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노인요양시설에서 적용 가능한 안전관리활동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통신기술 기반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신체, 안전, 감염, 사회·정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 기기를 활용하여 근력강화, 안전예방, 감염관리, 사회·정서적 측면의 지지 활동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노인요양시설에서 적용 가능한 안전관리활동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통신기술 기반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신체, 안전, 감염, 사회·정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 기기를 활용하여 근력강화, 안전예방, 감염관리, 사회·정서적 측면의 지지 활동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Intervention mapping에 따라 각 영역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된 간호중재들을 전문가 타당도 검증 이후 구성하였다. 환자안전 공학 시스템 모델에서 주요한 핵심 개념을 차용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을 형성하고 대상자, 시설종사자, 주 보호자의 연구 대상자를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한 종속변수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합하여 고찰할 수 있는 혼합연구로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요양시설의 노인 대상자 60명과 시설종사자 108명 및 주 보호자 27명이었다. 연구 기간은 2021년 8월부터 10월까지로, K시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중 노인 대상자 60명으로부터 실험군 30명과 대조군 30명을 무작위 배정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로 시설종사자는 단일군 전후 시차설계로 주 보호자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노인 실험군에게 차시 당 30분씩, 주 4회로 총 8주간 총 960분의 기기 활용 운동과 온라인 기반 감염교육, 스마트폰 활용의 사회·정서적 중재를 제공하고, 알람센서를 탑재한 안전기기를 8주 동안 24시간 내내 적용하였다. 중재 기간 동안에 연구의 과정적 절차로 경험기반 공동설계의 단계를 적용한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개별면담을 질적연구로 진행하였다. 주요 종속변수는 노인 입소자의 보행능력, 균형감, 낙상위험 정도, 간호의존 정도, 우울과 시설종사자 측면의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피로, 직집간호시간, 환자안전문화, 팀워크, 의사소통과 주 보호자 측면의 시설만족도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서술적 통계를 이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동질성 검증과 연구가설 검증은 Paired t-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nged Ranked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대상자 측면
1) 제 1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보행능력점수가 높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12.43초에서 12.22초로 대조군이 11.39초에서 10.64초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111, p=.912) 제 1가설은 기각되었다.
2) 제 2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균형감점수가 높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5.55초에서 6.75초로 대조군이 5.07초에서 6.04초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1.106, p=.269) 제 2가설은 기각되었다.
3) 제 3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20.53점에서 20.90점으로 대조군이 21.00점에서 21.47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262, p=.793)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4) 제 4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의존 점수가 낮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3.93점에서 3.95점으로 대조군이 3.79점에서 3.79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606, p=.547) 제 4가설은 기각되었다.
5) 제 5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낙상위험 점수가 낮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38.22점에서 37.36점으로 대조군이 38.42점에서 38.52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971, p=.578) 제 5가설은 기각되었다.
6) 제 6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0.68점에서 0.71점으로 대조군이 0.68점에서 0.75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Z=-2.057, p=.040) 제 6가설은 지지되었다.
시설 종사자 및 조직 측면
7) 제 7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점수가 높을 것이다.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점수는 4.53점에서 4.54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Z=-0.025, p=.980) 제 7가설은 기각되었다.
8) 제 8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피로 점수가 낮을 것이다. 피로는 2.00점에서 4.54점으로 점수가 높아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Z=-0.025, p<.001) 제 8가설은 기각되었다. 9) 제 9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직무자율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직무자율성은 3.49점에서 3.46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1.252, p=.211) 제 9가설은 기각되었다.
10) 제 10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직무스트레스는 3.77점에서 2.80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301, p=.763) 제 10가설은 기각되었다.
11) 제 11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직무만족 점수가 높을 것이다. 직무만족은 3.77점에서 3.78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847, p=.397) 제 11가설은 기각되었다.
12) 제 12가설 : 조직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팀워크 점수가 높을 것이다. 팀워크는 4.08점에서 4.17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Z=2.038, p=.042) 제 12가설은 지지되었다.
13) 제 13가설 : 조직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의사소통 점수가 높을 것이다. 의사소통은 4.15점에서 4.34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Z=4.287, p<.001) 제 13가설은 지지되었다.
