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의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부부 공유시간 만족도 변인과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 각각의 변인들이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 개입 방안 및 부부상담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북도 및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만 60세 이하 중년기 부부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종 150쌍(300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의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부부 공유시간 만족도 변인과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 각각의 변인들이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 개입 방안 및 부부상담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북도 및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만 60세 이하 중년기 부부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종 150쌍(300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사후분석으로 Duncan검증, 상관분석(Pearson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만족도와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결혼만족도 점수(범위:1점~5점)는 남편은 3.83점 아내는 3.59점으로 아내보다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기분화(범위:0점~5점)는 남편은 2.75점 아내는 2.67점으로 두 집단 모두 중간점수인 2.5점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범위:1점~5점)의 경우 지지제공원에 따라 먼저, 부모/형제가 지지제공자인 경우 남편 3.68점 아내 3.81점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두 번째로 친구/동료가 지지제공자인 경우 남편 3.47점 아내 3.75점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기관(종교, 공공단체 등)이 지지제공자인 경우 남편 2.61점 아내 2.80점으로 두 집단 모두 중간점수 아래로 다른 지지제공자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으며 아내가 남편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편과 아내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부부 공유시간 만족도 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먼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자녀수와 결혼기간에 따른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소득에 따라서는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점차 증가하다가 소득이 가장 높은 집단에서 다시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소득만족, 건강만족,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고,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남편의 학력, 연령,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남편과 아내의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분화 정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남편과 아내 두 집단 모두 결혼만족도를 높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경우 지지제공자가 남편의 부모/형제, 친구/동료인 경우와 아내의 부모/형제인 경우에 남편과 아내 두 집단 모두 결혼만족도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넷째,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와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소득만족, 건강만족,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 자기분화, 부모/형제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친구/동료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와 정적상관을 보였고,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아내의 학력, 소득만족,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 자기분화, 부모/형제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지역사회기관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건강만족, 친구/동료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남편과 아내는 학력, 자녀수, 소득, 소득만족, 건강만족,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가 서로 정적상관을 나타내어 부부가 서로 유사한 삶을 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남편과 아내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부부 공유시간 만족도 변인,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편의 경우 자기분화,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도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경우에는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도, 결혼기간, 부모/형제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도, 자녀수, 소득, 자기분화가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편보다 아내의 경우에 더 다양한 변인들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통해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남편과 아내가 지각하는 결혼만족에 대한 요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서 실제 부부를 대상으로 관계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이나 가족의 건강성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의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부부 공유시간 만족도 변인과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 각각의 변인들이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 개입 방안 및 부부상담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북도 및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만 60세 이하 중년기 부부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종 150쌍(300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사후분석으로 Duncan검증, 상관분석(Pearson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만족도와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결혼만족도 점수(범위:1점~5점)는 남편은 3.83점 아내는 3.59점으로 아내보다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기분화(범위:0점~5점)는 남편은 2.75점 아내는 2.67점으로 두 집단 모두 중간점수인 2.5점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범위:1점~5점)의 경우 지지제공원에 따라 먼저, 부모/형제가 지지제공자인 경우 남편 3.68점 아내 3.81점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두 번째로 친구/동료가 지지제공자인 경우 남편 3.47점 아내 3.75점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기관(종교, 공공단체 등)이 지지제공자인 경우 남편 2.61점 아내 2.80점으로 두 집단 모두 중간점수 아래로 다른 지지제공자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으며 아내가 남편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편과 아내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부부 공유시간 만족도 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먼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자녀수와 결혼기간에 따른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소득에 따라서는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점차 증가하다가 소득이 가장 높은 집단에서 다시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소득만족, 건강만족,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고,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남편의 학력, 연령,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남편과 아내의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분화 정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남편과 아내 두 집단 모두 결혼만족도를 높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경우 지지제공자가 남편의 부모/형제, 친구/동료인 경우와 아내의 부모/형제인 경우에 남편과 아내 두 집단 모두 결혼만족도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넷째,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와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소득만족, 건강만족,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 자기분화, 부모/형제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친구/동료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와 정적상관을 보였고,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아내의 학력, 소득만족,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 자기분화, 부모/형제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지역사회기관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건강만족, 친구/동료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남편과 아내는 학력, 자녀수, 소득, 소득만족, 건강만족,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가 서로 정적상관을 나타내어 부부가 서로 유사한 삶을 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남편과 아내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부부 공유시간 만족도 변인, 자기분화,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편의 경우 자기분화,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도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경우에는 가사활동 공유시간 만족도, 결혼기간, 부모/형제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취미 및 여가활동 공유시간 만족도, 자녀수, 소득, 자기분화가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편보다 아내의 경우에 더 다양한 변인들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통해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남편과 아내가 지각하는 결혼만족에 대한 요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서 실제 부부를 대상으로 관계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이나 가족의 건강성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is was to study the influence of Middle-aged coupl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cio-demographic variables, couple sharing time satisfaction variabl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inf...
