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통놀이가 가지고 있는 놀이중심의 특성이 최근 유아교육현장에 대두되고 있는 ‘놀이중심’, ‘아동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에 매우 적합한 놀이로 활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놀이를 유아의 기본 권리로 인식하는 세계적 동향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의 놀이 실행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교육의 중요한 원리로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포함되어왔다. 그러나 그 실행에 있어 교사가 놀이계획의 중심이 되는 ‘구조화된 놀이 활동’이 주를 이루어왔으며 이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놀이 중 하나인 사방치기 놀이를 중심으로 놀이중심 전개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경험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의 전개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변화는 어떠한가? 2-1.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2-2.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놀이성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의 실행은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서울시의 S대학교병원 직장어린이집 만 4, 5세 혼합 연령반을 대상으로 총 8명의 유아가 연구에 참여했으며, 연구교실에서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 본인과 누리보조교사 1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예비연구로 2021년 3월부터 9월까지 문헌조사를 통해 사방치기 놀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아와 ...
본 연구는 전통놀이가 가지고 있는 놀이중심의 특성이 최근 유아교육현장에 대두되고 있는 ‘놀이중심’, ‘아동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에 매우 적합한 놀이로 활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놀이를 유아의 기본 권리로 인식하는 세계적 동향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의 놀이 실행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교육의 중요한 원리로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포함되어왔다. 그러나 그 실행에 있어 교사가 놀이계획의 중심이 되는 ‘구조화된 놀이 활동’이 주를 이루어왔으며 이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놀이 중 하나인 사방치기 놀이를 중심으로 놀이중심 전개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경험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의 전개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변화는 어떠한가? 2-1.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2-2.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놀이성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의 실행은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서울시의 S대학교병원 직장어린이집 만 4, 5세 혼합 연령반을 대상으로 총 8명의 유아가 연구에 참여했으며, 연구교실에서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 본인과 누리보조교사 1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예비연구로 2021년 3월부터 9월까지 문헌조사를 통해 사방치기 놀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아와 라포를 형성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21년 10월11일부터 11월 19일까지 6주간 실행했다. 사방치기 놀이의 전개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참여관찰을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자는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학급을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했으며, 연구자의 연구일지, 유아의 활동 결과물, 동영상 및 사진자료, 교육계획 및 보육일지, 관찰일지 등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한 자료들을 기초로 유아의 사방치기 놀이의 전개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과정은 사방치기 놀이의 시작, 변화하는 놀이, 계속되는 놀이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놀이중심의 사방치기 놀이의 시작단계해서 유아들은 사전경험에 기초해 기존의 놀이방법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교사의 놀이방법을 모델링하는 모습으로 이루어졌다. 놀이가 시작되었을 때 유아들은 사방치기 놀이를 옛날의 놀이로 생각했으며, 관심을 표현하며 놀이했으나 놀이 지속시간이 길지는 않았다. 우리 전통놀이가 가지고 있는 개방적 특징을 반영해 놀이참여자인 유아들이 놀이를 주도할 수 있도록 서로의 놀이를 소개하며 사방치기 놀이는 변화하기 시작했다. 놀이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요구나 필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사방치기 놀이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유아들은 사방치기놀이의 방법, 공간, 도구 등을 변형하며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했다. 유아 개별의 놀이와 흥미에서 시작한 사방치기 놀이는 변화하는 놀이과정을 거치며 서로의 놀이 방법을 존중하고, 협력적인 놀이로 점차 변화했다. 이를 기반으로 유아들은 더 도전적이고, 즐겁게 놀이하기 위해 우리 모두의 방법과 공간을 떠올렸으며. 지금 현재에도 의미 있는 우리의 놀이로써 사방치기 놀이가 계속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놀이중심의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구에 참여하는 유아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과 놀이성 변화를 측정하는 객관화된 도구를 활용했다.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민행란(2001)이 개발하고, 김영희(2005)가 활용한 ‘전통놀이 인식검사’도구를 선정했다. 또한 유아의 놀이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Barnett(1991)이 재구성한 아동의 놀이성 척도(CPS)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김영희(1995)의 ‘유아 놀이성 측정 검사’도구를 활용했으며 연구의 사전-사후에 검사를 진행하고,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그 차이를 분석했다.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하며 유아들은 사방치기 놀이뿐 아니라 전통놀이 전반에 걸쳐 흥미를 보이며 다양한 전통놀이를 주체적으로 탐구하고, 놀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은 가족, 친구들과 자신이 경험한 전통놀이를 공유하며 반복해서 놀이를 지속하고자 했다. 