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자는 건축물의 천장을 가린 구조물로 각종 전기배선 및 배관을 감추고 소리와 열 등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지하주차장과 같이 천장을 반자로 마감하지 않고 배관과 덕트 등을 노출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건축물은 건축물의 미관과 가치 상승을 위해 반자로 마감을 하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반자 내부가 화재에 몹시 취약하다는 사실이다. 제천 노블휘트니앤스파 화재, 밀양 세종병원 화재, 경기도 남양주 부영에시앙 주상복합건물 화재 등 일련의 대형화재를 겪으면서 반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사회 전반에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자세히 살피고, 관련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우선적으로, 반자 내부공간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몇몇 건축물들의 반자 내부공간을 현장조사 하였고, 국가화재시스템을 이용해 반자 화재에 대한 ...
반자는 건축물의 천장을 가린 구조물로 각종 전기배선 및 배관을 감추고 소리와 열 등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지하주차장과 같이 천장을 반자로 마감하지 않고 배관과 덕트 등을 노출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건축물은 건축물의 미관과 가치 상승을 위해 반자로 마감을 하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반자 내부가 화재에 몹시 취약하다는 사실이다. 제천 노블휘트니앤스파 화재, 밀양 세종병원 화재, 경기도 남양주 부영에시앙 주상복합건물 화재 등 일련의 대형화재를 겪으면서 반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사회 전반에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자세히 살피고, 관련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우선적으로, 반자 내부공간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몇몇 건축물들의 반자 내부공간을 현장조사 하였고, 국가화재시스템을 이용해 반자 화재에 대한 통계조사를 수행했다. 동시에 반자 내부에 사용되는 건축자재에 대한 법률분석을 하였다. 조사 결과 반자 내부에는 가연성 자재를 사용을 금지하는 법적 제한이 없어서 가연성 자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후 반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반자 내부의 건축자재들로 인해 대형화재로 이어진 대표적인 화재사례들을 분석하였다. 화재사례를 분석한 결과 반자 내부의 화재원인은 주로 전기적 요인과 부주의 요인이 있음을 확인했고, 반자가 파손되어 화염이 아래로 내려와 폭발적인 연소가 진행되는 경우 대형화재로의 확산이 이뤄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반자 내부에는 가연물이 산적한 경우가 많은데, 특히 가연성 스티로폼이 단열재로 부착된 화재사례에서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해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반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한 화재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제시한 시나리오에 따른 연기량의 변화를 시각적, 수치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재확인했고, 반자 내부를 불연화하는 경우 또는 반자 내부에 소방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위험성이 어떻게 개선되는지 확인했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반자 내부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기 곤란하고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려우므로, 반자 내부의 가연물들이 급속히 연소하는 것을 막지 못해 쉽게 대형화재가 되는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화재를 인지한 경우에도 발화지점에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초기소화가 불가능하고 화재 확산 속도가 대단히 빠르기 때문에 피난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 또한 확인된다.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화재 예방적 측면과 화재 대응적 측면으로 나누어 대책을 고찰했다. 화재 예방적 측면의 대책은 반자 내부에 가연물을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고, 화재 대응적 측면의 대책은 반자 내부에 소방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삼는다.
