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이유로 청년층 1인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규모주거시설의 비중 또한 높아지고 있고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오피스텔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1인 가구 증가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요소가 나타날 것이며 커뮤니티가 중요해질 것이다. 커뮤니티는 거주자들 사이에 교류를 통해 소속감을 형성시켜주어 심리적 안정감과 주거환경에 애착심을 심어주고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요소인 공유공간이 중요한 공간임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앞으로 공급되는 주거용 오피스텔의 공유공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문헌고찰을 통해 오피스텔 거주자를 위한 커뮤니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고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공간적 요소인 공유공간이 중요한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공유공간의 영역과 종류를 기능적 측면인 기초생활 공간, 생활편의 공간, 여가 공간, 가변적 공간으로 분류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고 청년층의 개인적 특성을 조사하여 필요한 공유공간에 대하여 도출해냈다. 오피스텔에 거주하거나 거주했던 청년층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공유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사항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 개선방안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생활 공간에서 쓰레기 분리수거장의 위치를 두 군데로 나누지 않고 한 군데로 배치할 필요가 있고 공간의 크기를 넉넉히 할 필요가 있었다. 엘리베이터 홀은 상가동과 분리하여야 하며 분리하지 못할 시에는 상가 이용객들의 통로역할이 되지 않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주차장은 자주식 주차장으로 배치하고 기계식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는 거주자들의 편의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생활편의 공간에서는 택배보관실이나 보관함은 이용측면에서 배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배치할 경우에는 공간의 크기와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공동세탁실과 공동창고를 배치하고 여성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는 작업실과 쉐어서비스공간, 게스트룸을 배치하여 거주자들의 편의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공동식당과 여성들이 선호하는 공동부엌을 배치하여 균형 잡힌 식사나 가사준비의 어려움을 해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 공간에서는 헬스장을 배치해야 하며 휴식과 피로회복을 위해 사우나를 배치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정원을 배치하여야 하며 접근성 확보와 벤치나 정자를 설치하고 산책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될 필요가 있으며 관리가 잘 되어야 한다. 카페 같은 라운지에 대한 선호도도 높게 나타나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여성들이 선호하는 파티룸과 남성들이 선호하는 공동 바를 배치에 고려해 거주성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가변적 공간은 대체적으로 선호하고 있었으며 취미 프로그램을 전반적으로 선호하고 있었고 여성들의 경우에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에 활력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할 수 있는 가변적 공간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 1인 가구를 위하여 오피스텔의 공유공간에서 공통적인 개선사항과 필요한 공간에 대하여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청년층 1인 가구 오피스텔을 계획하는데 있어 거주자들이 실생활에 필요한 공간의 배치와 이를 통하여 커뮤니티 활성화를 유도하여 청년층들의 ...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이유로 청년층 1인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규모주거시설의 비중 또한 높아지고 있고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오피스텔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1인 가구 증가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요소가 나타날 것이며 커뮤니티가 중요해질 것이다. 커뮤니티는 거주자들 사이에 교류를 통해 소속감을 형성시켜주어 심리적 안정감과 주거환경에 애착심을 심어주고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요소인 공유공간이 중요한 공간임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앞으로 공급되는 주거용 오피스텔의 공유공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문헌고찰을 통해 오피스텔 거주자를 위한 커뮤니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고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공간적 요소인 공유공간이 중요한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공유공간의 영역과 종류를 기능적 측면인 기초생활 공간, 생활편의 공간, 여가 공간, 가변적 공간으로 분류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고 청년층의 개인적 특성을 조사하여 필요한 공유공간에 대하여 도출해냈다. 오피스텔에 거주하거나 거주했던 청년층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공유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사항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 개선방안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생활 공간에서 쓰레기 분리수거장의 위치를 두 군데로 나누지 않고 한 군데로 배치할 필요가 있고 공간의 크기를 넉넉히 할 필요가 있었다. 엘리베이터 홀은 상가동과 분리하여야 하며 분리하지 못할 시에는 상가 이용객들의 통로역할이 되지 않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주차장은 자주식 주차장으로 배치하고 기계식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는 거주자들의 편의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생활편의 공간에서는 택배보관실이나 보관함은 이용측면에서 배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배치할 경우에는 공간의 크기와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공동세탁실과 공동창고를 배치하고 여성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는 작업실과 쉐어서비스공간, 게스트룸을 배치하여 거주자들의 편의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공동식당과 여성들이 선호하는 공동부엌을 배치하여 균형 잡힌 식사나 가사준비의 어려움을 해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 공간에서는 헬스장을 배치해야 하며 휴식과 피로회복을 위해 사우나를 배치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정원을 배치하여야 하며 접근성 확보와 벤치나 정자를 설치하고 산책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될 필요가 있으며 관리가 잘 되어야 한다. 