14) 제 14가설 : 조직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직접간호시간이 증가했을 것이다. 간호사의 직접간호시간은 6.23시간에서 7.13시간으로 증가하였고(Z=-3.06, p=.002), 간호조무사도 6.23시간에서 6.50시간으로 증가하였다(Z=-2.00, p=.046). 요양보호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26.87시간에서 27.13시간으로 증가하였다(Z=-1.633, p=.102). 따라서 제 14가설은 부분 지지되었다.
15) 제 15가설 : 조직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환자안전문화 점수가 높을 것이다. 환자안전문화 점수는 3.48점에서 3.72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Z=6.588, p<.001) 제 16가설은 지지되었다.
주 보호자 측면
16) 제 16가설 : 실험군의 주 보호자의 시설만족도는 프로그램 도입 이후 대조군의 주 보호자의 시 설만족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군의 주 보호자 시설만족도는 15.36점에서 15.93점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의 주 보호자 시설 만족도는 15.46에서 15.69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6.588, p<.001) 제 16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질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기술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노인 대상자는 기계에 의존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었으며, 안전감이 확보되는 것과는 별개로 자신에 대한 무력감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시설종사자 중 간호사 그룹은 프로그램이 인력공백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이 높았지만 실제로 요양보호사의 교육이나 기계 관리와 같은 업무들이 추가되어 업무 부담은 여전하다고 하였으며,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기술의 발전에 맞는 형태로 업무가 적응하고, 이에 발맞추어 대상자나 보호자들의 요구나 인식 또한 높아져 간호 관리 업무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요양보호사 그룹은 실제 대상자를 돌보는 데 있어 환자 이동이나 안전예방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처음에 비해 알람피로를 높게 느낀다고 하였으며, 장기적으로 이와 같은 기계의 인력 대치가 요양보호사의 일자리의 위협으로 다가오는 것에 대해 염려하고 있었다. 주 보호자 그룹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시설의 투자나 코로나19의 감염관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로 수용하고 있지만 비용 상승이나 신체 손상의 우려가 있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요양시설에서 정보통신기술 기반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우울 개선에 도움이 되며, 조직 내 팀워크 개선과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 형성 및 원활한 의사소통을 구축하고, 직접간호시간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노인요양시설 대상자의 심리적 개선과 시설종사자의 업무와 인식 그리고 조직 분위기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축적하여 간호 실무 적용과 확산을 위한 합리적 근거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국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활동 간호중재의 초석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추후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활용을 통해 장기간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노인요양시설에서 적용 가능한 안전관리활동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통신기술 기반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신체, 안전, 감염, 사회·정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 기기를 활용하여 근력강화, 안전예방, 감염관리, 사회·정서적 측면의 지지 활동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Intervention mapping에 따라 각 영역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된 간호중재들을 전문가 타당도 검증 이후 구성하였다. 환자안전 공학 시스템 모델에서 주요한 핵심 개념을 차용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을 형성하고 대상자, 시설종사자, 주 보호자의 연구 대상자를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한 종속변수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합하여 고찰할 수 있는 혼합연구로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요양시설의 노인 대상자 60명과 시설종사자 108명 및 주 보호자 27명이었다. 연구 기간은 2021년 8월부터 10월까지로, K시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중 노인 대상자 60명으로부터 실험군 30명과 대조군 30명을 무작위 배정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로 시설종사자는 단일군 전후 시차설계로 주 보호자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노인 실험군에게 차시 당 30분씩, 주 4회로 총 8주간 총 960분의 기기 활용 운동과 온라인 기반 감염교육, 스마트폰 활용의 사회·정서적 중재를 제공하고, 알람센서를 탑재한 안전기기를 8주 동안 24시간 내내 적용하였다. 중재 기간 동안에 연구의 과정적 절차로 경험기반 공동설계의 단계를 적용한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개별면담을 질적연구로 진행하였다. 주요 종속변수는 노인 입소자의 보행능력, 균형감, 낙상위험 정도, 간호의존 정도, 우울과 시설종사자 측면의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피로, 직집간호시간, 환자안전문화, 팀워크, 의사소통과 주 보호자 측면의 시설만족도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서술적 통계를 이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동질성 검증과 연구가설 검증은 Paired t-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nged Ranked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대상자 측면
1) 제 1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보행능력점수가 높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12.43초에서 12.22초로 대조군이 11.39초에서 10.64초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111, p=.912) 제 1가설은 기각되었다.
