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30-40대 비혼여성들과 반려동물과의 정서적 관계 경험을 질적연 구방법을 통해 관찰하여 이를 토대로 비혼여성들을 위한 상담 및 목회적 돌봄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반려견이나 반려묘를 기르는 30-40대 비혼여성 8명을 선정 하여 면담 혹은 비대면(Zoom)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성, 공간성, ...
본 연구는 30-40대 비혼여성들과 반려동물과의 정서적 관계 경험을 질적연 구방법을 통해 관찰하여 이를 토대로 비혼여성들을 위한 상담 및 목회적 돌봄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반려견이나 반려묘를 기르는 30-40대 비혼여성 8명을 선정 하여 면담 혹은 비대면(Zoom)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신체성의 4개의 실존체와 더불어‘젊음과 나이 듦의 경계선’,‘성가심이 사랑이다.’,‘홈(home)과 같은 존재’,‘너와 나’,‘또 하나의 가족’,‘비혼과 결혼의 기로에서’,‘카르페 디엠(Carpe Di em)’,‘만남과 이별’이라는 8개의 중심주제가 드러났다. 8명의 비혼여성 연구참여자들과 인터뷰를 하면서 발견한 것은 반려동물과 맺는 심리적·정서적 관계 경험은 그들이 어머니와 맺는‘정서적 환경’또는 ‘모성적 환경’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참여자들은 반려동물이 사람들과의 관계에 정서적인 연결고리가 된다는 사실에 대부분 동의하였다. 그러나 일부 참여자는 반려동물로만으로는 채울 수 없는 정서적인 빈자리가 있다고 하였 다. 우리 사회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30-40대 비혼여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에 대한 이해와 30-40대 비혼여성들의 정서를 고려한 상담적 접근과 이들을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근거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 vi -따라서 본 연구는 성서와 Andrew Linzey의 동물신학적 관점에서 반려동물 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30-40대 비혼여성들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서 애착이론과 그와 관련된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하였다. 또한 반려동물의 접촉 위안에 대해 Anzieu의 피부자아이론(Le Moi-peau)을 통해 관찰하였다. 마지막 으로 Miller-McLemore의‘살아있는 인간 망’을 통해 30-40대 비혼여성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관계적 상황을 조망하고 성찰하여 그들을 어떻게 목회 적으로 돌볼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상담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30-40대 비혼여성들의 정서적 관계 경험과 의 미를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노인이나 아동, 청소년에게 반려동물이 미치는 긍정적인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나 반려동물을 상실함으로 인한 애도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반려동물과의 관계 속에 감추어 있는 30-40대 비혼여성들의 정서적·심리적 경험을 연구하고자 한 것에 의미가 있었다. 또한 비혼여성이 경험하는 반려동물과의 정서적 경험이 다양한 관계의 축을 이루는 안전기지(s ecure base)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서와 동물신학적 관점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이해를 살펴봄으로 써 우리 사회에 만연한 동물 학대 및 유기동물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 대해 신 학적으로 성찰하고 조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30-40대 비혼여 성들의 정서에 있어서 반려동물이 상당한 상담자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상담자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 을 갖게 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COVID-19상황으로 인 해 직접 대면이 아닌 Zoom이라는 영상 도구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기 에 연구자들을 대면했을 때 느끼는 표정, 느낌, 정서 등의 심층적 탐구에 한계 가 있었음을 밝혀둔다.본 연구자는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한 30-40대 비혼여성들에게 반려동물이 정서적 인 면에서 좋은 상담자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상담자로서 반려동물의 역할과 한계 및 인간 상담자와의 비교 연구도 후속 연 구과제로 필요함을 제언한다. 둘째,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30-40대 비혼 남성들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비혼 남성들의 심리적, 정서적 관계 경험을 연구하여 비교해보는 것도 유익한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최근에는 COVID-19 상황 속에서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반려식물(pet plant)을 기르는 사람들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30-40대 비혼여성이라 할지라 도 개방적인 성향의 사람과 폐쇄적인 성향의 사람이 겪는 COVID-19 상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비대면 시대에 반려식물이나 반려동물을 통해 얻는 안정 감과 위로, 접촉위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유기견을 기르는 비혼여성들의 애착유형에 대한 연구도 비혼여성들의 정서를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다섯째, 연구를 진행하면서 반려묘와 반려견의 애착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반려견을 기르는 비혼여성과 반려묘를 기르는 비혼여성의 정서 또는 애착경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0-40대 