카페 같은 라운지에 대한 선호도도 높게 나타나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여성들이 선호하는 파티룸과 남성들이 선호하는 공동 바를 배치에 고려해 거주성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가변적 공간은 대체적으로 선호하고 있었으며 취미 프로그램을 전반적으로 선호하고 있었고 여성들의 경우에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에 활력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할 수 있는 가변적 공간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 1인 가구를 위하여 오피스텔의 공유공간에서 공통적인 개선사항과 필요한 공간에 대하여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청년층 1인 가구 오피스텔을 계획하는데 있어 거주자들이 실생활에 필요한 공간의 배치와 이를 통하여 커뮤니티 활성화를 유도하여 청년층들의 삶의 질을 올려 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청년층 전부의 대표성에 있어 심층인터뷰 대상자가 여성비율이 높아 분석결과의 일반화의 한계로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남성의 인터뷰나 전반적인 설문을 통하여 청년층들이 선호하는 공유공간에 대하여 더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오피스텔을 한정적으로 연구하여 오피스텔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택유형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며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정책개발과 다양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청년층 1인 가구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적용 가능하고 상세한 건축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이 요구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이유로 청년층 1인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규모주거시설의 비중 또한 높아지고 있고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오피스텔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1인 가구 증가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요소가 나타날 것이며 커뮤니티가 중요해질 것이다. 커뮤니티는 거주자들 사이에 교류를 통해 소속감을 형성시켜주어 심리적 안정감과 주거환경에 애착심을 심어주고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요소인 공유공간이 중요한 공간임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앞으로 공급되는 주거용 오피스텔의 공유공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문헌고찰을 통해 오피스텔 거주자를 위한 커뮤니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고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공간적 요소인 공유공간이 중요한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공유공간의 영역과 종류를 기능적 측면인 기초생활 공간, 생활편의 공간, 여가 공간, 가변적 공간으로 분류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고 청년층의 개인적 특성을 조사하여 필요한 공유공간에 대하여 도출해냈다. 오피스텔에 거주하거나 거주했던 청년층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공유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사항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 개선방안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생활 공간에서 쓰레기 분리수거장의 위치를 두 군데로 나누지 않고 한 군데로 배치할 필요가 있고 공간의 크기를 넉넉히 할 필요가 있었다. 엘리베이터 홀은 상가동과 분리하여야 하며 분리하지 못할 시에는 상가 이용객들의 통로역할이 되지 않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주차장은 자주식 주차장으로 배치하고 기계식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는 거주자들의 편의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생활편의 공간에서는 택배보관실이나 보관함은 이용측면에서 배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배치할 경우에는 공간의 크기와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공동세탁실과 공동창고를 배치하고 여성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는 작업실과 쉐어서비스공간, 게스트룸을 배치하여 거주자들의 편의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공동식당과 여성들이 선호하는 공동부엌을 배치하여 균형 잡힌 식사나 가사준비의 어려움을 해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 공간에서는 헬스장을 배치해야 하며 휴식과 피로회복을 위해 사우나를 배치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정원을 배치하여야 하며 접근성 확보와 벤치나 정자를 설치하고 산책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될 필요가 있으며 관리가 잘 되어야 한다. 카페 같은 라운지에 대한 선호도도 높게 나타나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여성들이 선호하는 파티룸과 남성들이 선호하는 공동 바를 배치에 고려해 거주성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가변적 공간은 대체적으로 선호하고 있었으며 취미 프로그램을 전반적으로 선호하고 있었고 여성들의 경우에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에 활력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할 수 있는 가변적 공간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 1인 가구를 위하여 오피스텔의 공유공간에서 공통적인 개선사항과 필요한 공간에 대하여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청년층 1인 가구 오피스텔을 계획하는데 있어 거주자들이 실생활에 필요한 공간의 배치와 이를 통하여 커뮤니티 활성화를 유도하여 청년층들의 삶의 질을 올려 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청년층 전부의 대표성에 있어 심층인터뷰 대상자가 여성비율이 높아 분석결과의 일반화의 한계로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남성의 인터뷰나 전반적인 설문을 통하여 청년층들이 선호하는 공유공간에 대하여 더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오피스텔을 한정적으로 연구하여 오피스텔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택유형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며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정책개발과 다양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청년층 1인 가구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적용 가능하고 상세한 건축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이 요구된다.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recently in Korea for various reasons, the role of the Officetel which is the alternative for the small residential facility is also getting increas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cause more unstable psychological...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recently in Korea for various reasons, the role of the Officetel which is the alternative for the small residential facility is also getting increas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cause more unstable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value of the community will become more important. The community will help residents to build a bond by interacting among residents, which also will help to establish connectedness towards the living environment. Furthermore, to make the Community more active, the common area is an important fact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planning direction regarding residential officetel common areas, for the community invigoration. After some documents research, I felt the necessity of community for an officetel residents, and the common area is the important factor which can invigorate the community. Have classified the common area as an essential living, amenity, leisure, and changeable area. And after some research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 could figure out the needed and desired common areas. Have done some interviews with young people who have the living experience in a single-person household officetel, regarding the facts of the usage of common area and requests. And below are the plans on how to improve.
