파에 대해 조사 및 발표하여 음악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산조를 감상할 때 구음을 불러 시김새를 표현하거나 양손을 활용하여 장단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셋째, ‘25현가야금 중주 파헬벨의 캐논을 감상하고 비평하기’는 앞의 수업과 마찬가지로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25현가야금에 대해 조사 및 발표를 하고, 다양한 주법들을 이해하며 크로스오버 국악에 대해 학습하고, 25현가야금으로 연주하는 파헬벨의 캐논을 다양한 버전으로 감상 및 비평하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거문고의 구조와 특징을 알아보고 대점·중점·소점 연습하기’는 ‘표현’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거문고의 구조와 부분적인 역할들을 학습하고, 조현법을 이해하며 무릎장단에 맞춰 연습곡의 구음을 불러보고, 대점·중점·소점의 연주법을 교사의 시연에 따라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거문고의 문현, 유현, 대현 4괘 연주법을 익혀 새야 새야 연주하기’는 ‘표현’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교사가 각 주법을 시연하고, 학생들이 손 모양, 힘 조절 등을 유의하여 따라 연주하도록 하며 다양한 술대법, 구음 등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여섯째, 거문고의 영산회상 상령산 연주를 감상하고, 곡 해석하기‘는 ’감상‘ 영역을 바탕으로 한 수업으로 학생들이 상령산의 악곡에서 볼 수 있는 거문고의 역할을 이해하며 ’청‘의 기능을 알아보고, 구음을 부르며 곡의 호흡과 마음의 여유로움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감상문을 써서 학생들이 느낀 점을 정리해보는 시간도 갖게 하였다.
궁중음악에서 민속악까지 널리 사용되었던 가야금과 거문고는 삼현삼죽의 삼현에 속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있다. 명주실로 만들어진 현악기가 주는 우리 전통의 수양 정신과 바른 품격 등을 교육적 가치로 여기고 학생들이 우리 음악의 멋을 알게 한다면 더욱 값진 수업이 이루어질 것이라 본다. 본 연구가 가야금과 거문고를 지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실제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국악을 친근하고 쉽게 배워나가기를 기대한다.
Keyword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국악교육 가야금 거문고 지도방안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