비혼여성들과 반려동물과의 정서적 관계 경험을 질적연 구방법을 통해 관찰하여 이를 토대로 비혼여성들을 위한 상담 및 목회적 돌봄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반려견이나 반려묘를 기르는 30-40대 비혼여성 8명을 선정 하여 면담 혹은 비대면(Zoom)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신체성의 4개의 실존체와 더불어‘젊음과 나이 듦의 경계선’,‘성가심이 사랑이다.’,‘홈(home)과 같은 존재’,‘너와 나’,‘또 하나의 가족’,‘비혼과 결혼의 기로에서’,‘카르페 디엠(Carpe Di em)’,‘만남과 이별’이라는 8개의 중심주제가 드러났다. 8명의 비혼여성 연구참여자들과 인터뷰를 하면서 발견한 것은 반려동물과 맺는 심리적·정서적 관계 경험은 그들이 어머니와 맺는‘정서적 환경’또는 ‘모성적 환경’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참여자들은 반려동물이 사람들과의 관계에 정서적인 연결고리가 된다는 사실에 대부분 동의하였다. 그러나 일부 참여자는 반려동물로만으로는 채울 수 없는 정서적인 빈자리가 있다고 하였 다. 우리 사회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30-40대 비혼여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에 대한 이해와 30-40대 비혼여성들의 정서를 고려한 상담적 접근과 이들을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근거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 vi -따라서 본 연구는 성서와 Andrew Linzey의 동물신학적 관점에서 반려동물 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30-40대 비혼여성들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서 애착이론과 그와 관련된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하였다. 또한 반려동물의 접촉 위안에 대해 Anzieu의 피부자아이론(Le Moi-peau)을 통해 관찰하였다. 마지막 으로 Miller-McLemore의‘살아있는 인간 망’을 통해 30-40대 비혼여성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관계적 상황을 조망하고 성찰하여 그들을 어떻게 목회 적으로 돌볼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상담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30-40대 비혼여성들의 정서적 관계 경험과 의 미를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노인이나 아동, 청소년에게 반려동물이 미치는 긍정적인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나 반려동물을 상실함으로 인한 애도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반려동물과의 관계 속에 감추어 있는 30-40대 비혼여성들의 정서적·심리적 경험을 연구하고자 한 것에 의미가 있었다. 또한 비혼여성이 경험하는 반려동물과의 정서적 경험이 다양한 관계의 축을 이루는 안전기지(s ecure base)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서와 동물신학적 관점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이해를 살펴봄으로 써 우리 사회에 만연한 동물 학대 및 유기동물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 대해 신 학적으로 성찰하고 조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30-40대 비혼여 성들의 정서에 있어서 반려동물이 상당한 상담자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상담자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 을 갖게 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COVID-19상황으로 인 해 직접 대면이 아닌 Zoom이라는 영상 도구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기 에 연구자들을 대면했을 때 느끼는 표정, 느낌, 정서 등의 심층적 탐구에 한계 가 있었음을 밝혀둔다.본 연구자는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한 30-40대 비혼여성들에게 반려동물이 정서적 인 면에서 좋은 상담자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상담자로서 반려동물의 역할과 한계 및 인간 상담자와의 비교 연구도 후속 연 구과제로 필요함을 제언한다. 둘째,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30-40대 비혼 남성들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비혼 남성들의 심리적, 정서적 관계 경험을 연구하여 비교해보는 것도 유익한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최근에는 COVID-19 상황 속에서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반려식물(pet plant)을 기르는 사람들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30-40대 비혼여성이라 할지라 도 개방적인 성향의 사람과 폐쇄적인 성향의 사람이 겪는 COVID-19 상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비대면 시대에 반려식물이나 반려동물을 통해 얻는 안정 감과 위로, 접촉위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유기견을 기르는 비혼여성들의 애착유형에 대한 연구도 비혼여성들의 정서를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다섯째, 연구를 진행하면서 반려묘와 반려견의 애착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반려견을 기르는 비혼여성과 반려묘를 기르는 비혼여성의 정서 또는 애착경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emotional relationship experience between unmarried w omen and pets in their 30s and 40s was observed through a qualitative res earch method, and based on this,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strategies for unmarried women were presented. To this end, eight unmarried women in 30...
