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 1일부터 2021년 10월 13일까지 예산 산림 지역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여 야생 포유류의 사진 및 영상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종 다양성, 상대 풍부도, 활동 및 행동 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종의 서식 유무, 서식하는 종의 생태적 특성, 종간 상호 작용, 활동 및 행동 패턴을 파악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2086개의 데이터 중 포유류는 1143개, 미출현은 769개, 조류는 107개, 기타(타 분류군, 사람, 오류 등)는 67개로 나타났다. 이 중 포유류의 데이터가 본 연구에 활용되었다. 출현종은 오소리, 고라니, 등줄쥐, 멧돼지, 다람쥐, 너구리, 삵, ...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 1일부터 2021년 10월 13일까지 예산 산림 지역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여 야생 포유류의 사진 및 영상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종 다양성, 상대 풍부도, 활동 및 행동 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종의 서식 유무, 서식하는 종의 생태적 특성, 종간 상호 작용, 활동 및 행동 패턴을 파악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2086개의 데이터 중 포유류는 1143개, 미출현은 769개, 조류는 107개, 기타(타 분류군, 사람, 오류 등)는 67개로 나타났다. 이 중 포유류의 데이터가 본 연구에 활용되었다. 출현종은 오소리, 고라니, 등줄쥐, 멧돼지, 다람쥐, 너구리, 삵, 청설모로 나타났다. 포유류의 시간대별 출현 빈도는 20시(58회)가 가장 높고 13시가 가장 낮았으며, 야간(417회)이 주간(179회)보다 약 2.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출현 빈도는 9월(187회)이 가장 높고 2월(9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풍부도 지수는 오소리 63.0, 고라니 33.0, 등줄쥐 8.0, 멧돼지 5.6, 다람쥐 4.8, 너구리 2.4, 삵 2.0, 청설모 0.4로 나타났다. 한편, 생태계에서 분장의 중요성과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포유류의 특이적 행동이 관찰되었다. 너구리의 경우 오소리의 분장에서 배변 활동을 하고 냄새를 맡는 모습이 수차례 관찰되었으며, 소형 설치류(다람쥐, 등줄쥐)는 분변 및 분변에 모여든 곤충 등을 섭식하며 먹이터로 이용하는 모습이 다수 포착되었다. 또한, 등줄쥐와 삵은 세 곳의 연구 지점 중 분장이 있는 곳에서만 출현하였다. 배설물이 등줄쥐의 섭식 활동을 유도함에 따라 등줄쥐를 먹이원으로 하는 삵의 출현율이 간접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분장은 생태계에서 다양한 종의 활동을 주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 연구 및 멸종위기종 복원사업 등에서 고려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 동물의 분장 이용에 집중한 생태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 트래핑을 활용하여 국내 산림지역 포유류의 다양한 기초 생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는 추후 야생 동물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 1일부터 2021년 10월 13일까지 예산 산림 지역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여 야생 포유류의 사진 및 영상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종 다양성, 상대 풍부도, 활동 및 행동 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종의 서식 유무, 서식하는 종의 생태적 특성, 종간 상호 작용, 활동 및 행동 패턴을 파악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2086개의 데이터 중 포유류는 1143개, 미출현은 769개, 조류는 107개, 기타(타 분류군, 사람, 오류 등)는 67개로 나타났다. 이 중 포유류의 데이터가 본 연구에 활용되었다. 출현종은 오소리, 고라니, 등줄쥐, 멧돼지, 다람쥐, 너구리, 삵, 청설모로 나타났다. 포유류의 시간대별 출현 빈도는 20시(58회)가 가장 높고 13시가 가장 낮았으며, 야간(417회)이 주간(179회)보다 약 2.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출현 빈도는 9월(187회)이 가장 높고 2월(9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풍부도 지수는 오소리 63.0, 고라니 33.0, 등줄쥐 8.0, 멧돼지 5.6, 다람쥐 4.8, 너구리 2.4, 삵 2.0, 청설모 0.4로 나타났다. 한편, 생태계에서 분장의 중요성과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포유류의 특이적 행동이 관찰되었다. 너구리의 경우 오소리의 분장에서 배변 활동을 하고 냄새를 맡는 모습이 수차례 관찰되었으며, 소형 설치류(다람쥐, 등줄쥐)는 분변 및 분변에 모여든 곤충 등을 섭식하며 먹이터로 이용하는 모습이 다수 포착되었다. 또한, 등줄쥐와 삵은 세 곳의 연구 지점 중 분장이 있는 곳에서만 출현하였다. 배설물이 등줄쥐의 섭식 활동을 유도함에 따라 등줄쥐를 먹이원으로 하는 삵의 출현율이 간접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분장은 생태계에서 다양한 종의 활동을 주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 연구 및 멸종위기종 복원사업 등에서 고려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 동물의 분장 이용에 집중한 생태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 트래핑을 활용하여 국내 산림지역 포유류의 다양한 기초 생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는 추후 야생 동물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In this study, from June 1, 2020 to October 13, 2021, sensor camera was installed in the Yesan Forest area to secure photos and videos data of wild mammals. The purpose of this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species diversity, relative abundance, activities, and behavior patterns derived through thi...
