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대학생 연합기숙사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고양시 소재 연합기숙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housing satisfaction of joint dormitory for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joint dormitory in Goyang City원문보기
우리나라의 높은 대학 진학률로 인해 자취, 하숙 등에 비해 거주비용이 저렴한 대학 기숙사에 대한 수요는 매우 많으나 실제 기숙사 수용률은 이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 대학생의 주거난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의 재정 부족 및 부지 확보의 어려움 등 개별 대학 차원의 기숙사 개발이 어려운 환경을 감안하여 기존의 대학교 내부에 위치한 기숙사 건립 지원사업과는 별개로 정부 차원에서 대학교 밖에 위치한 연합기숙사 형태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대학생 연합기숙사 건립 확대를 국정과제로 추진중에 있으나 연합기숙사 입주생을 대상으로 한 주거만족도 등 관련 연구가 부족하여 연합기숙사 건립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연합기숙사 부지 인근 주민들의 건립 반대 민원을 극복하기 위한 지역사회와의 상생방안 제시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합기숙사 건립 추진배경 및 운영 현황을 알아본 후,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입주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거주공간환경, 공용시설환경, 외부환경 등의 환경적 요인 뿐만 아니라 운영관리환경에 대한 주거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활동 참가여부, 주거장학금 지원 등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도 조사하였다. 대학생 연합생활관 입주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교 밖 연합기숙사에 입주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5점 만점에 4.20점으로 일반적인 만족(4점)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부문별로는 거주공간환경 4.07점, 운영관리환경 4.06점, 외부환경 3.93점, 공용시설환경 3.85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높은 만족 수준은 보다 많은 학교 밖 연합기숙사의 건립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한 23개 ...
우리나라의 높은 대학 진학률로 인해 자취, 하숙 등에 비해 거주비용이 저렴한 대학 기숙사에 대한 수요는 매우 많으나 실제 기숙사 수용률은 이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 대학생의 주거난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의 재정 부족 및 부지 확보의 어려움 등 개별 대학 차원의 기숙사 개발이 어려운 환경을 감안하여 기존의 대학교 내부에 위치한 기숙사 건립 지원사업과는 별개로 정부 차원에서 대학교 밖에 위치한 연합기숙사 형태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대학생 연합기숙사 건립 확대를 국정과제로 추진중에 있으나 연합기숙사 입주생을 대상으로 한 주거만족도 등 관련 연구가 부족하여 연합기숙사 건립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연합기숙사 부지 인근 주민들의 건립 반대 민원을 극복하기 위한 지역사회와의 상생방안 제시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합기숙사 건립 추진배경 및 운영 현황을 알아본 후,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입주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거주공간환경, 공용시설환경, 외부환경 등의 환경적 요인 뿐만 아니라 운영관리환경에 대한 주거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활동 참가여부, 주거장학금 지원 등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도 조사하였다. 대학생 연합생활관 입주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교 밖 연합기숙사에 입주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5점 만점에 4.20점으로 일반적인 만족(4점)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부문별로는 거주공간환경 4.07점, 운영관리환경 4.06점, 외부환경 3.93점, 공용시설환경 3.85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높은 만족 수준은 보다 많은 학교 밖 연합기숙사의 건립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한 23개 독립변수 중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개 변수로 나타났다. 6개 변수는 거주공간환경(화장실 사용 편리성), 공용시설환경(복합교육시설 이용 편리성), 운영관리환경(기숙사 비용의 적절성, 통신망 구축 상태), 외부환경(대중교통 이용 편리성, 주변거리의 청결성)이 해당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복합교육시설(인성교육관), 통신망 구축 상태 등이 중요한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는 사실은 기숙사가 단순히 주거기능만을 제공하는 공간에서 벗어나 함께 생활하는 공용편의시설, 원활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등 학생 복지를 위한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반영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연합기숙사는 기숙사 주변의 외부환경 또한 주거만족도에 큰 영향을 준다 할 수 있다. 셋째,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고 본 연구에서 특성변수로 활용한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과 주거장학금 지원은 주거만족도와 유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기숙사와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 활동이 아직 초기단계에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향후 위 2가지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점에 대한 연구는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학교 밖 연합기숙사의 건립 지원은 보다 많이 확대해 나아가야 할 것이며, 이러한 건립 지원에 있어서 단순히 주거기능만을 제공하는 기숙사가 아닌 시대의 변화에 따른 입주생들의 주거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지원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높은 대학 진학률로 인해 자취, 하숙 등에 비해 거주비용이 저렴한 대학 기숙사에 대한 수요는 매우 많으나 실제 기숙사 수용률은 이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 대학생의 주거난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의 재정 부족 및 부지 확보의 어려움 등 개별 대학 차원의 기숙사 개발이 어려운 환경을 감안하여 기존의 대학교 내부에 위치한 기숙사 건립 지원사업과는 별개로 정부 차원에서 대학교 밖에 위치한 연합기숙사 형태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대학생 연합기숙사 건립 확대를 국정과제로 추진중에 있으나 연합기숙사 입주생을 대상으로 한 주거만족도 등 관련 연구가 부족하여 연합기숙사 건립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연합기숙사 부지 인근 주민들의 건립 반대 민원을 극복하기 위한 지역사회와의 상생방안 제시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합기숙사 건립 추진배경 및 운영 현황을 알아본 후,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입주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거주공간환경, 공용시설환경, 외부환경 등의 환경적 요인 뿐만 아니라 운영관리환경에 대한 주거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활동 참가여부, 주거장학금 지원 등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도 조사하였다. 대학생 연합생활관 입주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교 밖 연합기숙사에 입주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5점 만점에 4.20점으로 일반적인 만족(4점)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부문별로는 거주공간환경 4.07점, 운영관리환경 4.06점, 외부환경 3.93점, 공용시설환경 3.85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높은 만족 수준은 보다 많은 학교 밖 연합기숙사의 건립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한 23개 독립변수 중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개 변수로 나타났다. 6개 변수는 거주공간환경(화장실 사용 편리성), 공용시설환경(복합교육시설 이용 편리성), 운영관리환경(기숙사 비용의 적절성, 통신망 구축 상태), 외부환경(대중교통 이용 편리성, 주변거리의 청결성)이 해당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복합교육시설(인성교육관), 통신망 구축 상태 등이 중요한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는 사실은 기숙사가 단순히 주거기능만을 제공하는 공간에서 벗어나 함께 생활하는 공용편의시설, 원활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등 학생 복지를 위한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반영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연합기숙사는 기숙사 주변의 외부환경 또한 주거만족도에 큰 영향을 준다 할 수 있다. 셋째,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고 본 연구에서 특성변수로 활용한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과 주거장학금 지원은 주거만족도와 유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기숙사와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 활동이 아직 초기단계에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향후 위 2가지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점에 대한 연구는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학교 밖 연합기숙사의 건립 지원은 보다 많이 확대해 나아가야 할 것이며, 이러한 건립 지원에 있어서 단순히 주거기능만을 제공하는 기숙사가 아닌 시대의 변화에 따른 입주생들의 주거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지원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