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늘어나는 산림문화·휴양자원 이용자들의 휴양동기를 분류하고 이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림휴양동기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산림휴양 기회제공을 위한 체계적 관리나 이용자 특성에 맞는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근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Pandemic으로 국민들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시기에는 산림휴양동기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추후 산림문화·휴양자원의 관리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이를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평소 이용객이 많은 서울 근교에 위치한 산림문화·휴양자원 중 선호도가 높은 3곳(관악산도시숲, 북한산국립공원, 유명산자연휴양림)을 선정하여, 2020년 5월 1일~7월 15일 기간에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196부의 설문 응답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늘어나는 산림문화·휴양자원 이용자들의 휴양동기를 분류하고 이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림휴양동기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산림휴양 기회제공을 위한 체계적 관리나 이용자 특성에 맞는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근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Pandemic으로 국민들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시기에는 산림휴양동기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추후 산림문화·휴양자원의 관리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이를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평소 이용객이 많은 서울 근교에 위치한 산림문화·휴양자원 중 선호도가 높은 3곳(관악산도시숲, 북한산국립공원, 유명산자연휴양림)을 선정하여, 2020년 5월 1일~7월 15일 기간에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196부의 설문 응답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문화·휴양자원인 도시숲, 국립공원, 자연휴양림 이용자들의 특성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산림문화·휴양자원별로 산림휴양동기를 살펴본 결과 관악산은 자연성취동기가 높았다. 북한산은 전체 산림휴양동기가 높았으며, 자연친화적동기와 사회친화적동기, 자기탐구동기, 자연성취동기가 높았다. 유명산은 일상생활 변화추구동기가 높았다. 반면 스트레스는 산림문화·휴양자원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산림휴양동기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방문객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산림이용 특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그들의 이용동기에 따라서도 산림치유에 대한 요구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이용자들의 이용형태나 요구도에 대한 연구결과는 변화되는 산림휴양에 맞추어 산림휴양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늘어나는 산림문화·휴양자원 이용자들의 휴양동기를 분류하고 이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림휴양동기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산림휴양 기회제공을 위한 체계적 관리나 이용자 특성에 맞는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근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Pandemic으로 국민들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시기에는 산림휴양동기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추후 산림문화·휴양자원의 관리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이를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평소 이용객이 많은 서울 근교에 위치한 산림문화·휴양자원 중 선호도가 높은 3곳(관악산도시숲, 북한산국립공원, 유명산자연휴양림)을 선정하여, 2020년 5월 1일~7월 15일 기간에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196부의 설문 응답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문화·휴양자원인 도시숲, 국립공원, 자연휴양림 이용자들의 특성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산림문화·휴양자원별로 산림휴양동기를 살펴본 결과 관악산은 자연성취동기가 높았다. 북한산은 전체 산림휴양동기가 높았으며, 자연친화적동기와 사회친화적동기, 자기탐구동기, 자연성취동기가 높았다. 유명산은 일상생활 변화추구동기가 높았다. 반면 스트레스는 산림문화·휴양자원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산림휴양동기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방문객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산림이용 특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그들의 이용동기에 따라서도 산림치유에 대한 요구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이용자들의 이용형태나 요구도에 대한 연구결과는 변화되는 산림휴양에 맞추어 산림휴양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ists’ motivation and their demand for forest hea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highly preferred forest recreation resources located near Seoul (Mt. Gwanak Urban Forest, Mt. Bukhan National Park, and Mt. Yumyeong Natu...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ists’ motivation and their demand for forest hea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highly preferred forest recreation resources located near Seoul (Mt. Gwanak Urban Forest, Mt. Bukhan National Park, and Mt. Yumyeong Natural Recreation Forest) were selected. Total number of 1,196 visitors to the study areas were administered a set of questionnaires to collect the data from May 1 to July 15, 2020.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ar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visitors’ socio-economic among the three study areas, which classified as urban forest, national park, and natural recreation fore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ir visitors’ motivation among the three study areas. In Mt. Gwanak the highest ranking of motivation was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s, In Mt. Bukhan and Yumyeong social and escape from daily life were highest, respectivel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visitors’ motivation due to their socio-economic variables. Also, the demands for forest healing/program were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ir motiv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orest healing or forest therapy program should be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eir demands 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ists’ motivation and their demand for forest hea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highly preferred forest recreation resources located near Seoul (Mt. Gwanak Urban Forest, Mt. Bukhan National Park, and Mt. Yumyeong Natural Recreation Forest) were selected. Total number of 1,196 visitors to the study areas were administered a set of questionnaires to collect the data from May 1 to July 15, 2020.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ar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visitors’ socio-economic among the three study areas, which classified as urban forest, national park, and natural recreation fore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ir visitors’ motivation among the three study areas. In Mt. Gwanak the highest ranking of motivation was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s, In Mt. Bukhan and Yumyeong social and escape from daily life were highest, respectivel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visitors’ motivation due to their socio-economic variables. Also, the demands for forest healing/program were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ir motiv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orest healing or forest therapy program should be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eir demands and characteristic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