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자유놀이의 의미와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심도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 개선 및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자유놀이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자유놀이 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에서 근무하며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도입된 이후 학급을 맡은 담임 교사 7명을 대상으로 개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절차는 2021년 4월부터 10월까지 예비조사와 본 조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자유놀이의 의미와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심도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 개선 및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자유놀이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자유놀이 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에서 근무하며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도입된 이후 학급을 맡은 담임 교사 7명을 대상으로 개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절차는 2021년 4월부터 10월까지 예비조사와 본 조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는 자유놀이의 의미를 ‘놀이의 주인은 유아’, ‘놀이 주제 설정의 새로운 기회’, ‘새로운 교사의 역할 경험’으로 범주화되었다. 첫째, 자유놀이는 유아 주도적 놀이의 실현으로 유아가 놀이의 주인이 되어 흥미와 관심, 경험을 바탕으로 놀이를 이끌어가고 놀이에 필요한 약속, 공간 등을 스스로 만들어나가고 교사는 이를 지원하는 공동놀이자의 역할로 참여하였다. 둘째, 자유놀이는 놀이 주제 설정의 새로운 기회로 교사는 유아의 자유놀이 관찰과 기록을 바탕으로 유아의 현재 흥미, 관심사를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통의 놀이 주제를 설정하여 놀이가 유지 및 확장될 수 있도록 환경적, 자료적 지원을 하였다. 셋째, 자유놀이는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놀이로 이해하며 유아와 교사가 동등한 입장에서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였다. 또한, 교사는 공동 놀이자로서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고 관찰하며 놀이에 필요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나갔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자유놀이 운영에 대한 인식을 ‘교사 개인 측면의 어려움’, ‘교실 운영 측면의 어려움’, ‘기관 측면의 어려움’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첫째, 교사 개인 측면의 어려움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로서의 역할 딜레마, 이전 교육과정의 편견과 습관이 존재하고 교사에게 주어지는 과중한 행정업무가 나타났다. 둘째, 교실 운영 측면의 어려움은 놀이 주제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유아, 높은 교사 대 유아 비율, 소외되는 유아, 놀이에 필요한 자료 부족이 나타났다. 셋째, 기관 측면의 어려움은 유치원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분위기에 따른 교육과정 통일성, 기관 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한 놀이 한계, 사후 놀이보고서 운영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자유놀이의 의미와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심도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 개선 및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자유놀이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자유놀이 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에서 근무하며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도입된 이후 학급을 맡은 담임 교사 7명을 대상으로 개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절차는 2021년 4월부터 10월까지 예비조사와 본 조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는 자유놀이의 의미를 ‘놀이의 주인은 유아’, ‘놀이 주제 설정의 새로운 기회’, ‘새로운 교사의 역할 경험’으로 범주화되었다. 첫째, 자유놀이는 유아 주도적 놀이의 실현으로 유아가 놀이의 주인이 되어 흥미와 관심, 경험을 바탕으로 놀이를 이끌어가고 놀이에 필요한 약속, 공간 등을 스스로 만들어나가고 교사는 이를 지원하는 공동놀이자의 역할로 참여하였다. 둘째, 자유놀이는 놀이 주제 설정의 새로운 기회로 교사는 유아의 자유놀이 관찰과 기록을 바탕으로 유아의 현재 흥미, 관심사를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통의 놀이 주제를 설정하여 놀이가 유지 및 확장될 수 있도록 환경적, 자료적 지원을 하였다. 셋째, 자유놀이는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놀이로 이해하며 유아와 교사가 동등한 입장에서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였다. 또한, 교사는 공동 놀이자로서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고 관찰하며 놀이에 필요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나갔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자유놀이 운영에 대한 인식을 ‘교사 개인 측면의 어려움’, ‘교실 운영 측면의 어려움’, ‘기관 측면의 어려움’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첫째, 교사 개인 측면의 어려움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로서의 역할 딜레마, 이전 교육과정의 편견과 습관이 존재하고 교사에게 주어지는 과중한 행정업무가 나타났다. 둘째, 교실 운영 측면의 어려움은 놀이 주제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유아, 높은 교사 대 유아 비율, 소외되는 유아, 놀이에 필요한 자료 부족이 나타났다. 셋째, 기관 측면의 어려움은 유치원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분위기에 따른 교육과정 통일성, 기관 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한 놀이 한계, 사후 놀이보고서 운영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depth teachers' perceptions of the meaning of a free play and performance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pporting teachers.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depth teachers' perceptions of the meaning of a free play and performance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pporting teache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is the meaning of free play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2.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for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free play for infants recognized by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s study worked in a public kindergarten and conducte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seven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classes afte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introduced.