2) 제 2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균형감점수가 높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5.55초에서 6.75초로 대조군이 5.07초에서 6.04초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1.106, p=.269) 제 2가설은 기각되었다.
3) 제 3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20.53점에서 20.90점으로 대조군이 21.00점에서 21.47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262, p=.793)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4) 제 4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의존 점수가 낮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3.93점에서 3.95점으로 대조군이 3.79점에서 3.79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606, p=.547) 제 4가설은 기각되었다.
5) 제 5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낙상위험 점수가 낮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38.22점에서 37.36점으로 대조군이 38.42점에서 38.52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971, p=.578) 제 5가설은 기각되었다.
6) 제 6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사전검증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0.68점에서 0.71점으로 대조군이 0.68점에서 0.75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Z=-2.057, p=.040) 제 6가설은 지지되었다.
시설 종사자 및 조직 측면
7) 제 7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점수가 높을 것이다.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점수는 4.53점에서 4.54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Z=-0.025, p=.980) 제 7가설은 기각되었다.
8) 제 8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피로 점수가 낮을 것이다. 피로는 2.00점에서 4.54점으로 점수가 높아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Z=-0.025, p<.001) 제 8가설은 기각되었다. 9) 제 9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직무자율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직무자율성은 3.49점에서 3.46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1.252, p=.211) 제 9가설은 기각되었다.
10) 제 10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직무스트레스는 3.77점에서 2.80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301, p=.763) 제 10가설은 기각되었다.
11) 제 11가설 : 시설종사자들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직무만족 점수가 높을 것이다. 직무만족은 3.77점에서 3.78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0.847, p=.397) 제 11가설은 기각되었다.
12) 제 12가설 : 조직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팀워크 점수가 높을 것이다. 팀워크는 4.08점에서 4.17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Z=2.038, p=.042) 제 12가설은 지지되었다.
13) 제 13가설 : 조직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의사소통 점수가 높을 것이다. 의사소통은 4.15점에서 4.34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Z=4.287, p<.001) 제 13가설은 지지되었다.
14) 제 14가설 : 조직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직접간호시간이 증가했을 것이다. 간호사의 직접간호시간은 6.23시간에서 7.13시간으로 증가하였고(Z=-3.06, p=.002), 간호조무사도 6.23시간에서 6.50시간으로 증가하였다(Z=-2.00, p=.046). 요양보호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26.87시간에서 27.13시간으로 증가하였다(Z=-1.633, p=.102). 따라서 제 14가설은 부분 지지되었다.
15) 제 15가설 : 조직은 프로그램 이전에 비해 이후에 환자안전문화 점수가 높을 것이다. 환자안전문화 점수는 3.48점에서 3.72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Z=6.588, p<.001) 제 16가설은 지지되었다.
