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사료섭취량과 섬유소원이 육성돈의 외관상 회장 및 전장 소화율과 후장 소실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eed allowance and fiber source on apparent ileal and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hindgut disappearance for growing pigs원문보기
사료섭취량과 섬유소원이 육성돈의 외관상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개시체중이 34.0±2.6 kg인 총 12마리의 거세수퇘지를 개체별로 대사틀에 사양하였으며, 6가지 처리 및 4기간의 6 × 4 불완전반복라틴방격법에 따라 실험구에 배치하였다. 6가지 처리는 2종류의 사료섭취량 (대사체중의 9.0% 및 4.5%)과 3가지 섬유소원으로 구성되었다. 3가지 실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와, 사탕무우잔사가 수용성섬유소원으로써, 옥수수속대가 불용성 섬유소원으로써, 각각 30% 및 15%씩 기초사료를 대체하도록 배합하여, 비슷한 수준의 불용성섬유소를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6일의 적응기간 후, 5일동안 분샘플을 채취하였다.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소,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의 외관상 전장소화율은 대사체중의 9%만큼 사료를 먹은 돼지보다, 대사체중의 4.5%만큼의 사료를 먹은 돼지에서 더 높았다 (P < 0.05).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의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소,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의 외관상전장소화율은 옥수수속대 실험사료에서보다 더 높았다 (P < 0.001). 에너지, 건물, 유기물, ...
사료섭취량과 섬유소원이 육성돈의 외관상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개시체중이 34.0±2.6 kg인 총 12마리의 거세수퇘지를 개체별로 대사틀에 사양하였으며, 6가지 처리 및 4기간의 6 × 4 불완전반복라틴방격법에 따라 실험구에 배치하였다. 6가지 처리는 2종류의 사료섭취량 (대사체중의 9.0% 및 4.5%)과 3가지 섬유소원으로 구성되었다. 3가지 실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와, 사탕무우잔사가 수용성섬유소원으로써, 옥수수속대가 불용성 섬유소원으로써, 각각 30% 및 15%씩 기초사료를 대체하도록 배합하여, 비슷한 수준의 불용성섬유소를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6일의 적응기간 후, 5일동안 분샘플을 채취하였다.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소,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의 외관상 전장소화율은 대사체중의 9%만큼 사료를 먹은 돼지보다, 대사체중의 4.5%만큼의 사료를 먹은 돼지에서 더 높았다 (P < 0.05).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의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소,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의 외관상전장소화율은 옥수수속대 실험사료에서보다 더 높았다 (P < 0.001). 에너지,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소,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의 외관상 전장소화율은 사탕무우잔사 원료사료에서 더 높았다 (P < 0.001). 하지만, 사료섭취량과 섬유소원이 에너지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상호작용은 없었다. 낮은 사료섭취량은 장내용물의 장 통과시간을 증가 (P < 0.001)시켰다. 실험 2에서는, 개시체중이 38.3±5.4 kg 인 10마리의 캐눌라가 장착된 거세수퇘지를 펜에서 사양하였으며, 5가지 처리 및 4기간의 5 × 4 반복불완전라틴방격법에 따라 실험구에 배치하였다. 5가지 처리는 기초사료와, 2종류의 사료섭취량 (대사체중의 9.0% 및 4.5%)과 2가지 섬유소원 (사탕무우잔사 및 옥수수속대)으로 구성된 2 × 2 요인배치법을 준비하였다. 3가지 실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와, 사탕무우잔사가 수용성섬유소 원으로써, 옥수수속대가 불용성섬유소원으로써, 각각 30% 및 15%씩 기초사료를 대체하도록 배합하여, 비슷한 수준의 불용성섬유소를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각 기간은 7일의 적응기간, 2일의 분 채취기간, 그리고 2일의 회장내용물 채취기간으로 구성되었다. 중성세제불용성섬유소의 외관상 회장소화율은 옥수수속대 실험사료에 비해,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에서 더 높았지만 (P < 0.001), 에너지, 건물, 유기물 및 조단백질 외관상회장소화율은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에서 더 낮았다 (P < 0.001).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불용성섬유소 및 산성세제불용성섬유소의 후장 소실율은 옥수수속대 실험사료에서보다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에서 더 높았다 (P < 0.05).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불용성섬유소 및 산성세제불용성섬유소의 후장 소실율은 옥수수속대보다, 사탕무우잔사에서 더 높았다 (P < 0.05). 결론적으로, 에너지 및 영양소의 소화율은 사료섭취수준 및 섬유소원에 따라 달랐다. 에너지 및 영양소의 후장소실율은 사탕무우잔사의 실험사료에서 더 높았다. 하지만, 사료섭취수준의 효과나 사료섭취수준과 섬유소원 간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과 섬유소원이 육성돈의 외관상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개시체중이 34.0±2.6 kg인 총 12마리의 거세수퇘지를 개체별로 대사틀에 사양하였으며, 6가지 처리 및 4기간의 6 × 4 불완전반복라틴방격법에 따라 실험구에 배치하였다. 6가지 처리는 2종류의 사료섭취량 (대사체중의 9.0% 및 4.5%)과 3가지 섬유소원으로 구성되었다. 