또한 놀이방법을 자신만의 방법과 우리의 방법으로 떠올리고,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며 유아들의 놀이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교사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놀이과정에서 기록한 연구일지, 문헌자료, 전사 자료와 교사 면담 및 반성적 저널 등을 바탕으로 변화한 인식을 고찰했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전통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전통놀이 실행에서의 교육적 지원방안에서의 변화가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아가 중심이 되는 전통놀이의 운영을 경험하며 전통놀이와 현대 놀이를 구분하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음을 깨달았다. 과거에 머무르며 고정된 것이 아닌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계속되며 만들어가는 전통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거와 현대의 것을 구분 짓지 않고 유아의 놀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놀이중심의 사방치기 놀이에서 교사의 놀이지원 방안도 변화하게 되었다. 놀이지원방안은 상호작용의 지원, 놀이공간의 지원, 놀이자료의 지원, 기타지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유아 중심의 놀이를 지원하며 교사는 놀이 전문가이가 지도자로 놀이를 준비하고 제안하는 것에서 유아의 놀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놀이 참여자로 함께 놀이를 즐기는 놀이 친구로 지원 방안이 변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교육적 가치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전통놀이가 개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 했다는데 있다. 이는 전통놀이의 인식 및 실행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지적해 온 전통놀이의 일회적 경험과 정형화된 놀이 방법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놀이중심에 기반한 전통놀이의 실행을 경험하며 유아들은 우리 놀이, 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주체적으로 놀이할 수 있었다. 이는 개정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인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감성이 풍부한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에 대한 교육적 가치가 전통놀이를 통해 실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놀이가 가지고 있는 놀이중심의 특성이 최근 유아교육현장에 대두되고 있는 ‘놀이중심’, ‘아동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에 매우 적합한 놀이로 활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놀이를 유아의 기본 권리로 인식하는 세계적 동향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의 놀이 실행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교육의 중요한 원리로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포함되어왔다. 그러나 그 실행에 있어 교사가 놀이계획의 중심이 되는 ‘구조화된 놀이 활동’이 주를 이루어왔으며 이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놀이 중 하나인 사방치기 놀이를 중심으로 놀이중심 전개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경험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의 전개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변화는 어떠한가? 2-1.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2-2.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놀이성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의 실행은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서울시의 S대학교병원 직장어린이집 만 4, 5세 혼합 연령반을 대상으로 총 8명의 유아가 연구에 참여했으며, 연구교실에서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 본인과 누리보조교사 1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예비연구로 2021년 3월부터 9월까지 문헌조사를 통해 사방치기 놀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아와 라포를 형성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21년 10월11일부터 11월 19일까지 6주간 실행했다. 사방치기 놀이의 전개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참여관찰을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자는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학급을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했으며, 연구자의 연구일지, 유아의 활동 결과물, 동영상 및 사진자료, 교육계획 및 보육일지, 관찰일지 등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한 자료들을 기초로 유아의 사방치기 놀이의 전개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과정은 사방치기 놀이의 시작, 변화하는 놀이, 계속되는 놀이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놀이중심의 사방치기 놀이의 시작단계해서 유아들은 사전경험에 기초해 기존의 놀이방법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교사의 놀이방법을 모델링하는 모습으로 이루어졌다. 놀이가 시작되었을 때 유아들은 사방치기 놀이를 옛날의 놀이로 생각했으며, 관심을 표현하며 놀이했으나 놀이 지속시간이 길지는 않았다. 우리 전통놀이가 가지고 있는 개방적 특징을 반영해 놀이참여자인 유아들이 놀이를 주도할 수 있도록 서로의 놀이를 소개하며 사방치기 놀이는 변화하기 시작했다. 놀이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요구나 필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사방치기 놀이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유아들은 사방치기놀이의 방법, 공간, 도구 등을 변형하며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했다. 유아 개별의 놀이와 흥미에서 시작한 사방치기 놀이는 변화하는 놀이과정을 거치며 서로의 놀이 방법을 존중하고, 협력적인 놀이로 점차 변화했다. 이를 기반으로 유아들은 더 도전적이고, 즐겁게 놀이하기 위해 우리 모두의 방법과 공간을 떠올렸으며. 지금 현재에도 의미 있는 우리의 놀이로써 사방치기 놀이가 계속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놀이중심의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유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구에 참여하는 유아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과 놀이성 변화를 측정하는 객관화된 도구를 활용했다.