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의 디자인 계획방향 연구 : 미국Affordable Housing과의 비교를 통해 Directions for the design of Seoul 2030 youth housings : comparison with affordable housing in the United States원문보기
청년들의 주거빈곤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 되면서, 그 해결책으로 서울시는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공급지원에 관한 조례’를 발표하고, 교통이 편리한 역세권 지역을 개발하여 청년들에게 주택을 대량 공급하고자 민간투자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으나, 역세권 청년주택을 혐오시설로 바라보는 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런 부정적 인식의 문제에 대해 제도적 차원이 아닌 건축 디자인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양하고 우수한 디자인의 청년주택 건설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의 법규 및 지침, 체크리스트 등과 미국의‘Affordable Housing’디자인 지침을 비교하고, 미국의 ‘Affordable Housing’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역세권 청년주택의 건축적 특징을 도출하며, 설문조사를 통해 역세권 청년주택의 디자인 요구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침내용을 비교해 본 결과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지침의 내용은 규제완화와 공공기여에 대한 사업적 지침 내용이 주를 이루며, ‘Design Advisor’에 비해 건물 디자인 및 계획적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례분석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미국Affordable Housing’ 디자인 계획에서는 주변 이웃들과 조화롭고, 통일성을 가지도록 강조한다. 또한 커뮤니티시설간의 연계를 더욱 중요시하며,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한 다양한 외부공간을 계획하여, ...
청년들의 주거빈곤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 되면서, 그 해결책으로 서울시는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공급지원에 관한 조례’를 발표하고, 교통이 편리한 역세권 지역을 개발하여 청년들에게 주택을 대량 공급하고자 민간투자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으나, 역세권 청년주택을 혐오시설로 바라보는 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런 부정적 인식의 문제에 대해 제도적 차원이 아닌 건축 디자인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양하고 우수한 디자인의 청년주택 건설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의 법규 및 지침, 체크리스트 등과 미국의‘Affordable Housing’디자인 지침을 비교하고, 미국의 ‘Affordable Housing’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역세권 청년주택의 건축적 특징을 도출하며, 설문조사를 통해 역세권 청년주택의 디자인 요구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침내용을 비교해 본 결과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지침의 내용은 규제완화와 공공기여에 대한 사업적 지침 내용이 주를 이루며, ‘Design Advisor’에 비해 건물 디자인 및 계획적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례분석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미국Affordable Housing’ 디자인 계획에서는 주변 이웃들과 조화롭고, 통일성을 가지도록 강조한다. 또한 커뮤니티시설간의 연계를 더욱 중요시하며,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한 다양한 외부공간을 계획하여, 지역사회로 열린 공간을 조형적으로 형성한데 비해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사례는 대지 형상에 따른 단일 매스의 빌딩으로 효율적인 디자인이 특징이다.
셋째, 역세권 청년주택의 디자인 중요성에 대한 인식조사는 도심 속 이므로, 도시 미관상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과 ‘경제적 가치보다는 중요하지 않으나, 어느 정도 중요하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모든 연령대에 고루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역세권 청년주택의 활성화를 위하여, ‘저렴한 임대비용의 필요성’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불필요하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나고, 입주민에게 ‘자부심을 주는 디자인의 필요성’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필요하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청년주택의 우수한 디자인 계획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서 향후 청년주택 계획방향 제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들의 주거빈곤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 되면서, 그 해결책으로 서울시는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공급지원에 관한 조례’를 발표하고, 교통이 편리한 역세권 지역을 개발하여 청년들에게 주택을 대량 공급하고자 민간투자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으나, 역세권 청년주택을 혐오시설로 바라보는 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런 부정적 인식의 문제에 대해 제도적 차원이 아닌 건축 디자인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양하고 우수한 디자인의 청년주택 건설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의 법규 및 지침, 체크리스트 등과 미국의‘Affordable Housing’디자인 지침을 비교하고, 미국의 ‘Affordable Housing’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역세권 청년주택의 건축적 특징을 도출하며, 설문조사를 통해 역세권 청년주택의 디자인 요구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침내용을 비교해 본 결과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지침의 내용은 규제완화와 공공기여에 대한 사업적 지침 내용이 주를 이루며, ‘Design Advisor’에 비해 건물 디자인 및 계획적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례분석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미국Affordable Housing’ 디자인 계획에서는 주변 이웃들과 조화롭고, 통일성을 가지도록 강조한다. 또한 커뮤니티시설간의 연계를 더욱 중요시하며,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한 다양한 외부공간을 계획하여, 지역사회로 열린 공간을 조형적으로 형성한데 비해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사례는 대지 형상에 따른 단일 매스의 빌딩으로 효율적인 디자인이 특징이다.