In this study, from June 1, 2020 to October 13, 2021, sensor camera was installed in the Yesan Forest area to secure photos and videos data of wild mammals. The purpose of this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species diversity, relative abundance, activities, and behavior patterns derived through this to identify species habitat,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terspecies interaction, activitie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2086 data collected through sensor camera during the study period, 1143 mammals, 769 non-appearance, 107 birds, and 67 others(other classification groups, people, errors, etc.). Among them, mammalian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Appearance species were Meles leucurus, Hydropotes inermis, Apodemus agrarius, Sus scrofa, Eutamias sibiricus, Nyctereutes procyonoides,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Sciurus vulgaris. Appearance frequency of mammals by time zone, 20 o'clock(58 times) was the highest and 13 o'clock was the lowest, and night(417 times) was about 2.3 times higher than day(179 times). As for the monthly appearance frequency, september(187 times) was the highest and February(9 times) was the lowest.
elk 33.0, backline mouse 8.0, wild boar 5.6, squirrel 4.8, raccoon 2.4, wildcat 2.0, and red squirrel 0.4. The relative abundance index was lower in the order of Meles leucurus(63.0), Hydropotes inermis(33.0), Apodemus agrarius(8.0), Sus scrofa(5.6), Eutamias sibiricus(4.8), Nyctereutes procyonoides(2.4), Prionailurus bengalensis(2.0) and Sciurus vulgaris(0.4). Meanwhile, specific behaviors of mammals that can confirm the importance and availability of latrine in the ecosystem were observed. In the case of raccoons, defecation activities and smelling were observed several times in the latrine of badgers. Apodemus agrarius and Eutamias sibiricus were seen eating feces or insects gathered in feces and using them as food sources. In addition, Apodemus agrarius and Prionailurus bengalensis appeared only in site with latrine among the three research sites. It is believed that excrement induced the eating activity of Apodemus agrarius, and accordingly, the rate of appearance of Prionailurus bengalensis as a food source for Apodemus agrarius also indirectly increased. Since latrine has the potential to lead the activities of various species in the ecosystem, it is judged to be a factor that can be considered in ecosystem research and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s. Therefore, ecolog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use of latrine by wild animals will need to be undeertaken. In this study, various basic ecological data of mammals in domestic forest areas were collected using camera trapping, which could be useful for further wildlife study.
In this study, from June 1, 2020 to October 13, 2021, sensor camera was installed in the Yesan Forest area to secure photos and videos data of wild mammals. The purpose of this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species diversity, relative abundance, activities, and behavior patterns derived through this to identify species habitat,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terspecies interaction, activitie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2086 data collected through sensor camera during the study period, 1143 mammals, 769 non-appearance, 107 birds, and 67 others(other classification groups, people, errors, etc.). Among them, mammalian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Appearance species were Meles leucurus, Hydropotes inermis, Apodemus agrarius, Sus scrofa, Eutamias sibiricus, Nyctereutes procyonoides,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Sciurus vulgaris. Appearance frequency of mammals by time zone, 20 o'clock(58 times) was the highest and 13 o'clock was the lowest, and night(417 times) was about 2.3 times higher than day(179 times). As for the monthly appearance frequency, september(187 times) was the highest and February(9 times) was the lowest.
elk 33.0, backline mouse 8.0, wild boar 5.6, squirrel 4.8, raccoon 2.4, wildcat 2.0, and red squirrel 0.4. The relative abundance index was lower in the order of Meles leucurus(63.0), Hydropotes inermis(33.0), Apodemus agrarius(8.0), Sus scrofa(5.6), Eutamias sibiricus(4.8), Nyctereutes procyonoides(2.4), Prionailurus bengalensis(2.0) and Sciurus vulgaris(0.4). Meanwhile, specific behaviors of mammals that can confirm the importance and availability of latrine in the ecosystem were observed. In the case of raccoons, defecation activities and smelling were observed several times in the latrine of badgers. Apodemus agrarius and Eutamias sibiricus were seen eating feces or insects gathered in feces and using them as food sources. In addition, Apodemus agrarius and Prionailurus bengalensis appeared only in site with latrine among the three research sites. It is believed that excrement induced the eating activity of Apodemus agrarius, and accordingly, the rate of appearance of Prionailurus bengalensis as a food source for Apodemus agrarius also indirectly increased. Since latrine has the potential to lead the activities of various species in the ecosystem, it is judged to be a factor that can be considered in ecosystem research and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s. Therefore, ecolog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use of latrine by wild animals will need to be undeertaken. In this study, various basic ecological data of mammals in domestic forest areas were collected using camera trapping, which could be useful for further wildlife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