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from April to October 2021,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for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riangular verification wa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s categorized the meaning of free play into 'the owner of the play is infants', 'new opportunity to set up a play theme', and 'the role experience of a new teacher'. First, free play was the realization of infant-led play, and infants became the owner of the play, leading the play based on interest, interest, and experience, and creating their own promises and spaces necessary for play, and teachers participated as co-players to support it. Second, free play is a new opportunity to set up a play theme, and teachers identified the current interests and interests of infants based on their observation and records of free play, and based on this, they set a common play theme to provide environmental and data support to maintain and expand play. Third, free play is understood as a play created by infants and teachers together, and infants and teachers enjoyed participating in the play from an equal standpoint. In addition, as a co-player, the teacher created a free atmosphere to participate in, observe, and share the opinions necessary for the play.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s' perceptions of free play can be categorized into 'difficulties in individual aspects of teachers', 'difficulties in class operation', and 'difficulties in institutional aspects'. First, the difficulties in the individual aspect of teachers were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 role dilemma as a teacher supporting play, prejudice and habits of the previous curriculum, and heavy administrative tasks given to teachers. Second, difficulties in the aspect of classroom operation were found in infants who were not interested in the theme of play, the high ratio of teachers to infants, marginalized infants, and lack of data necessary for play. Third, the difficulties in terms of institutions were the unity of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operation of different curriculums for each kindergarten, play limitations due to spatial constraints within the institution, and difficulties in operating post-play rep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depth teachers' perceptions of the meaning of a free play and performance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pporting teache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is the meaning of free play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2.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for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free play for infants recognized by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s study worked in a public kindergarten and conducte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seven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classes afte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introduced.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from April to October 2021,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for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riangular verification wa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s categorized the meaning of free play into 'the owner of the play is infants', 'new opportunity to set up a play theme', and 'the role experience of a new teacher'. First, free play was the realization of infant-led play, and infants became the owner of the play, leading the play based on interest, interest, and experience, and creating their own promises and spaces necessary for play, and teachers participated as co-players to support it. Second, free play is a new opportunity to set up a play theme, and teachers identified the current interests and interests of infants based on their observation and records of free play, and based on this, they set a common play theme to provide environmental and data support to maintain and expand play. Third, free play is understood as a play created by infants and teachers together, and infants and teachers enjoyed participating in the play from an equal standpoint. In addition, as a co-player, the teacher created a free atmosphere to participate in, observe, and share the opinions necessary for the play.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s' perceptions of free play can be categorized into 'difficulties in individual aspects of teachers', 'difficulties in class operation', and 'difficulties in institutional aspects'. First, the difficulties in the individual aspect of teachers were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 role dilemma as a teacher supporting play, prejudice and habits of the previous curriculum, and heavy administrative tasks given to teachers. Second, difficulties in the aspect of classroom operation were found in infants who were not interested in the theme of play, the high ratio of teachers to infants, marginalized infants, and lack of data necessary for play. Third, the difficulties in terms of institutions were the unity of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operation of different curriculums for each kindergarten, play limitations due to spatial constraints within the institution, and difficulties in operating post-play reports.
Keyword
#2019 개정 누리과정 유치원 교사 자유놀이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 Free Play
학위논문 정보
저자
서유나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조형숙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iv, 111 p.
키워드
2019 개정 누리과정 유치원 교사 자유놀이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 Free Pla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