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지역 지체장애인의 이동권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The Status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Suggested Improvements in Chungnam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4, 2021년, pp.130 - 136  

최윤영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양정빈 (남서울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김자영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남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의 이동권 현황을 파악하여, 이들의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단계에 걸쳐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외출 및 이동현황, 저상버스 및 장애인 콜택시 사용현황, 서비스 개선사항, 광역이동지원센터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충남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으로 총 219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54.6%는 매일 외출하였으며, 17.0%는 거의 외출을 하지 않았다. 53.4%의 응답자만 홀로 외출이 가능했으며, 외출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계단과 대중교통의 불편함을 꼽았다. 응답자 중 26.9%는 저상버스를, 71.1%는 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했으며, 이를 위해 각각 66.57분, 42.65분 동안 기다린 것으로 나타났다. 78.7%는 광역지원센터가 필요하다고 한 반면, 49.8%만이 센터를 인지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권 향상 방안으로 특별교통수단의 확대, 지체장애인의 보행환경 개선, 광역이동지원센터 기능 활성화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to ensure personal mobility with the greatest possible independence for the physically disabled in community.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the categories as follo...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외출하지 않는 주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계단오르기 불편함이 34.
  • 본 연구는 충남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이동권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219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충남지역 지체장애인들의 장애인 이동권 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이들의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 자료를 제공해보고자 시도되었다.
  • 장착한 차량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상버스와 장애인 콜택시 이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 중 저상버스 이용자는 59명(26.
  • 한다. 이를 통해 지체장애인 이동권에 관련된 연구 자료를 축적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들의 장애인 이동권 실태를 살펴보되, 특히 충남지역의 상황을 반영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체장애인 이동권에 관련된 연구 자료를 축적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uncheongnamdo. (2019). The Status of Mobility Rights for the Disabled in Chuncheongnamdo. p.3.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2017 A survey on the status of the disabled. 

  3. S. H. Lee & Y. Y. Choi. (2018). A Study on practical Recognition about Rights Advocacy of Social Works in Disabled Welfare Cente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6), 265-271. 

  4. D. S. Lee. (2018). Analysis on the Transportation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y in 17 Provinces - Focusing on "Targeting within Universalism". Legistative law & Policy. 10(3), 327-349. 

  5. Y. S. Yoon. (2004). A Desirable Registration Direction to Ensure the Mobility Rights of the Disabled. Forum of the Health and Welfare, 09, 91-103. 

  6. M. S. Kim. (2009). A study on the Access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15(1), 1-24. 

  7. T. G. Sung. (2017).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in Chungcheongdam-do: focused on the convenient facilities, mobility rights, & information accessibility rights. Gongju : Chungnam Institute. 

  8. C. D. Huh & J. Y. Shin. (2011). The Current State of Mobility Rights for Disabled Persons in Korea and Its Direction for Improvem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3), 1-25. 

  9. B. H. Choi. S. M. Hong & K . Y. Kim.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nual focused on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Gimcheon :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2017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ransportation for the vulnerable. 

  11.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19). The status of individual mobility aids for reinforcing the mobility rights of the disabled. 

  12. H. R. Shin, B. K. Lee & M. S. Kim (2018). Improvements for Operation System through Traff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pecial Transportation Servic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9, 437-441. 

  13. S. G. Kim & H. J. Jo. (2012).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Status of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55(3), 185-2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