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지는 조류에게 휴식처 및 은신처 제공 그리고 본질적으로 알을 낳고 새끼를 육추하는 장소로 활용되며, 조류는 둥지 선택 시 외부 기상요건으로부터의 방어, 포식자 회피 등과 같은 많은 기작을 고려하여 둥지를 선택한다. 2차 수동성 조류는 스스로 동공을 만들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연수동이나 인간이 만든 인공 구조물의 구멍 등 다양한 곳에서 쉽게 번식하며 선택한 둥지의 물리적 특성, 둥지 내 포식자 회피 등과 같은 많은 기작을 고려하여 둥지를 선택한다. 2차 수동성 조류는 스스로 동공을 만들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연수동이나 인간이 만든 인공 구조물의 구멍 등 다양한 곳에서 쉽게 번식하며 선택한 둥지의 물리적 특성, 둥지 내 온습도 변화, 둥지재료의 구성 성분이 번식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서식하는 참새의 둥지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참새의 둥지 유형, 둥지 내 온습도 변화상, 둥지를 구성하는 재료 종류 및 특성의 3가지 둥지특성을 연구했다. 이를 위하여 2020년과 2021년 2년간 광주광역시 3곳과 서천군 2곳의 연구지역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참새 둥지 내 온습도 변화상 연구와 둥지재료 특성에 관한연구는 2020년, 2021년 2년간 진행되었다. 참새 둥지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는 2021년 1년간 진행되었으며, 참새의 둥지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총 133개의 참새 둥지를 탐색하였다. 참새 둥지 내 온습도 변화상 연구를 위해 총 15개의 둥지상자를 분석하였으며 둥지재료의 구성 성분 및 특성을 위해 15개의 둥지 재료를 분석하였다. 참새의 둥지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 번식성공 둥지는 실패 둥지보다 둥지입구 넓이가 더 좁았으나 입구의 단경은 더 길었으며, 인공구조물에서 번식하는 경우가 자연수동에서 번식하는 경우보다 높은 번식성공률을 보였다. 참새의 둥지 내 온습도 변화상 연구결과 번식둥지가 월주기 온도 폭 변화량에서 다른 두 타입의 둥지보다 평균 온도 폭 변화량이 적었으며 평균 습도 폭 변화량에서는 미활용둥지가 가장 낮았다. 일주기 평균온도 변화량에서는 번식둥지가 가장 평균온도 변화량이 높았으나 평균습도 변화량에서는 미활용둥지가 가장 일정한 습도를 나타내었다. 참새 둥지재료의 구성 성분 및 특성 연구결과 참새는 다양한 둥지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지의 평균 무게는 67.5±21.64g 이였으며, 전체 둥지 구성 재료 비율은 식물성 재료 72.92%, 동물성 재료 8.81%로 나타났다. 3곳의 연구지역의 둥지재료 구성성분 중 동물성 재료의 사용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서천 두 곳의 연구지역이 광주보다 갈대의 사용량이 높았다. 연구결과 참새는 다양하고 복잡한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둥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심에 적응한 종의 적응기작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향후 참새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둥지는 조류에게 휴식처 및 은신처 제공 그리고 본질적으로 알을 낳고 새끼를 육추하는 장소로 활용되며, 조류는 둥지 선택 시 외부 기상요건으로부터의 방어, 포식자 회피 등과 같은 많은 기작을 고려하여 둥지를 선택한다. 2차 수동성 조류는 스스로 동공을 만들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연수동이나 인간이 만든 인공 구조물의 구멍 등 다양한 곳에서 쉽게 번식하며 선택한 둥지의 물리적 특성, 둥지 내 온습도 변화, 둥지재료의 구성 성분이 번식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서식하는 참새의 둥지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참새의 둥지 유형, 둥지 내 온습도 변화상, 둥지를 구성하는 재료 종류 및 특성의 3가지 둥지특성을 연구했다. 이를 위하여 2020년과 2021년 2년간 광주광역시 3곳과 서천군 2곳의 연구지역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참새 둥지 내 온습도 변화상 연구와 둥지재료 특성에 관한연구는 2020년, 2021년 2년간 진행되었다. 참새 둥지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는 2021년 1년간 진행되었으며, 참새의 둥지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총 133개의 참새 둥지를 탐색하였다. 참새 둥지 내 온습도 변화상 연구를 위해 총 15개의 둥지상자를 분석하였으며 둥지재료의 구성 성분 및 특성을 위해 15개의 둥지 재료를 분석하였다. 참새의 둥지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 번식성공 둥지는 실패 둥지보다 둥지입구 넓이가 더 좁았으나 입구의 단경은 더 길었으며, 인공구조물에서 번식하는 경우가 자연수동에서 번식하는 경우보다 높은 번식성공률을 보였다. 참새의 둥지 내 온습도 변화상 연구결과 번식둥지가 월주기 온도 폭 변화량에서 다른 두 타입의 둥지보다 평균 온도 폭 변화량이 적었으며 평균 습도 폭 변화량에서는 미활용둥지가 가장 낮았다. 일주기 평균온도 변화량에서는 번식둥지가 가장 평균온도 변화량이 높았으나 평균습도 변화량에서는 미활용둥지가 가장 일정한 습도를 나타내었다. 참새 둥지재료의 구성 성분 및 특성 연구결과 참새는 다양한 둥지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지의 평균 무게는 67.5±21.64g 이였으며, 전체 둥지 구성 재료 비율은 식물성 재료 72.92%, 동물성 재료 8.81%로 나타났다. 3곳의 연구지역의 둥지재료 구성성분 중 동물성 재료의 사용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서천 두 곳의 연구지역이 광주보다 갈대의 사용량이 높았다. 연구결과 참새는 다양하고 복잡한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둥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심에 적응한 종의 적응기작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향후 참새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nest is used as a shelter for birds and is a place to lay eggs and to brood young. When birds choose their nest, they consider many mechanisms such as defense from weather and predator. Secondary passive birds easily breed in various places such as natural manuals and spherical bruises of man-ma...
