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영아의 식습관 향상을 위해 영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식습관 활동을 통해 식사 전·후, 식사 시 올바른 식습관에 대해 알고 다양한 식재료를 탐색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어머니의 식사지도는 식습관과 모델링, 대화법 부모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대화법을 사용하고, 영양 지식 전달과 모델링을 통해 어머니의 식사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으로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위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예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식사 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식사행동 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 경제적 배경이 유사한 S 어린이집 만 2세 2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G 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28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사지도 향상을 위해 8주 동안 총 16차시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하였다. 영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음률, 미술, 식재료 탐색, 역할, 요리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어머니의 식사지도를 위한 식습관과 모델링, 대화법에 대한 부모교육을 제공하였다. 비교집단은 8주간의 영아의 식습관 변화를 보기 위해 가정연계 없이 표준보육 과정에 근거한 급·간식 지도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식습관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연주(2014)의 설문지를 토대로 김근환(2019)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로 식습관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 식사지도 측정하기 위해 손현숙(2009)의 설문지를 토대로 김혜현(2011)이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검사 도구를 토대로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인 영아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의 적용 효과는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과 ...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영아의 식습관 향상을 위해 영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식습관 활동을 통해 식사 전·후, 식사 시 올바른 식습관에 대해 알고 다양한 식재료를 탐색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어머니의 식사지도는 식습관과 모델링, 대화법 부모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대화법을 사용하고, 영양 지식 전달과 모델링을 통해 어머니의 식사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으로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위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예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식사 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식사행동 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 경제적 배경이 유사한 S 어린이집 만 2세 2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G 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28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사지도 향상을 위해 8주 동안 총 16차시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하였다. 영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음률, 미술, 식재료 탐색, 역할, 요리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어머니의 식사지도를 위한 식습관과 모델링, 대화법에 대한 부모교육을 제공하였다. 비교집단은 8주간의 영아의 식습관 변화를 보기 위해 가정연계 없이 표준보육 과정에 근거한 급·간식 지도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식습관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연주(2014)의 설문지를 토대로 김근환(2019)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로 식습관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 식사지도 측정하기 위해 손현숙(2009)의 설문지를 토대로 김혜현(2011)이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검사 도구를 토대로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인 영아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의 적용 효과는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𝑡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영아의 식습관 향상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영아의 식습관 향상을 위해 식습관에 관련된 그림책과 식사 위생, 식사 예절, 식사 행동과 관련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하였다. 영아는 식습관 활동을 하면서 식사 전·후, 식사 시 올바른 식습관 대해 알고 다양한 식재료를 탐색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아는 식습관 하위요인인 식사 위생, 식사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와 같은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습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어머니 식사지도 향상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식사지도 향상을 위해 식습관과 모델링, 대화법에 대한 부모교육을 제공하였다. 어머니는 영아와 가정연계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모델링과 대화법을 통해 식사지도가 이루어졌다. 영아의 말과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대화법으로 식사지도가 이루어졌으며, 영아의 식습관 향상을 위해 영양 지식을 전달하고 모델링을 통해 식사지도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어머니 식사지도 하위요인인 식사행동 지도와 영양지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식사지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영아의 식습관 향상을 위해 영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식습관 활동을 통해 식사 전·후, 식사 시 올바른 식습관에 대해 알고 다양한 식재료를 탐색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어머니의 식사지도는 식습관과 모델링, 대화법 부모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대화법을 사용하고, 영양 지식 전달과 모델링을 통해 어머니의 식사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으로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위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예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식사 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식사행동 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 경제적 배경이 유사한 S 어린이집 만 2세 2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G 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28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사지도 향상을 위해 8주 동안 총 16차시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하였다. 영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음률, 미술, 식재료 탐색, 역할, 요리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어머니의 식사지도를 위한 식습관과 모델링, 대화법에 대한 부모교육을 제공하였다. 비교집단은 8주간의 영아의 식습관 변화를 보기 위해 가정연계 없이 표준보육 과정에 근거한 급·간식 지도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식습관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연주(2014)의 설문지를 토대로 김근환(2019)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로 식습관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 식사지도 측정하기 위해 손현숙(2009)의 설문지를 토대로 김혜현(2011)이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검사 도구를 토대로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인 영아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의 적용 효과는 영아의 식습관과 어머니 식사지도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𝑡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영아의 식습관 향상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영아의 식습관 향상을 위해 식습관에 관련된 그림책과 식사 위생, 식사 예절, 식사 행동과 관련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하였다. 영아는 식습관 활동을 하면서 식사 전·후, 식사 시 올바른 식습관 대해 알고 다양한 식재료를 탐색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아는 식습관 하위요인인 식사 위생, 식사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와 같은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영아의 식습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을 제공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어머니 식사지도 향상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식사지도 향상을 위해 식습관과 모델링, 대화법에 대한 부모교육을 제공하였다. 어머니는 영아와 가정연계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모델링과 대화법을 통해 식사지도가 이루어졌다. 영아의 말과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대화법으로 식사지도가 이루어졌으며, 영아의 식습관 향상을 위해 영양 지식을 전달하고 모델링을 통해 식사지도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어머니 식사지도 하위요인인 식사행동 지도와 영양지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식습관 활동이 어머니의 식사지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searching for the effect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the “dining habits of young children and parental dinn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in infant dining habit, infa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ttributes we...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searching for the effect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the “dining habits of young children and parental dinn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in infant dining habit, infa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ttributes were carefully considered to set forth dining activities which would allow young children to search for diverse ingredients and perceive knowledge of proper dining behavior. Mother’s dining guidance would be focused on pursing positive conversation method utilized in the form of dining behavior and modeling, along with the education of how parents should speak to their children. The conveyance of nutrition knowledge and modeling would also allow for the goal of mother’s dining guidance to be successfully achieved. Through the fore-mentioned procedure, we attempt to enhance “din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and parental dinning education” by introducing the idea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the formation of infant dining habits? 1-1.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infant meal hygiene? 1-2.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the formation of infant dining manners? 1-3.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infant dining behavior?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mother’s dining education? 2-1.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mother’s dining behavior education? 2-2.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mother’s nutrition knowledge?