제시한 개선책이 모두 이루어진다면 반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고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큰 피해 없이 화재가 쉽게 진압되겠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모든 대책을 한 번에 마련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이 때문에 본고는 해결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보다도 반자 내부의 가연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반자 내부의 가연물을 최소화하는 것이 예방적 차원의 우선적인 대책이라면, 사후 관리의 차원에서 반자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화재가 정확히 화재 통계에 반영되도록 하는 개선도 이뤄질 필요가 있다. 반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의 정확한 통계가 제시되지 않아 일반인들이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화재시스템을 개선하여 반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발화지점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최소한의 해결책을 통해서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반자는 건축물의 천장을 가린 구조물로 각종 전기배선 및 배관을 감추고 소리와 열 등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지하주차장과 같이 천장을 반자로 마감하지 않고 배관과 덕트 등을 노출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건축물은 건축물의 미관과 가치 상승을 위해 반자로 마감을 하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반자 내부가 화재에 몹시 취약하다는 사실이다. 제천 노블휘트니앤스파 화재, 밀양 세종병원 화재, 경기도 남양주 부영에시앙 주상복합건물 화재 등 일련의 대형화재를 겪으면서 반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사회 전반에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자세히 살피고, 관련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우선적으로, 반자 내부공간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몇몇 건축물들의 반자 내부공간을 현장조사 하였고, 국가화재시스템을 이용해 반자 화재에 대한 통계조사를 수행했다. 동시에 반자 내부에 사용되는 건축자재에 대한 법률분석을 하였다. 조사 결과 반자 내부에는 가연성 자재를 사용을 금지하는 법적 제한이 없어서 가연성 자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후 반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반자 내부의 건축자재들로 인해 대형화재로 이어진 대표적인 화재사례들을 분석하였다. 화재사례를 분석한 결과 반자 내부의 화재원인은 주로 전기적 요인과 부주의 요인이 있음을 확인했고, 반자가 파손되어 화염이 아래로 내려와 폭발적인 연소가 진행되는 경우 대형화재로의 확산이 이뤄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반자 내부에는 가연물이 산적한 경우가 많은데, 특히 가연성 스티로폼이 단열재로 부착된 화재사례에서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해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반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한 화재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제시한 시나리오에 따른 연기량의 변화를 시각적, 수치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재확인했고, 반자 내부를 불연화하는 경우 또는 반자 내부에 소방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위험성이 어떻게 개선되는지 확인했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반자 내부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기 곤란하고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려우므로, 반자 내부의 가연물들이 급속히 연소하는 것을 막지 못해 쉽게 대형화재가 되는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화재를 인지한 경우에도 발화지점에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초기소화가 불가능하고 화재 확산 속도가 대단히 빠르기 때문에 피난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 또한 확인된다.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화재 예방적 측면과 화재 대응적 측면으로 나누어 대책을 고찰했다. 화재 예방적 측면의 대책은 반자 내부에 가연물을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고, 화재 대응적 측면의 대책은 반자 내부에 소방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삼는다.
제시한 개선책이 모두 이루어진다면 반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고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큰 피해 없이 화재가 쉽게 진압되겠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모든 대책을 한 번에 마련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이 때문에 본고는 해결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보다도 반자 내부의 가연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반자 내부의 가연물을 최소화하는 것이 예방적 차원의 우선적인 대책이라면, 사후 관리의 차원에서 반자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화재가 정확히 화재 통계에 반영되도록 하는 개선도 이뤄질 필요가 있다. 반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의 정확한 통계가 제시되지 않아 일반인들이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화재시스템을 개선하여 반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발화지점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최소한의 해결책을 통해서 반자 내부 화재의 위험성을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Interior space of ceiling(Banja) is a structure that covers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is installed to hide various electrical wirings and pipes and to block sound and heat. In some case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the ceiling exposes pipes and ducts rather than hiding, but most buildings...
Interior space of ceiling(Banja) is a structure that covers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is installed to hide various electrical wirings and pipes and to block sound and heat. In some case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the ceiling exposes pipes and ducts rather than hiding, but most buildings are hiding them considering the design and trying to increase the value of buildings. What is problematic is the fact that the inside of the ceiling is very vulnerable to fire. Concerns have been raised across society about the danger of fires inside the ceiling after a series of large-scale fires, including the Jecheon Noble Whitney & Spa fire, the Miryang Sejong Hospital fire, and the fire of Buyeong Esia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in Namyangju, Gyeonggi-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isks of fire inside the ceiling in detail and to suggest related solutions. First of all,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ceiling, several buildings’ interior space of ceiling was field-analyzed, and statistical analyzes on the fires of the interior space of ceiling were conducted using the National Fire System. At the same time, a legal analysis was conducted on building materials used inside the ceiling.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re was no legal restriction on the use of combustible materials inside the ceiling, so combustible materials were widely used. After that, representative fire cases that led to large-scale fires due to fires inside the ceil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e c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uses of the fire inside the ceiling were mainly electrical factors and careless factors, and that if the inside space of ceiling was damaged and the flame came down and explosive combustion is proceeded, it could spread to large fires. In many cases, combustibles are piled up inside the ceiling, and in particular,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large amount of toxic gas has been generated at fire cases where combustible styrofoam is attached as an insulation, resulting in a number of casualties. Finally, the change in the amount of smoke according to each scenarios presented through fire simulation assuming that a fire occured inside the ceiling was visually and numerically analyzed. Through this simulations, the risk of fire inside the ceiling was re-examined, and how the risk is decreased when the interior space of ceiling was piled with imcombustible or fire fighting facilities were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Based on the above research, it is difficult to regularly inspect the inside of the ceiling and detect it quickly at the fire situation, so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problem of large-scale fires because it does not prevent combustibles inside the ceiling from burning rapidly. Even when a fire is recognized, a problem is also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evacuate because it is not easy to access the firing point, making it impossible to initial extinguish. As a solution, it can be considered by dividing it into fire prevention and fire fighting aspects. The main focus is on reducing combustibles inside the ceiling, and to install fire fighting facilities inside the ceiling.
