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방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한 목재 가연물의 CO 및 Soot Yields
CO and Soot Yields of Wood Combustibles for a Kitchen Fire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1, 2019년, pp.76 - 84  

문선여 (대전대학교 대학원 방재학과) ,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김성찬 (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능위주설계(PBD)의 주방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해 요구되는 목재 가연물의 COSoot yields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방 콘 칼로리미터를 활용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싱크장 제작에 널리 사용되는 MDF와 PB를 대상으로 함수율, 표면 가공처리 방식 및 색상에 따라 총 8가지의 시편이 검토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일 두께의 시편이라도 표면 가공처리 방법에 따라 깊이 방향으로의 화재확산과 관련된 열적 관통시간에 상당한 변화가 발생됨이 확인되었다. MDF와 PB series의 CO yield는 유염 연소 구간에서 연소 모드별 그리고 표면 가공처리 방식에 따라 큰 변화가 없다. 그러나 유염 연소모드에 비해 훈소 모드에서는 약 10배의 높은 $y_{CO}$가 측정되었다. 반면에 Soot yield는 연소 모드와 표면 가공처리 방식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유염 연소모드와 표면이 가공 처리된 시편에서 보다 높은 $y_{soot}$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PBD의 주방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측정된 MDF와 PB의 $y_{CO}$$y_{soot}$ 적용 방안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perimental studies using an open cone calorimeter were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 and soot yields of wood combustibles required for a kitchen fire simulation of PBD. A total of eight specimens were examined for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nd particle board (PB), which are used...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방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해 요구되는 MDF와 PB를 대상으로 CO 및 Soot yields의 DB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ISO 5660-1 기준에 근거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제 주방 가구에 적용되고 있는 표면 가공처리 된 다양한 MDF와 PB Series가 검토되었다.

가설 설정

  • 특히 하이그로시의 표면 색상이 다른 HGW와 HGB 결과가 매우 동일하다는 것은, 본 실험에서 적용된 높은 열유속 조건(50 kW/m2)에서 표면 방사율이 미치는 효과가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PB Series (Figure 4(b))를 살펴보면, Dried PB, PB 그리고 LPM의 경향은 MDF Series의 질량 감소율과 유사하다. 그러나 시트지가 부착된 FW와 FB는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PB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능위주설계란?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는 기존의 획일적인 법규위주설계(Prescriptive-based design)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특정 소방대상물의 다양한 화재 환경을 고려한 공학기반의 화재안전 성능평가 기법이다. 최근 5년간(2011년 8월~2016년 3월) 국내 PBD 시행 현황을 살펴보면(1), PBD가 시행된 건축물 중에 복합용도 건축물이 85%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5년간의 국내 PBD 보고서에서 화재 안전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인자의 순서는?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안전성 평가는 허용피난시간(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과 요구피난시간(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의 비교를 통해 수행된다. 최근 5년간의 국내 PBD 보고서에서 화재 안전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가시도 》온도 ≥ CO의 순서를 보인다(3,4). 따라서 화재성장곡선과 더불어 CO 및 Soot yields의 입력인자 정확성은 PBD 결과의 신뢰성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인자라 할 수 있다.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과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PB)의 특징과 사용되는 위치는? 대부분의 주방 가구에는 원목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파쇄편이나 절삭편 등의 폐 조각(또는 톱밥 등)을 합성수지 접착제와 함께 고온-고압으로 압착 가공된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과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PB)가 널리 사용된다. 참고로 입자가 작아 단단하게 결합되어 강도가 높은 MDF는 싱크장의 문에 활용되고, 비교적 입자가 커서 강도가 약한 PB는 내부 몸체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습기에 대한 저항력, 내구성, 광택 및 외관(Appearance)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도료 및 시트지를 활용하여 표면이 가공 처리된 MDF와 PB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H. An, S. Y. Mun, I. H. Ryu, J. H. Choi and C. H. Hwang,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omestic PBD (Performance 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Fire Scenario and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2, No. 5, pp. 32-40 (2017). 

  2. K. B.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6): Technical Reference Guide", NIST SP 1018-1 6th edition,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16). 

  3. H. Y. Jang and C. H. Hwang, "Revision of the Input Parameters for the Prediction Models of Smoke Detectors Based on the FD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2, pp. 44-51 (2017). 

  4. J. H. Choi, S. Y. Mun, C. H. Hwang and S. H. Park, "Influence of the Dimensionless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on Visibility for the Evacuation", Proceedings of 2018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121-122 (2018). 

  5. P. J. DiNenno, D. Drysdale, C. L. Beyler, W. D. Walton, L. P. Richard, J. R. Hall and J. M. Watts, "SFPE Hand 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Third Edi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2002). 

  6. A. Tewarson, "Generationof Heat and Chemical Compounds in Fire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Section 3, Chapter 4, NFPA, US (2002). 

  7. B. W. Shin, Y. H. Song, D. H. Rie and K. S. Chung, "A Study on the Analysis of Smoke Density Characteristics for Wood-Plastic Composit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5, No. 3, pp. 119-124 (2011). 

  8. J. B. Kim, Y. J. Park and S. Y. Lee, "Star Building Materials Study on Wood Structur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5, pp. 60-66 (2016). 

  9. T. Y. Woo, E. Jin and Y. J. Chung, "A Study on the Heat Hazard Assessment of Building Wood",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2, No. 5, pp. 6-14 (2018). 

  10. ISO 5660-1, "Rate of Heat Release of Building Products (Cone Calorimeter)",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92). 

  11. S. C. Kim and D. G. Nam, "Fire Characteristics of Flaming and Smoldering Combustion of Wood Combustibles Considering Thicknes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4, pp. 67-72 (2015). 

  12. V. Babrauskas, W. H. Twilley, M. L. Janssens and S. Yusa, "A Cone Calorimeter for Controlled- Atmosphere Studies", Journal of Fire and Materials, Vol. 16, pp. 37-43 (1992). 

  13. J. H. Cho,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s in Simulated Fire Environment", Master Thesis, Dept.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Daejeon University (2016). 

  14. B. J. Kim, "Study on Ignition Characteristics of Solid Flammables Using Open and Controlled Atmosphere Cone Calorimeter", Master Thesis, Dept.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Daejeon University (2017). 

  15. J. C. Walker, "Primary Wood Processing : Principles and Practice", Springer & Business Media (2006). 

  16. K. K-Hoinghaus and J. B. Jeffries, "Applied Combustion Diagnostics", Combustion: An International Series, Taylor & Francis, New York (2002). 

  17. G. W. Mulholland, "Smoke Production and Propertie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Section 2, Chapter 13, NFPA, US (2002). 

  18. K. N. Palmer, "Smoldering Combustion in Dusts and Fibrous Materials", Combustion and Flame, Vol. 1, No. 2, pp. 129-154 (19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