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청년 독립 가구를 위한 “제 3의 공간”에 관한 연구: 레이 올덴버그의 이론을 기반으로 A Study on "The Third Place" for Young Adult Independent Households: Based on Ray Oldenburg's theory원문보기
본 연구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청년 1인 가구의 증가 추세에 맞추어 이들의 주거요구 및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제 3의 공간 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태까지의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 지원은 주로 양적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1인 가구의 주거지 인근 환경에 대한 집중적인 고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인 가구 및 청년 가구를 주제로 한 학술 연구들에서도 대체로 주거지 계획과 정책적 지원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었다. 즉,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나 제 3의 공간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청년 독립 가구가 활용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 등의 대안적인 공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청년 1인 가구는 사회적인 위치나 경제적인 기반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주거약자로 분류된다. 이들을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주거 공간에 대한 지원 정책만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하는 제3의 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청년 독립 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제 3의 공간이 주거지 내부 및 인근 환경에 보급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제 3의 공간’은 커뮤니티 공간 및 공유 공간과는 차별화된 점을 지닌다. 특히, ...
본 연구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청년 1인 가구의 증가 추세에 맞추어 이들의 주거요구 및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제 3의 공간 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태까지의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 지원은 주로 양적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1인 가구의 주거지 인근 환경에 대한 집중적인 고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인 가구 및 청년 가구를 주제로 한 학술 연구들에서도 대체로 주거지 계획과 정책적 지원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었다. 즉,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나 제 3의 공간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청년 독립 가구가 활용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 등의 대안적인 공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청년 1인 가구는 사회적인 위치나 경제적인 기반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주거약자로 분류된다. 이들을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주거 공간에 대한 지원 정책만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하는 제3의 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청년 독립 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제 3의 공간이 주거지 내부 및 인근 환경에 보급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제 3의 공간’은 커뮤니티 공간 및 공유 공간과는 차별화된 점을 지닌다. 특히, Ray Oldenburg의 ‘제 3의 장소' 이론에 기반하여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주거지의 인근에서 휴식이나 여가 등 다양한 활동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2장 문헌 분석'의 절에서 자세하게 다루었다. 해당 챕터에서는 기존의 커뮤니티 공간 및 공유공간의 이론과 사례 분석을 진행하고, 이와 같은 다양한 공유 공간을 아우르는 개념으로써 설정하였다.
본 연구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문헌 분석, 현장 사례조사, 설문조사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1)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장소" 이론과 제3의 공간을 주제로 한 학위 논문의 분석을 통해 제3의 공간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더불어 청년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티 공간, 공유 공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제3의 공간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레이 올덴버그의 이론과 선행 연구 문헌 분석을 통해 제3의 공간의 핵심 특성, 기능,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년 단독 가구의 주거지 인근 환경에 제공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에 대한 주요 기능을 검토하였다.