The nest is used as a shelter for birds and is a place to lay eggs and to brood young. When birds choose their nest, they consider many mechanisms such as defense from weather and predator. Secondary passive birds easily breed in various places such as natural manuals and spherical bruises of man-made artificial structures because they cannot make the nes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st,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nest, and the composition of the nest material affect breeding. Therefore, to study nest characteristics of tree sparrows in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three nest characteristics of nest type: types of the nest of a tree sparrow,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nests,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composing nes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research areas in Gwangju and two in Seocheon for two years in 2020 and 2021. The study on the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ree sparrow nes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st materials was conducted for two years in 2020 and 202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ee sparrow nest selection was conducted for one year in 2021, and a total of 133 tree sparrow nests were examined. A total of 15 nest boxes were used for the study of changes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tree sparrow nest, and 15 nest material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st materials. The result of the nest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sparrows shows the breeding success nest had a narrower nest entrance than the failed nest, but the diameter of the entrance was longer. The breeding success rate in artificial structures was higher than breeding in nature. The result of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nest of tree sparrows indicates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change of the breeding nest was less than the other two types of nests according to monthly temperature change. The average humidity change was the lowest in the unused nest. The breeding nest had the highest change in the average temperature change of day while the unused nest showed the most constant humidity in the average humidity change.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ee sparrow nest materials demonstrate that tree sparrows use various nest materials. The average weight of the nest was 67.5 ± 21.64g, and the total nest composition ratio was 72.92% for vegetable materials and 8.81% for animal materials. Among the three nesting elements in the research area, the use of animal material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usage of reeds in the two research areas in Seocheon was higher than in Gwangju.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ree sparrows chose nests considering various and complex factors and the species adapted to downtown have adaptation mechanisms.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ree sparrows.
The nest is used as a shelter for birds and is a place to lay eggs and to brood young. When birds choose their nest, they consider many mechanisms such as defense from weather and predator. Secondary passive birds easily breed in various places such as natural manuals and spherical bruises of man-made artificial structures because they cannot make the nes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st,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nest, and the composition of the nest material affect breeding. Therefore, to study nest characteristics of tree sparrows in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three nest characteristics of nest type: types of the nest of a tree sparrow,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nests,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composing nes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research areas in Gwangju and two in Seocheon for two years in 2020 and 2021. The study on the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ree sparrow nes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st materials was conducted for two years in 2020 and 202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ee sparrow nest selection was conducted for one year in 2021, and a total of 133 tree sparrow nests were examined. A total of 15 nest boxes were used for the study of changes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tree sparrow nest, and 15 nest material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st materials. The result of the nest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sparrows shows the breeding success nest had a narrower nest entrance than the failed nest, but the diameter of the entrance was longer. The breeding success rate in artificial structures was higher than breeding in nature. The result of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nest of tree sparrows indicates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change of the breeding nest was less than the other two types of nests according to monthly temperature change. The average humidity change was the lowest in the unused nest. The breeding nest had the highest change in the average temperature change of day while the unused nest showed the most constant humidity in the average humidity change.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ee sparrow nest materials demonstrate that tree sparrows use various nest materials. The average weight of the nest was 67.5 ± 21.64g, and the total nest composition ratio was 72.92% for vegetable materials and 8.81% for animal materials. Among the three nesting elements in the research area, the use of animal material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usage of reeds in the two research areas in Seocheon was higher than in Gwangju.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ree sparrows chose nests considering various and complex factors and the species adapted to downtown have adaptation mechanisms.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ree sparrow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