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군 간부 자살생존자가 동료의 자살 이후 애도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을 식별하였다. 이를 위해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군 간부 자살생존자 9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시행하였고, 진술 내용을 기초로 어려움 요인과 관련된 89개의 핵심 문장과 도움 요인과 관련된 58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 문장들은 연구 참여자들에 의해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끼리 분류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군 간부 자살생존자가 동료의 자살 이후 애도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을 식별하였다. 이를 위해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군 간부 자살생존자 9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시행하였고, 진술 내용을 기초로 어려움 요인과 관련된 89개의 핵심 문장과 도움 요인과 관련된 58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 문장들은 연구 참여자들에 의해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끼리 분류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군 간부 자살생존자의 애도 경험에서 어려움 요인은 ‘외부 자극 및 내부 반응’ 축과 ‘개인 및 군 시스템’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자살 사고 조사과정에서의 심리적 고통’, ‘군 조직의 미흡한 자살 사후 대응’, ‘동료의 자살에 관한 후회와 죄책감’, ‘마주하기 힘든 동료의 흔적’으로 명명되었다. 군 간부 자살생존자의 애도 경험의 어려움에 대처하는 도움 요인은 ‘군 조직 내 및 군 조직 외’ 축과 ‘일상 회복 지향 및 상실의 수용’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사회적 지지(군 조직 내)’, ‘사회적 지지(군 조직 외, 지인 및 친구)’, ‘사회적 지지(군 조직 외, 가족 및 자신)’, ‘일상 및 현재에 집중’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군 내 자살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군 간부의 애도 경험에 주목하여,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군 간부가 애도 과정에서 갖게 되는 어려움과 도움 요인의 구조적 특성과 기저차원을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군 간부 자살생존자가 동료의 자살 이후 애도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을 식별하였다. 이를 위해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군 간부 자살생존자 9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시행하였고, 진술 내용을 기초로 어려움 요인과 관련된 89개의 핵심 문장과 도움 요인과 관련된 58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 문장들은 연구 참여자들에 의해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끼리 분류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군 간부 자살생존자의 애도 경험에서 어려움 요인은 ‘외부 자극 및 내부 반응’ 축과 ‘개인 및 군 시스템’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자살 사고 조사과정에서의 심리적 고통’, ‘군 조직의 미흡한 자살 사후 대응’, ‘동료의 자살에 관한 후회와 죄책감’, ‘마주하기 힘든 동료의 흔적’으로 명명되었다. 군 간부 자살생존자의 애도 경험의 어려움에 대처하는 도움 요인은 ‘군 조직 내 및 군 조직 외’ 축과 ‘일상 회복 지향 및 상실의 수용’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사회적 지지(군 조직 내)’, ‘사회적 지지(군 조직 외, 지인 및 친구)’, ‘사회적 지지(군 조직 외, 가족 및 자신)’, ‘일상 및 현재에 집중’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군 내 자살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군 간부의 애도 경험에 주목하여,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군 간부가 애도 과정에서 갖게 되는 어려움과 도움 요인의 구조적 특성과 기저차원을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Thisstudyusedtheconcept-mappingapproachtoidentifythehelpfulfactors andhinderingfactorsexperiencedbymilitaryexecutivesuicidesurvivorsinthe processofbereavementafterthesuicideoftheircolleagues.Ninemilitary executiveswereinterviewedfromwhich89corestatementsrelatedtothe hinderingfactorsand58corestatementsrelatedtothehelpfulfactorswere extracted.Thesecorestatementsweresortedbytheparticipantswithsimilar meanings,andbasedonthesedata,amultidimensionalscalingmethodand hierarchicalclusteranalysiswereconducted. Afterperformingtheanalyses,thehinderingfactorsofthemilitaryexecutive suicidesurvivorsconsistedoftwodimensions:‘externalstimuliandinternal response.’and‘individualandmilitarysystem’.Fromthesetwodimensionsfour hinderingfactorclustersemerged:(a)psychologicaldistressduringsuicideinvestigations, (b) military organizatio’s inadequate post-suicide response, (c) regret and guilt about a colleague’s suicide, and (d) traces of colleagues that are hard to face. For the helpful factors, the dimensions consisted of ‘within and 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focus on recovering daily routine and acceptance of loss’. The clusters for the helpful factors were: (a) social support (within the military organization), (b) social support(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acquaintances and friends), (c) social support(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family and self) and (d) focusing on the daily tasks in the present moment.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explored and describ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 dimensions of the hindering and helpful factors of the military executive suicide survivors’ bereavement following their colleague’s suicide.
Thisstudyusedtheconcept-mappingapproachtoidentifythehelpfulfactors andhinderingfactorsexperiencedbymilitaryexecutivesuicidesurvivorsinthe processofbereavementafterthesuicideoftheircolleagues.Ninemilitary executiveswereinterviewedfromwhich89corestatementsrelatedtothe hinderingfactorsand58corestatementsrelatedtothehelpfulfactorswere extracted.Thesecorestatementsweresortedbytheparticipantswithsimilar meanings,andbasedonthesedata,amultidimensionalscalingmethodand hierarchicalclusteranalysiswereconducted. Afterperformingtheanalyses,thehinderingfactorsofthemilitaryexecutive suicidesurvivorsconsistedoftwodimensions:‘externalstimuliandinternal response.’and‘individualandmilitarysystem’.Fromthesetwodimensionsfour hinderingfactorclustersemerged:(a)psychologicaldistressduringsuicideinvestigations, (b) military organizatio’s inadequate post-suicide response, (c) regret and guilt about a colleague’s suicide, and (d) traces of colleagues that are hard to face. For the helpful factors, the dimensions consisted of ‘within and 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focus on recovering daily routine and acceptance of loss’. The clusters for the helpful factors were: (a) social support (within the military organization), (b) social support(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acquaintances and friends), (c) social support(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family and self) and (d) focusing on the daily tasks in the present moment.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explored and describ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 dimensions of the hindering and helpful factors of the military executive suicide survivors’ bereavement following their colleague’s suicide.
Keyword
#군 자살생존자 군 자살 군 간부 상실 애도 애도 경험 어려움 요인 도움 요인 개념도 연구 military suicide the military suicide survivor loss bereavement hindering factors helpful factors concept-mapping approach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화연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심리학과
지도교수
이동귀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vi, 81장
키워드
군 자살생존자 군 자살 군 간부 상실 애도 애도 경험 어려움 요인 도움 요인 개념도 연구 military suicide the military suicide survivor loss bereavement hindering factors helpful factors concept-mapping approa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