If all the proposed improvements are made, there will be actually no risk at all of a fire occurring inside the ceiling, and even if a fire occurs, the fire will be easily extinguished without much damage, but it will be difficult to come up with all solutons at once due to economic problems. For this reason, this paper prioritizes solutions.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s, above all, minimizing combustibles inside the ceiling.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to ensure that fires occurring inside the ceiling are accurately reflected in fire statistics in terms of follow-up management.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general public is not aware of the risk of fire inside the ceiling because accurate statistics of the fire inside the ceiling are not presented. In Conclusion,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National Fire System so that fires generated inside the ceiling can be classified as ignition points. These minimal solutions will solve a large part of the risk of fire inside the ceiling.
Interior space of ceiling(Banja) is a structure that covers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is installed to hide various electrical wirings and pipes and to block sound and heat. In some case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the ceiling exposes pipes and ducts rather than hiding, but most buildings are hiding them considering the design and trying to increase the value of buildings. What is problematic is the fact that the inside of the ceiling is very vulnerable to fire. Concerns have been raised across society about the danger of fires inside the ceiling after a series of large-scale fires, including the Jecheon Noble Whitney & Spa fire, the Miryang Sejong Hospital fire, and the fire of Buyeong Esia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in Namyangju, Gyeonggi-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isks of fire inside the ceiling in detail and to suggest related solutions. First of all,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ceiling, several buildings’ interior space of ceiling was field-analyzed, and statistical analyzes on the fires of the interior space of ceiling were conducted using the National Fire System. At the same time, a legal analysis was conducted on building materials used inside the ceiling.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re was no legal restriction on the use of combustible materials inside the ceiling, so combustible materials were widely used. After that, representative fire cases that led to large-scale fires due to fires inside the ceil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e c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uses of the fire inside the ceiling were mainly electrical factors and careless factors, and that if the inside space of ceiling was damaged and the flame came down and explosive combustion is proceeded, it could spread to large fires. In many cases, combustibles are piled up inside the ceiling, and in particular,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large amount of toxic gas has been generated at fire cases where combustible styrofoam is attached as an insulation, resulting in a number of casualties. Finally, the change in the amount of smoke according to each scenarios presented through fire simulation assuming that a fire occured inside the ceiling was visually and numerically analyzed. Through this simulations, the risk of fire inside the ceiling was re-examined, and how the risk is decreased when the interior space of ceiling was piled with imcombustible or fire fighting facilities were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Based on the above research, it is difficult to regularly inspect the inside of the ceiling and detect it quickly at the fire situation, so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problem of large-scale fires because it does not prevent combustibles inside the ceiling from burning rapidly. Even when a fire is recognized, a problem is also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evacuate because it is not easy to access the firing point, making it impossible to initial extinguish. As a solution, it can be considered by dividing it into fire prevention and fire fighting aspects. The main focus is on reducing combustibles inside the ceiling, and to install fire fighting facilities inside the ceiling.
If all the proposed improvements are made, there will be actually no risk at all of a fire occurring inside the ceiling, and even if a fire occurs, the fire will be easily extinguished without much damage, but it will be difficult to come up with all solutons at once due to economic problems. For this reason, this paper prioritizes solutions.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s, above all, minimizing combustibles inside the ceiling.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to ensure that fires occurring inside the ceiling are accurately reflected in fire statistics in terms of follow-up management.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general public is not aware of the risk of fire inside the ceiling because accurate statistics of the fire inside the ceiling are not presented. In Conclusion,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National Fire System so that fires generated inside the ceiling can be classified as ignition points. These minimal solutions will solve a large part of the risk of fire inside the ceil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