셋째, 역세권 청년주택의 디자인 중요성에 대한 인식조사는 도심 속 이므로, 도시 미관상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과 ‘경제적 가치보다는 중요하지 않으나, 어느 정도 중요하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모든 연령대에 고루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역세권 청년주택의 활성화를 위하여, ‘저렴한 임대비용의 필요성’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불필요하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나고, 입주민에게 ‘자부심을 주는 디자인의 필요성’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필요하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청년주택의 우수한 디자인 계획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서 향후 청년주택 계획방향 제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housing poverty problem of young people became a social proble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the 'Ordinance on the Supply of Housings for Youth of the 20s and 30s in the Station Areas of Seoul'. Although the Government has encouraged private investment to supply a large numb...
As the housing poverty problem of young people became a social proble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the 'Ordinance on the Supply of Housings for Youth of the 20s and 30s in the Station Areas of Seoul'. Although the Government has encouraged private investment to supply a large number of housings, it experiences difficulties with the supply for them due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residents who view youth housings as an abomination facil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ays supporting the supply of youth housings with various and excellent designs by addressing the negative perception problem in terms of the architectural design aspect, not at the institutional level. Firstly, the laws, guidelines, and checklists of ‘the Seoul 2030 Youth Housing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US ‘Affordable Housing',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youth housings near the stations in Seoul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 'Affordable Housing' design cases. Further, the needs for the design of youth housing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guidelines, the contents of the ‘Seoul Station Area Youth Housing’ guideline were Business guidelines for deregulation and public contribution are the main contents, and it is judged that the contents of building design and planning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Design Advisor’.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son through case analysis, the design plan for ‘American Affordable Housing’Emphasize harmony and unity with surrounding neighbors. In addition, we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connection between community facilities and plan various external spaces for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ntrast to the formative formation of an open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the case of ‘Seoul Station Area Youth Housing’ It is a single-mass build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ite and is characterized by an efficient design.
Third, The result shows that the opinion survey on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of SEOUL 2030 YOUTH HOUSING is in the city center, so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city's aesthetics' and 'it is not important than economic value, but it is important to some extent', the positive opinion is fairly common among all age groups. In order to activate SEOUL 2030 YOUTH HOUSING, the answer that the need for a low rental cost is unnecessary as the age increases, and the answer that the need for a design that gives the residents pride is necessary as the age increases.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the direction for youth housing planning as important data on the need for an excellent design for youth housings.
As the housing poverty problem of young people became a social proble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the 'Ordinance on the Supply of Housings for Youth of the 20s and 30s in the Station Areas of Seoul'. Although the Government has encouraged private investment to supply a large number of housings, it experiences difficulties with the supply for them due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residents who view youth housings as an abomination facil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ays supporting the supply of youth housings with various and excellent designs by addressing the negative perception problem in terms of the architectural design aspect, not at the institutional level. Firstly, the laws, guidelines, and checklists of ‘the Seoul 2030 Youth Housing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US ‘Affordable Housing',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youth housings near the stations in Seoul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 'Affordable Housing' design cases. Further, the needs for the design of youth housing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guidelines, the contents of the ‘Seoul Station Area Youth Housing’ guideline were Business guidelines for deregulation and public contribution are the main contents, and it is judged that the contents of building design and planning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Design Advisor’.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son through case analysis, the design plan for ‘American Affordable Housing’Emphasize harmony and unity with surrounding neighbors. In addition, we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connection between community facilities and plan various external spaces for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ntrast to the formative formation of an open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the case of ‘Seoul Station Area Youth Housing’ It is a single-mass build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ite and is characterized by an efficient design.
Third, The result shows that the opinion survey on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of SEOUL 2030 YOUTH HOUSING is in the city center, so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city's aesthetics' and 'it is not important than economic value, but it is important to some extent', the positive opinion is fairly common among all age groups. In order to activate SEOUL 2030 YOUTH HOUSING, the answer that the need for a low rental cost is unnecessary as the age increases, and the answer that the need for a design that gives the residents pride is necessary as the age increases.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the direction for youth housing planning as important data on the need for an excellent design for youth housing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