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민행란(2001)이 개발하고, 김영희(2005)가 활용한 ‘전통놀이 인식검사’도구를 선정했다. 또한 유아의 놀이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Barnett(1991)이 재구성한 아동의 놀이성 척도(CPS)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김영희(1995)의 ‘유아 놀이성 측정 검사’도구를 활용했으며 연구의 사전-사후에 검사를 진행하고,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그 차이를 분석했다.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하며 유아들은 사방치기 놀이뿐 아니라 전통놀이 전반에 걸쳐 흥미를 보이며 다양한 전통놀이를 주체적으로 탐구하고, 놀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은 가족, 친구들과 자신이 경험한 전통놀이를 공유하며 반복해서 놀이를 지속하고자 했다. 또한 놀이방법을 자신만의 방법과 우리의 방법으로 떠올리고,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며 유아들의 놀이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놀이중심에 기반한 사방치기 놀이를 경험한 교사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놀이과정에서 기록한 연구일지, 문헌자료, 전사 자료와 교사 면담 및 반성적 저널 등을 바탕으로 변화한 인식을 고찰했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전통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전통놀이 실행에서의 교육적 지원방안에서의 변화가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아가 중심이 되는 전통놀이의 운영을 경험하며 전통놀이와 현대 놀이를 구분하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음을 깨달았다. 과거에 머무르며 고정된 것이 아닌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계속되며 만들어가는 전통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거와 현대의 것을 구분 짓지 않고 유아의 놀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놀이중심의 사방치기 놀이에서 교사의 놀이지원 방안도 변화하게 되었다. 놀이지원방안은 상호작용의 지원, 놀이공간의 지원, 놀이자료의 지원, 기타지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유아 중심의 놀이를 지원하며 교사는 놀이 전문가이가 지도자로 놀이를 준비하고 제안하는 것에서 유아의 놀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놀이 참여자로 함께 놀이를 즐기는 놀이 친구로 지원 방안이 변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교육적 가치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전통놀이가 개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 했다는데 있다. 이는 전통놀이의 인식 및 실행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지적해 온 전통놀이의 일회적 경험과 정형화된 놀이 방법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놀이중심에 기반한 전통놀이의 실행을 경험하며 유아들은 우리 놀이, 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주체적으로 놀이할 수 있었다. 이는 개정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인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감성이 풍부한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에 대한 교육적 가치가 전통놀이를 통해 실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view that the traditional play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s a play that is very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play-oriented’ and ‘child-centered’ that have recently emerg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Various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
This study began with the view that the traditional play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s a play that is very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play-oriented’ and ‘child-centered’ that have recently emerg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Various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on the global trend of recognizing play as the basic right of infa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children's play i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Early childhood-centere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is an important princip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s been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education. However, in its implementation, ‘structured play activities’, in which teachers are the center of play plans, have been dominated, and voices of self-reflection have increa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lay-oriented development process was conducted centering on Sabangchigi game, one of Korea's traditional games, and the changes in infants and teachers who experienced it were analyzed. The research problems selected in this study to conduct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play- oriented play in all directions?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change of infants who have experienced play-oriented four-way play? 2-1. What is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games of infants who have experienced four-way playing based on play-oriented? 2-2. What is the change in the playability of infants who have experienced play-in-all based on play-center?