2) 청년 주택 인근의 거주환경에서 나타나는 제3의 공간의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현장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역세권 청년주택은 청년을 대상으로 한 주택이 추가로 공급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다. 이에 따라 이곳에 청년들의 다양한 주거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시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 현장 사례조사에서는 대표적인 제3의 공간의 유형들에 대한 접근성을 살펴보고, 이 공간들이 청년 가구의 다양한 주거요구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3) 설문조사는 청년 독립 가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제3의 공간의 특성 및 기능, 유형별 선호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델파이 방법을 바탕으로 작성되어, 총 2회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설문조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제3의 공간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주거지 내외의 커뮤니티 시설의 선호 및 수요의 파악, 앞서 분석한 제3의 공간의 특성, 기능, 유형에 따른 선호도, 중요도 만족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2차 설문조사는 1차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심층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 앞서 분석한 청년 독립 가구의 제3의 공간의 선호도 요인을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3의 공간의 주요 특성과 그 이유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독립 가구의 니즈를 반영한 공간의 요소를 도출하고 제3의 공간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청년 독립 가구를 위한 제3의 공간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청년 독립 가구의 실질적인 수요와 특성을 반영한 제3의 공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청년 1인 가구의 증가 추세에 맞추어 이들의 주거요구 및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제 3의 공간 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태까지의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 지원은 주로 양적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1인 가구의 주거지 인근 환경에 대한 집중적인 고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인 가구 및 청년 가구를 주제로 한 학술 연구들에서도 대체로 주거지 계획과 정책적 지원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었다. 즉,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나 제 3의 공간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청년 독립 가구가 활용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 등의 대안적인 공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청년 1인 가구는 사회적인 위치나 경제적인 기반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주거약자로 분류된다. 이들을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주거 공간에 대한 지원 정책만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하는 제3의 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청년 독립 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제 3의 공간이 주거지 내부 및 인근 환경에 보급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제 3의 공간’은 커뮤니티 공간 및 공유 공간과는 차별화된 점을 지닌다. 특히, Ray Oldenburg의 ‘제 3의 장소' 이론에 기반하여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주거지의 인근에서 휴식이나 여가 등 다양한 활동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2장 문헌 분석'의 절에서 자세하게 다루었다. 해당 챕터에서는 기존의 커뮤니티 공간 및 공유공간의 이론과 사례 분석을 진행하고, 이와 같은 다양한 공유 공간을 아우르는 개념으로써 설정하였다.
본 연구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문헌 분석, 현장 사례조사, 설문조사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1)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장소" 이론과 제3의 공간을 주제로 한 학위 논문의 분석을 통해 제3의 공간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더불어 청년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티 공간, 공유 공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제3의 공간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레이 올덴버그의 이론과 선행 연구 문헌 분석을 통해 제3의 공간의 핵심 특성, 기능,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년 단독 가구의 주거지 인근 환경에 제공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에 대한 주요 기능을 검토하였다.
2) 청년 주택 인근의 거주환경에서 나타나는 제3의 공간의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현장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역세권 청년주택은 청년을 대상으로 한 주택이 추가로 공급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다. 이에 따라 이곳에 청년들의 다양한 주거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시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 현장 사례조사에서는 대표적인 제3의 공간의 유형들에 대한 접근성을 살펴보고, 이 공간들이 청년 가구의 다양한 주거요구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3) 설문조사는 청년 독립 가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제3의 공간의 특성 및 기능, 유형별 선호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델파이 방법을 바탕으로 작성되어, 총 2회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설문조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제3의 공간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주거지 내외의 커뮤니티 시설의 선호 및 수요의 파악, 앞서 분석한 제3의 공간의 특성, 기능, 유형에 따른 선호도, 중요도 만족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2차 설문조사는 1차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심층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 앞서 분석한 청년 독립 가구의 제3의 공간의 선호도 요인을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3의 공간의 주요 특성과 그 이유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독립 가구의 니즈를 반영한 공간의 요소를 도출하고 제3의 공간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청년 독립 가구를 위한 제3의 공간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청년 독립 가구의 실질적인 수요와 특성을 반영한 제3의 공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various types of the third place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housing needs, and the trend of young adult households, which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 Until now, the housing policy support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various types of the third place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housing needs, and the trend of young adult households, which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 Until now, the housing policy support for young adult households has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supply.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rarely considered creating a good environment near the resid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Meanwhile, studies on one-person households of young people generally have dealt with residential planning and policy support. Clearly, the research in services or the third plac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adult households has rarely been found. Accordingly,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welfare for young adult househol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alternative spaces such as the third places that can be used by independent households. In particular, young adult households are reported to have weak residential stability with unstable social positions and economic foundations.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welfare for them,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support policy for residential space but also the third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ways to propose and develop the third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available to young adult households. This study included both interior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the residence. 'The third place' mentioned here is differentiated from the community space and the shared space. In particular, based on Ray Oldenburg's "the Third Place"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pace can be analyzed and organized into the spaces that provide various activities and services for relaxation and leisure near the residence. In this thesis, it was dealt with in detail in the section of ‘Chapter 2 Literature Analysis’. In this chapter, the theory and case analysis of the existing community space and shared space were conducted, and it was set as a concept encompassing various common space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thesis were set in stages to perform various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e methods of a literature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econd survey were used to conduct this study. In this regard,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procedure.