주 보호자 측면
16) 제 16가설 : 실험군의 주 보호자의 시설만족도는 프로그램 도입 이후 대조군의 주 보호자의 시 설만족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군의 주 보호자 시설만족도는 15.36점에서 15.93점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의 주 보호자 시설 만족도는 15.46에서 15.69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6.588, p<.001) 제 16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질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기술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노인 대상자는 기계에 의존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었으며, 안전감이 확보되는 것과는 별개로 자신에 대한 무력감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시설종사자 중 간호사 그룹은 프로그램이 인력공백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이 높았지만 실제로 요양보호사의 교육이나 기계 관리와 같은 업무들이 추가되어 업무 부담은 여전하다고 하였으며,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기술의 발전에 맞는 형태로 업무가 적응하고, 이에 발맞추어 대상자나 보호자들의 요구나 인식 또한 높아져 간호 관리 업무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요양보호사 그룹은 실제 대상자를 돌보는 데 있어 환자 이동이나 안전예방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처음에 비해 알람피로를 높게 느낀다고 하였으며, 장기적으로 이와 같은 기계의 인력 대치가 요양보호사의 일자리의 위협으로 다가오는 것에 대해 염려하고 있었다. 주 보호자 그룹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시설의 투자나 코로나19의 감염관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로 수용하고 있지만 비용 상승이나 신체 손상의 우려가 있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요양시설에서 정보통신기술 기반 안전관리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우울 개선에 도움이 되며, 조직 내 팀워크 개선과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 형성 및 원활한 의사소통을 구축하고, 직접간호시간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노인요양시설 대상자의 심리적 개선과 시설종사자의 업무와 인식 그리고 조직 분위기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축적하여 간호 실무 적용과 확산을 위한 합리적 근거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국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활동 간호중재의 초석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추후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활용을 통해 장기간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based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is study presented an empirical basis fo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I...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based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is study presented an empirical basis fo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ICT utilization programs. The program included muscle strength, safety prevention, infection control and emo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system engineering initiative for patient safety model, which is the conceptual basis of the study, a triangulation design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an experience-based co design process to verify the effects of elderly`s, facility employees and elderly`s families. Methods. From August to October 2021, 30 of the 60 elderly`s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of the control group. Intervention was applied as a time difference design before and after the inequality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a total of 960 minutes of exercise, infection education, social and emotional intervention through a total of 8 weeks, 30 minutes per hour, 4 times a week, and the application of safety devices equipped with alarm sensors lasted 24 hours a day for 8 weeks. Study was conducted, including 60 elderly`s, 108 facility employees, and 27 elderly`s familie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ICT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had lower depression afterwards than before the program, and in terms of organization, patient safety culture, teamwork, and communicatio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who were provided with the ICT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elt ambivalent about the fact that they had to rely on machines, and expressed a sense of helplessness separately from safety. In the case of facility workers, nurses had high expectations of reducing the burden of manpower gaps, but they expressed that the burden remains due to the addition of tasks such as nursing care worker education and machine management. In the case of nursing care givers, it is true that they are receiving a lot of help in the use of ICT in patient movement and safety prevention, but they felt higher alarm fatigue than at first, and were concerned about such a replacement of workers in the long ru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CT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re helpful in psychological support of subjects, positive patient safety culture formation, teamwork improvement, and smooth commun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used as a strategy to promot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it accumulates empirical grounds for applying and spreading nursing practice. Therefore, the results of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i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using domest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based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is study presented an empirical basis fo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ICT utilization programs. The program included muscle strength, safety prevention, infection control and emo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system engineering initiative for patient safety model, which is the conceptual basis of the study, a triangulation design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an experience-based co design process to verify the effects of elderly`s, facility employees and elderly`s families. Methods. From August to October 2021, 30 of the 60 elderly`s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of the control group. Intervention was applied as a time difference design before and after the inequality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a total of 960 minutes of exercise, infection education, social and emotional intervention through a total of 8 weeks, 30 minutes per hour, 4 times a week, and the application of safety devices equipped with alarm sensors lasted 24 hours a day for 8 weeks. Study was conducted, including 60 elderly`s, 108 facility employees, and 27 elderly`s familie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ICT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had lower depression afterwards than before the program, and in terms of organization, patient safety culture, teamwork, and communicatio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who were provided with the ICT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elt ambivalent about the fact that they had to rely on machines, and expressed a sense of helplessness separately from safety. In the case of facility workers, nurses had high expectations of reducing the burden of manpower gaps, but they expressed that the burden remains due to the addition of tasks such as nursing care worker education and machine management. In the case of nursing care givers, it is true that they are receiving a lot of help in the use of ICT in patient movement and safety prevention, but they felt higher alarm fatigue than at first, and were concerned about such a replacement of workers in the long ru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CT safety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re helpful in psychological support of subjects, positive patient safety culture formation, teamwork improvement, and smooth commun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used as a strategy to promot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it accumulates empirical grounds for applying and spreading nursing practice. Therefore, the results of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i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using domest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Keyword
#정보통신기술, 안전관리활동, 노인요양시설, 간호중재, 환자안전문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nursing intervention, patient safety culture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나경
학위수여기관
경희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간호학과
지도교수
황지인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xiv, 212 p.
키워드
정보통신기술, 안전관리활동, 노인요양시설, 간호중재, 환자안전문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nursing intervention, patient safety cul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