The purpose of this is was to study the influence of Middle-aged coupl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cio-demographic variables, couple sharing time satisfaction variabl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marital satisfaction. With this informa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intervention measures and marital counseling that can increase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For this study, middle-aged couples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do, Jeollabuk-do and other regions were selected, and data from the final 150 couples (300 people) participated using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post hoc analysis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Pearson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s of marital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the marital satisfaction score (range: 1 to 5) was 3.83 for husbands and 3.59 for wives, indicating that husbands had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an wives. The self-differentiation (range: 0 to 5 points) was 2.75 points for husbands and 2.67 points for wives,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of 2.5 for both groups.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range: 1 point to 5 points), depending on the source of support, first, when parents/siblings were support providers, husbands scored 3.68 points and wives 3.81 points, which were higher for wives than husbands. Secondly support providers for friends/colleagues, husbands scored 3.47 points and wives scored 3.75 points, indicating that w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usbands. Lastly, in the case of community organizations (religion, public organizations, etc.) providing support, husbands scored 2.61 and wives 2.80, both of which were below the median score, lower than other supporters, and the w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usband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husbands and wives and the satisfaction variables of marital sharing tim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marriag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according to income. The marital satisfaction gradually increased, but then decreased again in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come. In additi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differed among groups according to income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shared time for housework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shared time for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Moreover,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 age, satisfaction with shared time for housework, and satisfaction with shared time for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husbands’ and wiv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perceived by both husbands’ and wives’ groups. Also,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when the support provider was the husbands’ parents/siblings, friends/colleagues, and the wives’ parents/siblings, there was a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in both group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variables,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come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satisfaction, hobbies and leisure sharing time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s providers with parents/siblings and friends/colleagues. Also, wives’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ives’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satisfaction,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satisfaction, hobbies and leisure sharing time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health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rovided by parents/siblings, friends/colleague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 addition, husbands and wives showed a similar tendency of positive correlations with educational background, a number of children, income, income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satisfaction, hobbies and leisure sharing time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indicating of that couples are living similar lives. Fif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husbands and wives’ socio-demographic and sharing time satisfaction variabl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husbands, self-differentiation and satisfaction with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were found to be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and for wives, satisfaction with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marriage duration, social support provided by parents/siblings, and satisfaction with hobbies and leisure sharing time, the number of children, monthly average income,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variables. As suc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and wives, and wives are affected by diverse variables than husbands. As discussed i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various methods necessary to impro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through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In particular, the factors for marital satisfaction perceived by husbands and wives are different. Therefore, complex approaches with considering each characteristic are needed when providing a couple’s relationship recovery program 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for improving family health.
The purpose of this is was to study the influence of Middle-aged coupl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cio-demographic variables, couple sharing time satisfaction variabl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marital satisfaction. With this informa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intervention measures and marital counseling that can increase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For this study, middle-aged couples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do, Jeollabuk-do and other regions were selected, and data from the final 150 couples (300 people) participated using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post hoc analysis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Pearson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s of marital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the marital satisfaction score (range: 1 to 5) was 3.83 for husbands and 3.59 for wives, indicating that husbands had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an wives. The self-differentiation (range: 0 to 5 points) was 2.75 points for husbands and 2.67 points for wives,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of 2.5 for both groups.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range: 1 point to 5 points), depending on the source of support, first, when parents/siblings were support providers, husbands scored 3.68 points and wives 3.81 points, which were higher for wives than husbands. Secondly support providers for friends/colleagues, husbands scored 3.47 points and wives scored 3.75 points, indicating that w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usbands. Lastly, in the case of community organizations (religion, public organizations, etc.) providing support, husbands scored 2.61 and wives 2.80, both of which were below the median score, lower than other supporters, and the w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usband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husbands and wives and the satisfaction variables of marital sharing tim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marriag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according to income. The marital satisfaction gradually increased, but then decreased again in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come. In additi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differed among groups according to income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shared time for housework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shared time for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Moreover,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 age, satisfaction with shared time for housework, and satisfaction with shared time for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husbands’ and wiv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perceived by both husbands’ and wives’ groups. Also,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when the support provider was the husbands’ parents/siblings, friends/colleagues, and the wives’ parents/siblings, there was a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in both group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variables,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come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satisfaction, hobbies and leisure sharing time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s providers with parents/siblings and friends/colleagues. Also, wives’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ives’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satisfaction,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satisfaction, hobbies and leisure sharing time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health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rovided by parents/siblings, friends/colleague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 addition, husbands and wives showed a similar tendency of positive correlations with educational background, a number of children, income, income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satisfaction, hobbies and leisure sharing time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indicating of that couples are living similar lives. Fif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husbands and wives’ socio-demographic and sharing time satisfaction variabl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husbands, self-differentiation and satisfaction with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were found to be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and for wives, satisfaction with production and housework sharing time, marriage duration, social support provided by parents/siblings, and satisfaction with hobbies and leisure sharing time, the number of children, monthly average income,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variables. As suc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and wives, and wives are affected by diverse variables than husbands. As discussed i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various methods necessary to impro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through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In particular, the factors for marital satisfaction perceived by husbands and wives are different. Therefore, complex approaches with considering each characteristic are needed when providing a couple’s relationship recovery program 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for improving family heal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