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the 28 infants under the age of 2 commuting in the “S” preschool which is in Seoul city. These infants represent the experiment group. The comparative group are the 28 infants below the age of 2 in the nursery “G”. For the improvement in children’s dining behavior and parental guidance, members of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which was held 16 times for the 8 weeks during which the program was implemented. Considering chil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 wide range of field activities were constituted which includes melody, art, ingredient investigation, role play, and parental education. To confirm the change in young children’s dining behavior,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meal, snack education according with the standardized childcare curriculum which excluded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In order to observe infant dining habits, dining habit examination tool was used which was revised, supplemented by Kim Keun hwan(2019) based on the surveys of Lee yeoun joo(2014). Also, to observe parental dining education, the examination tool which was revised, supplemented by Kim Hye Hyun(2011) based on the surveys of Son Hye Sook(2009) was used to properly correspond with the research objective and the infant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Effects of the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was formulated by means of pretest and posttest on the ‘dining behavior of infants and parental dinning education.’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employ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regarding study goes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 group which the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was implemented, showed more positive change than the comparative group on terms of having better dining habits and dining hygiene. Home related dining habit activities such as dining habit themed picture books, dining hygiene, dining manners and dining behavior were provided for the improvement in children dining habit. B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focused on dining habits, children were able to explore a wide variety of food ingredients and learn about proper dining habits that should be abided after, before as well as during mealtim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evident in the dining hygiene and dining behavior of children which are subfactors of dining habit. Such results signify that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have had positive influence on child dining habits and dining hygiene.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which the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was implemented, showed more positive change than the comparative group on terms of parental dinning education. For the enhancement in parental dining guidance, dining habit modeling and parental education of proper conversation was provided to parents. Subject mothers taught their children of proper dining behavior through modeling and conversation methods along with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Dining guidance took place focused on using positive conversation reaction to children’s words and behaviors. Modeling and dining guidance was held for the improvement in children dining habits and proper education of nutrition knowledg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evident especially in the mother’s dining behavior education and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education, which are both subfactors of parental dinning education. Such results signify that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have had positive influence on parental dinning education.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searching for the effect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the “dining habits of young children and parental dinn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in infant dining habit, infa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ttributes were carefully considered to set forth dining activities which would allow young children to search for diverse ingredients and perceive knowledge of proper dining behavior. Mother’s dining guidance would be focused on pursing positive conversation method utilized in the form of dining behavior and modeling, along with the education of how parents should speak to their children. The conveyance of nutrition knowledge and modeling would also allow for the goal of mother’s dining guidance to be successfully achieved. Through the fore-mentioned procedure, we attempt to enhance “din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and parental dinning education” by introducing the idea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the formation of infant dining habits? 1-1.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infant meal hygiene? 1-2.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the formation of infant dining manners? 1-3.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infant dining behavior?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mother’s dining education? 2-1.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mother’s dining behavior education? 2-2.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on mother’s nutrition knowledge?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the 28 infants under the age of 2 commuting in the “S” preschool which is in Seoul city. These infants represent the experiment group. The comparative group are the 28 infants below the age of 2 in the nursery “G”. For the improvement in children’s dining behavior and parental guidance, members of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which was held 16 times for the 8 weeks during which the program was implemented. Considering chil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 wide range of field activities were constituted which includes melody, art, ingredient investigation, role play, and parental education. To confirm the change in young children’s dining behavior,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meal, snack education according with the standardized childcare curriculum which excluded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In order to observe infant dining habits, dining habit examination tool was used which was revised, supplemented by Kim Keun hwan(2019) based on the surveys of Lee yeoun joo(2014). Also, to observe parental dining education, the examination tool which was revised, supplemented by Kim Hye Hyun(2011) based on the surveys of Son Hye Sook(2009) was used to properly correspond with the research objective and the infant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Effects of the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was formulated by means of pretest and posttest on the ‘dining behavior of infants and parental dinning education.’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employ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regarding study goes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 group which the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was implemented, showed more positive change than the comparative group on terms of having better dining habits and dining hygiene. Home related dining habit activities such as dining habit themed picture books, dining hygiene, dining manners and dining behavior were provided for the improvement in children dining habit. B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focused on dining habits, children were able to explore a wide variety of food ingredients and learn about proper dining habits that should be abided after, before as well as during mealtim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evident in the dining hygiene and dining behavior of children which are subfactors of dining habit. Such results signify that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have had positive influence on child dining habits and dining hygiene.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which the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was implemented, showed more positive change than the comparative group on terms of parental dinning education. For the enhancement in parental dining guidance, dining habit modeling and parental education of proper conversation was provided to parents. Subject mothers taught their children of proper dining behavior through modeling and conversation methods along with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Dining guidance took place focused on using positive conversation reaction to children’s words and behaviors. Modeling and dining guidance was held for the improvement in children dining habits and proper education of nutrition knowledg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evident especially in the mother’s dining behavior education and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education, which are both subfactors of parental dinning education. Such results signify that ‘home related eating habits activities utilized by the use of picture books’ have had positive influence on parental dinning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