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산 뾰족날개나방아과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국내 분포종을 파악하고, 생태학적 및 분포지리학적 정보를 종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아과는 최근 상위분류체계와 소속 및 계통학적 위치에 변화가 많은 분류군이므로 금번 연구를 통해 한국산 종들의 분류학적 정리 및 분류체계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분류군이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적인 집중채집을 통해 충분한 연구재료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채집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 이외에도 국내 주요 표본관을 방문하여 추가적인 표본검경을 통해 우리나라 전반에 걸친 분류 및 분포정보를 수집하여 연구결과에 포함하였다. 이외에도, 그동안 남한지역에서는 채집기록이 없어 분포 여부가 불확실했던 종들에 대해서는 헝가리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산 표본을 확인하여 분포기록을 정리하였다. 금번 연구에서는 확보한 연구재료를 대상으로 외부형태적 특징을 관찰함과 동시에 암수생식기의 해부 검경 및 시맥 특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별 동물이명정리와 기재문을 재작성하였다. 이외에도 국내외 분포 및 기주식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종합정리하였다. 또한, 속별 및 종별 분류학적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 ...
본 연구는 한국산 뾰족날개나방아과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국내 분포종을 파악하고, 생태학적 및 분포지리학적 정보를 종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아과는 최근 상위분류체계와 소속 및 계통학적 위치에 변화가 많은 분류군이므로 금번 연구를 통해 한국산 종들의 분류학적 정리 및 분류체계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분류군이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적인 집중채집을 통해 충분한 연구재료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채집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 이외에도 국내 주요 표본관을 방문하여 추가적인 표본검경을 통해 우리나라 전반에 걸친 분류 및 분포정보를 수집하여 연구결과에 포함하였다. 이외에도, 그동안 남한지역에서는 채집기록이 없어 분포 여부가 불확실했던 종들에 대해서는 헝가리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산 표본을 확인하여 분포기록을 정리하였다. 금번 연구에서는 확보한 연구재료를 대상으로 외부형태적 특징을 관찰함과 동시에 암수생식기의 해부 검경 및 시맥 특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별 동물이명정리와 기재문을 재작성하였다. 이외에도 국내외 분포 및 기주식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종합정리하였다. 또한, 속별 및 종별 분류학적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 DNA 바코드 분석 실험도 병행하였다. 금번 연구를 통해 확보된 한국산 뾰족날개나방아과의 전종에 대해 성충과 암수생식기 및 속별 시맥의 도판을 작성하였다. 이외에도 생활사 및 생태적 특성을 정리하고, 동물지리학적 분포특성을 정리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뾰족날개나방아과는 신아종 후보종 2종 및 미기록종 1종을 포함하여 총 3족 20속 34종으로 정리된다.
본 연구는 한국산 뾰족날개나방아과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국내 분포종을 파악하고, 생태학적 및 분포지리학적 정보를 종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아과는 최근 상위분류체계와 소속 및 계통학적 위치에 변화가 많은 분류군이므로 금번 연구를 통해 한국산 종들의 분류학적 정리 및 분류체계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분류군이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적인 집중채집을 통해 충분한 연구재료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채집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 이외에도 국내 주요 표본관을 방문하여 추가적인 표본검경을 통해 우리나라 전반에 걸친 분류 및 분포정보를 수집하여 연구결과에 포함하였다. 이외에도, 그동안 남한지역에서는 채집기록이 없어 분포 여부가 불확실했던 종들에 대해서는 헝가리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산 표본을 확인하여 분포기록을 정리하였다. 금번 연구에서는 확보한 연구재료를 대상으로 외부형태적 특징을 관찰함과 동시에 암수생식기의 해부 검경 및 시맥 특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별 동물이명정리와 기재문을 재작성하였다. 이외에도 국내외 분포 및 기주식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종합정리하였다. 또한, 속별 및 종별 분류학적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 DNA 바코드 분석 실험도 병행하였다. 금번 연구를 통해 확보된 한국산 뾰족날개나방아과의 전종에 대해 성충과 암수생식기 및 속별 시맥의 도판을 작성하였다. 이외에도 생활사 및 생태적 특성을 정리하고, 동물지리학적 분포특성을 정리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뾰족날개나방아과는 신아종 후보종 2종 및 미기록종 1종을 포함하여 총 3족 20속 34종으로 정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ubfamily Thyatirinae in Korea with systematic arrangement. In this study, totally 3 tribes, 20 genera and 34 species, including two new subspecies and one newly recorded species were recognized from Korea. All the known species were redescribed with illustrat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ubfamily Thyatirinae in Korea with systematic arrangement. In this study, totally 3 tribes, 20 genera and 34 species, including two new subspecies and one newly recorded species were recognized from Korea. All the known species were redescribed with illustrations of the adult and genitalic structures and key to the species was provided. Their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host plants, distributional rang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ing venations are enumerated. Additionally, DNA barcoding of 185 individuals with 20 species of Korean Thyatirinae were newly generated in this study. For species that had been uncertain about their distribution due to lack of collection records in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records were compiled by checking samples from North Korea species in the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ubfamily Thyatirinae in Korea with systematic arrangement. In this study, totally 3 tribes, 20 genera and 34 species, including two new subspecies and one newly recorded species were recognized from Korea. All the known species were redescribed with illustrations of the adult and genitalic structures and key to the species was provided. Their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host plants, distributional rang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ing venations are enumerated. Additionally, DNA barcoding of 185 individuals with 20 species of Korean Thyatirinae were newly generated in this study. For species that had been uncertain about their distribution due to lack of collection records in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records were compiled by checking samples from North Korea species in the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