1) The concept of the third place was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Ray Oldenburg's "the third place," and the domestic thesis on the third plac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s and shared spaces for young adult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third place, which is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were derived. Meanwhile, the core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types of the third place were analyzed through Ray Oldenburg's theory and analysis of prior research literatur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review the main functions of the third place that can be provided to the environment near the residence of young adult households.
2) An on-sit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the third place appearing in the living environment near youth housing. In particular, youth housing in the station area is an area where additional housing for young adult households is expected to be suppli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facilities that can reflect various housing needs of young adults here. In the field case study, the accessibility of representative third-party spaces was examined, and whether these spaces could support various housing needs of young adult households was identified.
3)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young adult households. The survey was composed of questio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third plac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by the type. In particular,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prepared based on the Delphi metho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n the first survey,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third place of the study subjects were identifie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function, type, and importance satisfaction of the third place analyzed earlier were collected. Next, the second survey collected in-depth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factors of preference for the third space of young adult households analyzed earlier were categorized, and based on this, responses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place and its reason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elements of space that reflected the needs of young adult households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Third Place.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the concept of third places for young adult households was re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of the third place was proposed to reflect the actual demand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various types of the third place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housing needs, and the trend of young adult households, which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 Until now, the housing policy support for young adult households has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supply.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rarely considered creating a good environment near the resid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Meanwhile, studies on one-person households of young people generally have dealt with residential planning and policy support. Clearly, the research in services or the third plac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adult households has rarely been found. Accordingly,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welfare for young adult househol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alternative spaces such as the third places that can be used by independent households. In particular, young adult households are reported to have weak residential stability with unstable social positions and economic foundations.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welfare for them,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support policy for residential space but also the third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ways to propose and develop the third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available to young adult households. This study included both interior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the residence. 'The third place' mentioned here is differentiated from the community space and the shared space. In particular, based on Ray Oldenburg's "the Third Place"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pace can be analyzed and organized into the spaces that provide various activities and services for relaxation and leisure near the residence. In this thesis, it was dealt with in detail in the section of ‘Chapter 2 Literature Analysis’. In this chapter, the theory and case analysis of the existing community space and shared space were conducted, and it was set as a concept encompassing various common space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thesis were set in stages to perform various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e methods of a literature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econd survey were used to conduct this study. In this regard,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procedure.
1) The concept of the third place was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Ray Oldenburg's "the third place," and the domestic thesis on the third plac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s and shared spaces for young adult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third place, which is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were derived. Meanwhile, the core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types of the third place were analyzed through Ray Oldenburg's theory and analysis of prior research literatur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review the main functions of the third place that can be provided to the environment near the residence of young adult households.
2) An on-sit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the third place appearing in the living environment near youth housing. In particular, youth housing in the station area is an area where additional housing for young adult households is expected to be suppli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facilities that can reflect various housing needs of young adults here. In the field case study, the accessibility of representative third-party spaces was examined, and whether these spaces could support various housing needs of young adult households was identified.
3)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young adult households. The survey was composed of questio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third plac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by the type. In particular,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prepared based on the Delphi metho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n the first survey,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third place of the study subjects were identifie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function, type, and importance satisfaction of the third place analyzed earlier were collected. Next, the second survey collected in-depth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factors of preference for the third space of young adult households analyzed earlier were categorized, and based on this, responses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place and its reason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elements of space that reflected the needs of young adult households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Third Place.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the concept of third places for young adult households was re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of the third place was proposed to reflect the actual demand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 households.
Keyword
#청년 독립 가구 레이 올덴버그 제3의 장소 이론 제3의 공간 제3의 공간의 특성 델파이 방법
학위논문 정보
저자
류혜주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실내건축학과
지도교수
김석경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x, 194 p.
키워드
청년 독립 가구 레이 올덴버그 제3의 장소 이론 제3의 공간 제3의 공간의 특성 델파이 방법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