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産 꼬마짤름나방아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분포종을 파악하고, 분류체계별로 정리함으로써 분류군 내에서의 소속 종들의 종합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아과는 분류학적 위치상 많은 변동이 있었던 분류군으로 이에 대한 정리 및 고찰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에서 밤나방상과의 분류학적 변천사를 정리하였다. 또한, 연구 재료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적인 채집조사를 실시하였고, 채집된 표본은 생식...
본 연구는 한국産 꼬마짤름나방아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분포종을 파악하고, 분류체계별로 정리함으로써 분류군 내에서의 소속 종들의 종합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아과는 분류학적 위치상 많은 변동이 있었던 분류군으로 이에 대한 정리 및 고찰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에서 밤나방상과의 분류학적 변천사를 정리하였다. 또한, 연구 재료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적인 채집조사를 실시하였고, 채집된 표본은 생식기 및 시맥 해부 및 검경을 통해 형태학적 특징을 검토하여 분류학적 정리가 수행되었다. 아울러 본 아과의 정확한 분류체계 정립을 위해 수리분석을 적용하여 계통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DNA Barcode를 추출 및 분석하여 꼬마짤름나방아과 내에서의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국내 기록종 7속 12종과 동종이명 1종 및 1신종 2신아종을 포함하여 총 2족 7속 13종 2아종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이들의 계통분석과 함께 성충과 생식기 사진 및 그림을 상세히 기술하였고, 기주식물을 포함한 종별 국내분포정보 등 종합적인 정보를 정리하여 생태 특징을 열거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産 꼬마짤름나방아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분포종을 파악하고, 분류체계별로 정리함으로써 분류군 내에서의 소속 종들의 종합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아과는 분류학적 위치상 많은 변동이 있었던 분류군으로 이에 대한 정리 및 고찰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에서 밤나방상과의 분류학적 변천사를 정리하였다. 또한, 연구 재료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적인 채집조사를 실시하였고, 채집된 표본은 생식기 및 시맥 해부 및 검경을 통해 형태학적 특징을 검토하여 분류학적 정리가 수행되었다. 아울러 본 아과의 정확한 분류체계 정립을 위해 수리분석을 적용하여 계통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DNA Barcode를 추출 및 분석하여 꼬마짤름나방아과 내에서의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국내 기록종 7속 12종과 동종이명 1종 및 1신종 2신아종을 포함하여 총 2족 7속 13종 2아종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이들의 계통분석과 함께 성충과 생식기 사진 및 그림을 상세히 기술하였고, 기주식물을 포함한 종별 국내분포정보 등 종합적인 정보를 정리하여 생태 특징을 열거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of the subfamily Hypenodinae with taxonomic arrangement in Korea. Totally 13 species under 7 genera are recognized from Korea. Also, its phylogentic status of the subfamily, which has been confused to date, was reconstructed and discussed through molecular and ph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of the subfamily Hypenodinae with taxonomic arrangement in Korea. Totally 13 species under 7 genera are recognized from Korea. Also, its phylogentic status of the subfamily, which has been confused to date, was reconstructed and discussed through molecular and phenetic analyses respectively. In this study, one species: Hypenodes turfosalis (Wocke, 1850), was treated as synonym of H. humidalis Doubleday, 1850. Also, one species and two subspecies: Parens sp. nov. 1 and Anachrostis ssp. nov. 1, Micreremites ssp. nov. 1 was reported to new recorded from Korea. Totally 2 subspecies of 13 species of 7 genera under 2 tribes was recognized from Korea. All the known species were redescribed with the adults and genitalic structure and key to the species was provided. Also their all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ult of biological observation, distributional ranges and host plants is enumer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of the subfamily Hypenodinae with taxonomic arrangement in Korea. Totally 13 species under 7 genera are recognized from Korea. Also, its phylogentic status of the subfamily, which has been confused to date, was reconstructed and discussed through molecular and phenetic analyses respectively. In this study, one species: Hypenodes turfosalis (Wocke, 1850), was treated as synonym of H. humidalis Doubleday, 1850. Also, one species and two subspecies: Parens sp. nov. 1 and Anachrostis ssp. nov. 1, Micreremites ssp. nov. 1 was reported to new recorded from Korea. Totally 2 subspecies of 13 species of 7 genera under 2 tribes was recognized from Korea. All the known species were redescribed with the adults and genitalic structure and key to the species was provided. Also their all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ult of biological observation, distributional ranges and host plants is enumera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