In this study, the emotional relationship experience between unmarried w omen and pets in their 30s and 40s was observed through a qualitative res earch method, and based on this,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strategies for unmarried women were presented. To this end, eight unmarried women in 30s and 40s who currently raise dogs or cats were selected for interviews, and Max Van Manen's hermeneut 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as applied. Van Manen's experienced body, experienced relationships and time and e xperienced spatiality were analyzed. The result revealed eight central theme s. These are "Borderline between youth and age," "Bother is love," "Home- like beings," "You and I," "Another family," "At the crossroads between m arriage and unmarriage," and "Carpe Diem." What I discovered during interviews with eight unmarried women researc h participants was tha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lationship experie nce with pets was related to the "emotional environment" or "motherly envi - 258 -ronment" they had with their mother.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greed that pets are an emotional link to relationships with people. Howeve r, some participants said that there are emotional vacancies that cannot be f illed with pets alone. In our society, the number of unmarried women in th eir 30s and 40s raising pet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Howeve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pets, a counseling approach that considers the emo tions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and an empir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m. Therefore, this study was based on Bible and animal theology for underst anding companion animals, and attachment theory was applied as a theoreti cal background for the emotions of unmarried women in 30s and 40s. In a ddition, the contact comfort given by pets was observed through Anzieu's s kin self-iron. Finally, through Mclemore's living human relations network, a specific counseling strategy on how to care for unmarried women in 30s a nd 40s was presented by viewing and reflecting on the overall context surr ounding them.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while analyzing the emotional r elationship experiences and meanings of unmarried women in 30s and 40s raising pets.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positive emotional effect s of companion animals on the elderly, children, and adolescents, or mourni ng studies due to the loss of companion animals. However,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study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 periences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hidden in their relation ship with their pe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experience s of unmarried women with pets became a secure base that forms the axis of various relationships. This study attempted to theological reflection and illuminate the perception of animal abuse and abandoned animals prevalent in our society by exam ining the understanding of companion anima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and Animal theology. This study found that pets play a significant role as counselors in the e motions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Therefore, it raised the question of how the role of counselors should change in the future. Since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involuntary unmarried women,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 emotions experienced by voluntary unmar ried women in relation to pets may diffe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i nce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hristians, it cannot be generalized as "emotional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pets of unmarried women in thei r 30s and 40s" in that the experiences of women with different beliefs or values were not reflected. In conducting the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 ed using a video tool called ‘Zoom cloud meetings’ rather than face-to-fa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so there was a limit to in-depth e xploration of facial expressions, feelings, and emotions felt when faced with researchers. This intends to propose the following points for subsequent research. First, it could be seen that pets play a good role as counselors in emotio nal terms for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due to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Therefore, I think that the role and limitations of compani on animals as counselors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human counselors w ill be a good study in the future. Second, unmarried men in 30s and 40s living with pets are also increasi ng. Therefore, it will be useful to study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 lationship experiences of them with unmarried men. Third, a study on the attachment types of unmarried women raising aban doned dogs will also be a good study.Fourth, while conducting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attac hment between cats and dogs was different.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ar e unmarried women raising cats different from unmarried women raising do gs, but also the emotions of dogs and cats are different. Therefore, it is co nsidered that a study on the emotional or attachment experience of unmarri ed women comparing dogs and cats will be good.