Research problem 3. What is the chang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play-oriented four-way games?
A total of eight inf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a mixed age group of 4 and 5 years old at S University Hospital's workplace daycare center in Seoul, where the researcher works as a homeroom teacher, and one Nuri assistant teacher. As a preliminary study, Understanding of Sabangchigi play was improved and infants and rappos(Rapport building) were form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from March to September 2021 Based on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six weeks from October 11 to November 19, 2021. In order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abangchigi gam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researcher organized participatory observation on classes and collected data that are research journals, infant activity results, video and photo materials, educational plans and childcare journals, and observation journals. he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s Sabangchigi play was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process proceeded starting from Sabangchigi play, changing play, and continuing play. In the beginning stage of play-oriented Sabangchigi play, infants followed the existing play method or copied the teacher's play method based on prior experience. Even though infants thought Sabangchigi as an old game, they played it with interest when the game began, but the playing-time was short. Reflecting the open characteristics of Korea traditional games, the game began to change by introducing each other's games so that infants, who are play participants, could lead the game. Knowing different types of Sabangchigi can be played depending on the needs, needs, and circumstances of the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game, infa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game by transforming the methods, spaces, and tools of Sabangchigi. Sabangchigi game started with individual infant play and interest and gradually changed into a cooperative game by respecting each other's play methods through a changing play process. Based on the reserch, infants came up with the methods and spaces of all of us to play more challenging and enjoyable able to find that Sabangchigi game continues as a meaningful play in nowadays. For the purpose of finding the changes in infants who have experienced play-oriented Sabangchigi play, an objective tool was used to measure the change in playability and perception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rder to measure changes in children's perception of traditional games, Min Haeng-ran(2001) developed the tool, and Kim Young-hee(2005) selected the ‘traditional play recognition test’ tool. In addition, Kim Young-hee (1995)'s ‘infant playability measurement test’ tool,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child's playability scale (CPS) reconstructed by Barnett (1991) to suit the domestic situation, conducted a pre-post test of the study, and analyzed the difference through a response sample t-test. Experiencing the play-oriented Sabangchigi game, infants were able to independently explore and play various traditional games by showing interest not only in Sabangchigi game but also throughout traditional games. In this process, infants wanted to continue playing repeatedly by sharing traditional games they experienced with their family and friend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layability of infants was improved by recalling the play method as their own and our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lay. To analyze the transition of teachers who experienced play-oriented four-way play, the changed perceptions were reviewed based on research journals, literature materials, transcription materials, teacher interviews, and reflective journals recorded during the play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radi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 plan in the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games. Teachers experienced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games centered on infants and realized that they had a stereotype to distinguish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gam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radition that continues to be made for us living in the present, not staying in the past, and to look at the play of infants as it is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addition, the play support plan for teachers has changed from play-oriented play-oriented play-playing. The play support plan was divided into interaction support, play space support, play material support, and other support, and the teacher changed from preparing and suggesting play as a leader to a play friend who enjoys play together as a play participant.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tudy suggested the traditional games can be played openly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can be played at anytime. The research be an improvement to the problems of the one-time experience of traditional games and standardized play method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and traditional games implementation. In addition, infants were able to positively recognize our play and culture and play independently by experiencing the practice of traditional games based on play-oriented. The result presented the education value of people, who are healthy, independent, creative, emotional, and living together, that suggested in Nuri course.
