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 내 도시철도 승차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COVID-19기간 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의 영향요인, 지역별 통행패턴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전염병 시기 중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이동권 제고 방안 대책 수립 및 적용 시, 비교통약자와는 다른 교통약자만의 고유한 통행 특성을 우선 고려해야 함을 밝힌다. COVID-19 기간 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
본 연구는 서울시 내 도시철도 승차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COVID-19기간 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의 영향요인, 지역별 통행패턴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전염병 시기 중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이동권 제고 방안 대책 수립 및 적용 시, 비교통약자와는 다른 교통약자만의 고유한 통행 특성을 우선 고려해야 함을 밝힌다. COVID-19 기간 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한다. 이 현황 분석을 통해 각 연도에 따른 도시철도 승차량 평균의 차이를 분석한다. 다음으로는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지리가중 회귀분석(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통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지역별 도시철도 통행 패턴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전체 25 자치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17년 1월 1일 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로 선정하였다. 공공데이터인 서울열린데이터 광장의 서울시 지하철 호선별 역별 유/무임 승하차 인원 정보 데이터와 국토교통부 자료와 같은 기타 공공데이터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COVID-19 지속 기간인 2020년도의 도시철도 승차량은 17, 18, 19년도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하는 만큼 감소했으며, 사후분석을 통해 이용폭 증가세가 더 높았던 교통약자가 비교통약자에 비해 도시철도 통행에 더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통약자와 달리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집회시설, 지하철역만이 해당되었다. 지역별 분석 결과를 볼 때, 문화집회시설 그리고 지하철역이 모여있는 관악구, 금천구, 서초구 등 서울시 남부권의 회귀모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포용 정책의 일환으로 교통복지가 강조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교통약자의 이동권 제고를 위해 도시철도역 내 교통약자 복지시설을 서울시 남부권에 우선 배치 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해 COVID-19 이후 형평성에 기반한 분배의 교통복지 역시 요구된다.
본 연구는 서울시 내 도시철도 승차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COVID-19기간 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의 영향요인, 지역별 통행패턴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전염병 시기 중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이동권 제고 방안 대책 수립 및 적용 시, 비교통약자와는 다른 교통약자만의 고유한 통행 특성을 우선 고려해야 함을 밝힌다. COVID-19 기간 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한다. 이 현황 분석을 통해 각 연도에 따른 도시철도 승차량 평균의 차이를 분석한다. 다음으로는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지리가중 회귀분석(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통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지역별 도시철도 통행 패턴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전체 25 자치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17년 1월 1일 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로 선정하였다. 공공데이터인 서울열린데이터 광장의 서울시 지하철 호선별 역별 유/무임 승하차 인원 정보 데이터와 국토교통부 자료와 같은 기타 공공데이터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COVID-19 지속 기간인 2020년도의 도시철도 승차량은 17, 18, 19년도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하는 만큼 감소했으며, 사후분석을 통해 이용폭 증가세가 더 높았던 교통약자가 비교통약자에 비해 도시철도 통행에 더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통약자와 달리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집회시설, 지하철역만이 해당되었다. 지역별 분석 결과를 볼 때, 문화집회시설 그리고 지하철역이 모여있는 관악구, 금천구, 서초구 등 서울시 남부권의 회귀모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포용 정책의 일환으로 교통복지가 강조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교통약자의 이동권 제고를 위해 도시철도역 내 교통약자 복지시설을 서울시 남부권에 우선 배치 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해 COVID-19 이후 형평성에 기반한 분배의 교통복지 역시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rapid transit traffic and the difference in regional traffic pattern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comparative passengers within the COVID-19 period based on the data of rapid transit boarding vehicles in Seoul. Through this, it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rapid transit traffic and the difference in regional traffic pattern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comparative passengers within the COVID-19 period based on the data of rapid transit boarding vehicles in Seoul. Through this, it is revealed that when establishing and applying measures to improve the right to move public transportation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during the epidemic period, unique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should be considered first. One-way ANOVA i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rapid transit traffic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comparative passengers within the COVID-19 period. Through this status analysis,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rapid transit vehicles according to each year is analyzed. Next,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ssage of rapid transit between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comparative commoner. Finally, through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traffic pattern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comparative passengers by region are analyzed.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was targeted at all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the temporal range was selected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20. Other public data, such a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on and off by station on the Seoul Rapid transit Line and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re used as research data.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apid transit rides in 2020, the duration of COVID-19, decreased as statistical significance existed compared to 2017, 2018, and 2019, and the post-analysis showed that the mobility handicapped, who had a higher increase in usage, were more affected by rapid transit traffic than the non-pers. On the other hand, unlike non-traders, only cultural assembly facilities and subway stations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ssage of rapid transi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ccording to regional analysis results, the influence of regression models in southern Seoul, such as Gwanak-gu, Geumcheon-gu, and Seocho-gu, where cultural assembly facilities and subway stations are gathered, was relatively high. Recently, transportation welfare has been emphasized as part of an inclusive policy to resolve social polarization.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when welfare facilities for mobility handicapped in rapid transit stations are preferentially placed in the southern part of Seoul to enhance the right to move. However,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ransportation welfare based on equity after COVID-19 is also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rapid transit traffic and the difference in regional traffic pattern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comparative passengers within the COVID-19 period based on the data of rapid transit boarding vehicles in Seoul. Through this, it is revealed that when establishing and applying measures to improve the right to move public transportation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during the epidemic period, unique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should be considered first. One-way ANOVA i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rapid transit traffic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comparative passengers within the COVID-19 period. Through this status analysis,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rapid transit vehicles according to each year is analyzed. Next,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ssage of rapid transit between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comparative commoner. Finally, through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traffic pattern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comparative passengers by region are analyzed.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was targeted at all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the temporal range was selected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20. Other public data, such a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on and off by station on the Seoul Rapid transit Line and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re used as research data.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apid transit rides in 2020, the duration of COVID-19, decreased as statistical significance existed compared to 2017, 2018, and 2019, and the post-analysis showed that the mobility handicapped, who had a higher increase in usage, were more affected by rapid transit traffic than the non-pers. On the other hand, unlike non-traders, only cultural assembly facilities and subway stations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ssage of rapid transi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ccording to regional analysis results, the influence of regression models in southern Seoul, such as Gwanak-gu, Geumcheon-gu, and Seocho-gu, where cultural assembly facilities and subway stations are gathered, was relatively high. Recently, transportation welfare has been emphasized as part of an inclusive policy to resolve social polarization.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when welfare facilities for mobility handicapped in rapid transit stations are preferentially placed in the southern part of Seoul to enhance the right to move. However,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ransportation welfare based on equity after COVID-19 is also required.
Keyword
#교통약자 COVID-19 일원분산분석 선형 회귀분석 지리가중 회귀분석 서울시 도시철도 승차량 데이터 이동권 교통복지
학위논문 정보
저자
엄정식
학위수여기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통공학과
지도교수
이승재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iv, 49 p.
키워드
교통약자 COVID-19 일원분산분석 선형 회귀분석 지리가중 회귀분석 서울시 도시철도 승차량 데이터 이동권 교통복지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