In this study, the emotional relationship experience between unmarried w omen and pets in their 30s and 40s was observed through a qualitative res earch method, and based on this,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strategies for unmarried women were presented. To this end, eight unmarried women in 30s and 40s who currently raise dogs or cats were selected for interviews, and Max Van Manen's hermeneut 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as applied. Van Manen's experienced body, experienced relationships and time and e xperienced spatiality were analyzed. The result revealed eight central theme s. These are "Borderline between youth and age," "Bother is love," "Home- like beings," "You and I," "Another family," "At the crossroads between m arriage and unmarriage," and "Carpe Diem." What I discovered during interviews with eight unmarried women researc h participants was tha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lationship experie nce with pets was related to the "emotional environment" or "motherly envi - 258 -ronment" they had with their mother.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greed that pets are an emotional link to relationships with people. Howeve r, some participants said that there are emotional vacancies that cannot be f illed with pets alone. In our society, the number of unmarried women in th eir 30s and 40s raising pet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Howeve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pets, a counseling approach that considers the emo tions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and an empir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m. Therefore, this study was based on Bible and animal theology for underst anding companion animals, and attachment theory was applied as a theoreti cal background for the emotions of unmarried women in 30s and 40s. In a ddition, the contact comfort given by pets was observed through Anzieu's s kin self-iron. Finally, through Mclemore's living human relations network, a specific counseling strategy on how to care for unmarried women in 30s a nd 40s was presented by viewing and reflecting on the overall context surr ounding them.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while analyzing the emotional r elationship experiences and meanings of unmarried women in 30s and 40s raising pets.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positive emotional effect s of companion animals on the elderly, children, and adolescents, or mourni ng studies due to the loss of companion animals. However,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study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 periences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hidden in their relation ship with their pe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experience s of unmarried women with pets became a secure base that forms the axis of various relationships. This study attempted to theological reflection and illuminate the perception of animal abuse and abandoned animals prevalent in our society by exam ining the understanding of companion anima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and Animal theology. This study found that pets play a significant role as counselors in the e motions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Therefore, it raised the question of how the role of counselors should change in the future. Since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involuntary unmarried women,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 emotions experienced by voluntary unmar ried women in relation to pets may diffe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i nce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hristians, it cannot be generalized as "emotional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pets of unmarried women in thei r 30s and 40s" in that the experiences of women with different beliefs or values were not reflected. In conducting the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 ed using a video tool called ‘Zoom cloud meetings’ rather than face-to-fa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so there was a limit to in-depth e xploration of facial expressions, feelings, and emotions felt when faced with researchers. This intends to propose the following points for subsequent research. First, it could be seen that pets play a good role as counselors in emotio nal terms for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due to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Therefore, I think that the role and limitations of compani on animals as counselors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human counselors w ill be a good study in the future. Second, unmarried men in 30s and 40s living with pets are also increasi ng. Therefore, it will be useful to study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 lationship experiences of them with unmarried men. Third, a study on the attachment types of unmarried women raising aban doned dogs will also be a good study.Fourth, while conducting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attac hment between cats and dogs was different.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ar e unmarried women raising cats different from unmarried women raising do gs, but also the emotions of dogs and cats are different. Therefore, it is co nsidered that a study on the emotional or attachment experience of unmarri ed women comparing dogs and cats will be good.
Keyword
#30-40대 비혼여성 정서적 관계 반려동물 해석학적 현상학 애착이론 살아있는 인간 망 피부자아 동물신학
학위논문 정보
저자
마은주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상담코칭학전공
지도교수
유영권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viii, 261 p.
키워드
30-40대 비혼여성 정서적 관계 반려동물 해석학적 현상학 애착이론 살아있는 인간 망 피부자아 동물신학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