3가지 실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와, 사탕무우잔사가 수용성섬유소원으로써, 옥수수속대가 불용성 섬유소원으로써, 각각 30% 및 15%씩 기초사료를 대체하도록 배합하여, 비슷한 수준의 불용성섬유소를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6일의 적응기간 후, 5일동안 분샘플을 채취하였다.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소,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의 외관상 전장소화율은 대사체중의 9%만큼 사료를 먹은 돼지보다, 대사체중의 4.5%만큼의 사료를 먹은 돼지에서 더 높았다 (P < 0.05).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의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소,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의 외관상전장소화율은 옥수수속대 실험사료에서보다 더 높았다 (P < 0.001). 에너지,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소,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의 외관상 전장소화율은 사탕무우잔사 원료사료에서 더 높았다 (P < 0.001). 하지만, 사료섭취량과 섬유소원이 에너지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상호작용은 없었다. 낮은 사료섭취량은 장내용물의 장 통과시간을 증가 (P < 0.001)시켰다. 실험 2에서는, 개시체중이 38.3±5.4 kg 인 10마리의 캐눌라가 장착된 거세수퇘지를 펜에서 사양하였으며, 5가지 처리 및 4기간의 5 × 4 반복불완전라틴방격법에 따라 실험구에 배치하였다. 5가지 처리는 기초사료와, 2종류의 사료섭취량 (대사체중의 9.0% 및 4.5%)과 2가지 섬유소원 (사탕무우잔사 및 옥수수속대)으로 구성된 2 × 2 요인배치법을 준비하였다. 3가지 실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와, 사탕무우잔사가 수용성섬유소 원으로써, 옥수수속대가 불용성섬유소원으로써, 각각 30% 및 15%씩 기초사료를 대체하도록 배합하여, 비슷한 수준의 불용성섬유소를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각 기간은 7일의 적응기간, 2일의 분 채취기간, 그리고 2일의 회장내용물 채취기간으로 구성되었다. 중성세제불용성섬유소의 외관상 회장소화율은 옥수수속대 실험사료에 비해,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에서 더 높았지만 (P < 0.001), 에너지, 건물, 유기물 및 조단백질 외관상회장소화율은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에서 더 낮았다 (P < 0.001).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불용성섬유소 및 산성세제불용성섬유소의 후장 소실율은 옥수수속대 실험사료에서보다 사탕무우잔사 실험사료에서 더 높았다 (P < 0.05). 에너지, 건물, 유기물, 중성세제불용성섬유소 및 산성세제불용성섬유소의 후장 소실율은 옥수수속대보다, 사탕무우잔사에서 더 높았다 (P < 0.05). 결론적으로, 에너지 및 영양소의 소화율은 사료섭취수준 및 섬유소원에 따라 달랐다. 에너지 및 영양소의 후장소실율은 사탕무우잔사의 실험사료에서 더 높았다. 하지만, 사료섭취수준의 효과나 사료섭취수준과 섬유소원 간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 intake (FI) and fiber source on digestibility of energy and nutrients in growing pigs. In Exp. 1, twelve barrow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34.0 ± 2.6 kg were allotted to a replicated incomplete 6 × 4 Latin square design with 6...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 intake (FI) and fiber source on digestibility of energy and nutrients in growing pigs. In Exp. 1, twelve barrow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34.0 ± 2.6 kg were allotted to a replicated incomplete 6 × 4 Latin square design with 6 treatments and 4 periods. The 6 treatments were consisted of a 2 × 3 factorial treatment arrangement with 2 amounts of FI (9.0 and 4.5% × BW0.75) and 3 fiber sources. Three diets were 1) a corn-soybean meal-based basal diet (BD), 2) a diet replacing 30% of corn and soybean meal in BD with sugar beet pulp (SBP) as a source of soluble dietary fiber, and 3) a diet replacing 15% of corn and soybean meal in BD with corn cobs as a source of insoluble dietary fiber (IDF) to obtain a similar IDF concentration as in the SBP diet. Following a 6-d adaptation, feces were collected for 5 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energy,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in diets was greater (P < 0.05) for pigs fed at 4.5% of BW0.75 compared with those fed at 9.0% of BW0.75. The ATTD of energy, DM, OM, NDF, and ADF in SBP diet was greater (P < 0.01) than that in the corn cob diet. The ATTD of energy, DM, OM, crude protein (CP), NDF, and ADF was greater (P < 0.01) in SBP.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FI and fiber source on energy and nutrient digestibility. Low FI increased (P < 0.01) the digesta passage time. In Exp. 2, ten canulated barrows with initial BW of 38.3 ± 5.4 kg allotted to a replicated incomplete 5 × 4 Latin square design with 5 treatments and 4 periods. A BD and 4 treatments in a 2 × 2 factorial treatment arrangement with 2 amounts of FI (9.0 and 4.5% × BW0.75) and 2 fiber sources (SBP and corn cobs) were prepared. Each period consisted of a 7-d adaptation, a 2-d fecal collection, and a 2-d ileal collection.