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기 위기감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그 매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신중년기 위기감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50∼69세 신중년 남녀 6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기 위기감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그 매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신중년기 위기감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50∼69세 신중년 남녀 6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노화불안은 신중년기 위기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신중년기 위기감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노화불안이 각각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노화불안을 통해서 각각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혔다. 셋째,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신중년기 위기감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노화불안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신중년기 위기감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노화불안을 통해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영향을 주고 이것이 다시 노화불안을 거쳐 최종적으로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신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 경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신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겨 신중년기 위기감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노화불안이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노화불안을 순차적으로 거쳐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효과를 밝혔다. 나아가, 사회적 지지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신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여 신중년기 위기감을 낮추는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변인들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검증했던 한계를 보완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중년기의 범위를 시대적 배경을 반영하여 새롭게 신중년기로 정의를 하고 다양한 영향요인들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중년기 위기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방법 모색 및 정책제안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기 위기감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그 매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신중년기 위기감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50∼69세 신중년 남녀 6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노화불안은 신중년기 위기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신중년기 위기감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노화불안이 각각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노화불안을 통해서 각각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혔다. 셋째,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신중년기 위기감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노화불안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신중년기 위기감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노화불안을 통해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영향을 주고 이것이 다시 노화불안을 거쳐 최종적으로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신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 경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신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겨 신중년기 위기감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노화불안이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노화불안을 순차적으로 거쳐 신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효과를 밝혔다. 나아가, 사회적 지지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신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여 신중년기 위기감을 낮추는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변인들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검증했던 한계를 보완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중년기의 범위를 시대적 배경을 반영하여 새롭게 신중년기로 정의를 하고 다양한 영향요인들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중년기 위기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방법 모색 및 정책제안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
#신중년기 신중년기 위기감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노화불안 사회적 지지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박현숙
학위수여기관
동아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의료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전효정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vi, 135 p.
키워드
신중년기 신중년기 위기감 신경증적 성격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노화불안 사회적 지지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