This study began with the view that the traditional play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s a play that is very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play-oriented’ and ‘child-centered’ that have recently emerg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Various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on the global trend of recognizing play as the basic right of infa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children's play i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Early childhood-centere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is an important princip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s been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education. However, in its implementation, ‘structured play activities’, in which teachers are the center of play plans, have been dominated, and voices of self-reflection have increa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lay-oriented development process was conducted centering on Sabangchigi game, one of Korea's traditional games, and the changes in infants and teachers who experienced it were analyzed. The research problems selected in this study to conduct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play- oriented play in all directions?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change of infants who have experienced play-oriented four-way play? 2-1. What is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games of infants who have experienced four-way playing based on play-oriented? 2-2. What is the change in the playability of infants who have experienced play-in-all based on play-center?
Research problem 3. What is the chang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play-oriented four-way games?
A total of eight inf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a mixed age group of 4 and 5 years old at S University Hospital's workplace daycare center in Seoul, where the researcher works as a homeroom teacher, and one Nuri assistant teacher. As a preliminary study, Understanding of Sabangchigi play was improved and infants and rappos(Rapport building) were form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from March to September 2021 Based on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six weeks from October 11 to November 19, 2021. In order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abangchigi gam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researcher organized participatory observation on classes and collected data that are research journals, infant activity results, video and photo materials, educational plans and childcare journals, and observation journals. he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s Sabangchigi play was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process proceeded starting from Sabangchigi play, changing play, and continuing play. In the beginning stage of play-oriented Sabangchigi play, infants followed the existing play method or copied the teacher's play method based on prior experience. Even though infants thought Sabangchigi as an old game, they played it with interest when the game began, but the playing-time was short. Reflecting the open characteristics of Korea traditional games, the game began to change by introducing each other's games so that infants, who are play participants, could lead the game. Knowing different types of Sabangchigi can be played depending on the needs, needs, and circumstances of the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game, infa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game by transforming the methods, spaces, and tools of Sabangchigi. Sabangchigi game started with individual infant play and interest and gradually changed into a cooperative game by respecting each other's play methods through a changing play process. Based on the reserch, infants came up with the methods and spaces of all of us to play more challenging and enjoyable able to find that Sabangchigi game continues as a meaningful play in nowadays. For the purpose of finding the changes in infants who have experienced play-oriented Sabangchigi play, an objective tool was used to measure the change in playability and perception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rder to measure changes in children's perception of traditional games, Min Haeng-ran(2001) developed the tool, and Kim Young-hee(2005) selected the ‘traditional play recognition test’ tool. In addition, Kim Young-hee (1995)'s ‘infant playability measurement test’ tool,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child's playability scale (CPS) reconstructed by Barnett (1991) to suit the domestic situation, conducted a pre-post test of the study, and analyzed the difference through a response sample t-test. Experiencing the play-oriented Sabangchigi game, infants were able to independently explore and play various traditional games by showing interest not only in Sabangchigi game but also throughout traditional games. In this process, infants wanted to continue playing repeatedly by sharing traditional games they experienced with their family and friend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layability of infants was improved by recalling the play method as their own and our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lay. To analyze the transition of teachers who experienced play-oriented four-way play, the changed perceptions were reviewed based on research journals, literature materials, transcription materials, teacher interviews, and reflective journals recorded during the play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radi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 plan in the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games. Teachers experienced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games centered on infants and realized that they had a stereotype to distinguish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gam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radition that continues to be made for us living in the present, not staying in the past, and to look at the play of infants as it is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addition, the play support plan for teachers has changed from play-oriented play-oriented play-playing. The play support plan was divided into interaction support, play space support, play material support, and other support, and the teacher changed from preparing and suggesting play as a leader to a play friend who enjoys play together as a play participant.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tudy suggested the traditional games can be played openly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can be played at anytime. The research be an improvement to the problems of the one-time experience of traditional games and standardized play method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and traditional games implementation. In addition, infants were able to positively recognize our play and culture and play independently by experiencing the practice of traditional games based on play-oriented. The result presented the education value of people, who are healthy, independent, creative, emotional, and living together, that suggested in Nuri cour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