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of NDF in SBP diet was greater (P < 0.001) than that in corn cob diet whereas, the AID of energy, DM, OM, and CP in SBP diet was less (P < 0.001) than that in corn cob diet. Hindgut disappearance of energy, DM, OM, NDF, and ADF in SBP diet was greater (P < 0.05) than that in corn cob diet. Hindgut disappearance of energy, DM, OM, NDF, and ADF in SBP was greater (P < 0.05) that in corn cobs. Overall, the digestibility of energy and nutrien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eed intake level and fiber sources. Hindgut disappearance of energy and nutrients was greater in sugar beet pulp diet. However, the effect of feed intake level or the interaction between feed intake level and fiber source was not observed.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 intake (FI) and fiber source on digestibility of energy and nutrients in growing pigs. In Exp. 1, twelve barrow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34.0 ± 2.6 kg were allotted to a replicated incomplete 6 × 4 Latin square design with 6 treatments and 4 periods. The 6 treatments were consisted of a 2 × 3 factorial treatment arrangement with 2 amounts of FI (9.0 and 4.5% × BW0.75) and 3 fiber sources. Three diets were 1) a corn-soybean meal-based basal diet (BD), 2) a diet replacing 30% of corn and soybean meal in BD with sugar beet pulp (SBP) as a source of soluble dietary fiber, and 3) a diet replacing 15% of corn and soybean meal in BD with corn cobs as a source of insoluble dietary fiber (IDF) to obtain a similar IDF concentration as in the SBP diet. Following a 6-d adaptation, feces were collected for 5 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energy,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in diets was greater (P < 0.05) for pigs fed at 4.5% of BW0.75 compared with those fed at 9.0% of BW0.75. The ATTD of energy, DM, OM, NDF, and ADF in SBP diet was greater (P < 0.01) than that in the corn cob diet. The ATTD of energy, DM, OM, crude protein (CP), NDF, and ADF was greater (P < 0.01) in SBP.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FI and fiber source on energy and nutrient digestibility. Low FI increased (P < 0.01) the digesta passage time. In Exp. 2, ten canulated barrows with initial BW of 38.3 ± 5.4 kg allotted to a replicated incomplete 5 × 4 Latin square design with 5 treatments and 4 periods. A BD and 4 treatments in a 2 × 2 factorial treatment arrangement with 2 amounts of FI (9.0 and 4.5% × BW0.75) and 2 fiber sources (SBP and corn cobs) were prepared. Each period consisted of a 7-d adaptation, a 2-d fecal collection, and a 2-d ileal collection.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of NDF in SBP diet was greater (P < 0.001) than that in corn cob diet whereas, the AID of energy, DM, OM, and CP in SBP diet was less (P < 0.001) than that in corn cob diet. Hindgut disappearance of energy, DM, OM, NDF, and ADF in SBP diet was greater (P < 0.05) than that in corn cob diet. Hindgut disappearance of energy, DM, OM, NDF, and ADF in SBP was greater (P < 0.05) that in corn cobs. Overall, the digestibility of energy and nutrien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eed intake level and fiber sources. Hindgut disappearance of energy and nutrients was greater in sugar beet pulp diet. However, the effect of feed intake level or the interaction between feed intake level and fiber source was not observ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