First, the waste sorting zone in the essential area has to be bigger, not dividing the area into two. An elevator hallway has to be separated from the shopping arcade building, if the separation is not possible, the area has to be secured, so it won't become a passage for outside visitors. The parking lot has to be drive-in parking, if the mechanical parking system is unavoidable, there should be an alternation for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Second, there is no need to build a package storage room in the living convenience area, but in case of need to build one, the size of a space and accessibility have to be considered.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set up common laundry and common storage room are needed. Also to resolve difficulties in preparing balanced meals, and preparation, set up a common kitchen area is also needed. Third, in a leisure area, there has to be a gym and a sauna can be considered. Furthermore, a garden and sitting area such as the Korean gazebo has to be set up and those areas have to be maintained well. Cafes or lounges have to be built due to high preference. Party rooms or common bars can be considered to be built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Fourth, Changeable place was generally preferred as well as a place with a hobby program. Among females, various workout programs were also preferred. A changeable place which can hold various programs has to be more invigorated to make daily life more energetic.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some plans of improving on an officetel common area by research and analysis. Placing needed spaces for real-life can invigorate the community which will eventually help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ving of young people. A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emale, there are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Therefore, further interviews and surveys from male also have to be done regarding their living preference. As this study only was only aiming for Officetel, studies on more various type of residence are be needed. Furthermore, to make one-person youth household community more active, the more detailed and applicable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s also have to be drawn.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recently in Korea for various reasons, the role of the Officetel which is the alternative for the small residential facility is also getting increas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cause more unstable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value of the community will become more important. The community will help residents to build a bond by interacting among residents, which also will help to establish connectedness towards the living environment. Furthermore, to make the Community more active, the common area is an important fact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planning direction regarding residential officetel common areas, for the community invigoration. After some documents research, I felt the necessity of community for an officetel residents, and the common area is the important factor which can invigorate the community. Have classified the common area as an essential living, amenity, leisure, and changeable area. And after some research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 could figure out the needed and desired common areas. Have done some interviews with young people who have the living experience in a single-person household officetel, regarding the facts of the usage of common area and requests. And below are the plans on how to improve.
First, the waste sorting zone in the essential area has to be bigger, not dividing the area into two. An elevator hallway has to be separated from the shopping arcade building, if the separation is not possible, the area has to be secured, so it won't become a passage for outside visitors. The parking lot has to be drive-in parking, if the mechanical parking system is unavoidable, there should be an alternation for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Second, there is no need to build a package storage room in the living convenience area, but in case of need to build one, the size of a space and accessibility have to be considered.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set up common laundry and common storage room are needed. Also to resolve difficulties in preparing balanced meals, and preparation, set up a common kitchen area is also needed. Third, in a leisure area, there has to be a gym and a sauna can be considered. Furthermore, a garden and sitting area such as the Korean gazebo has to be set up and those areas have to be maintained well. Cafes or lounges have to be built due to high preference. Party rooms or common bars can be considered to be built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Fourth, Changeable place was generally preferred as well as a place with a hobby program. Among females, various workout programs were also preferred. A changeable place which can hold various programs has to be more invigorated to make daily life more energetic.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some plans of improving on an officetel common area by research and analysis. Placing needed spaces for real-life can invigorate the community which will eventually help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ving of young people. A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emale, there are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Therefore, further interviews and surveys from male also have to be done regarding their living preference. As this study only was only aiming for Officetel, studies on more various type of residence are be needed. Furthermore, to make one-person youth household community more active, the more detailed and applicable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s also have to be draw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